지난해 DUR 점검 의약품 총 6만개 육박…임부금기>효능군 중복>병용금기 순
복지부, 3일 보건복지백서 발간…지난해 외래처방 13억여건도 점검 진행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11-06 06:06   수정 2023.11.06 06:01
ⓒ보건복지부 

지난해 DUR(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을 통해 점검한 의약품 품목 수가 6만개에 육박한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복지부는 3일 발간한 ‘2022년 보건복지백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DUR은 의사와 약사에게 의약품 처방‧조제 시 병용금기 등 의약품 안전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 제공해 부적절한 의약품 사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환자가 의약품 복용 전 의약품 적정 사용 정보를 점검하고 의약품 중복 및 과다사용으로 인한 국민건강 위해를 예방하려는 것이다.

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DUR 시스템을 설치한 의료기관 비율은 99.5%로, 2011년 대비 2.7% 증가했다.

DUR 점검대상 의약품은 총 5만9646개로 급여의약품 5만924개, 비급여의약품 8722개로 확인됐다. 이 중 가장 많은 것은 임부금기로 1만9185개가 확인됐고, 이어 효능군 중복 1만1713개, 병용 금기 7844개, 비용효과적인 함량 사용 대상 4868개, 연령금기 3096개 순이었다.

DUR 점검대상 의약품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서 의약품 안전 정보를 수집‧검토,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병용‧연령‧임부금기 등 금기 의약품 성분을 고시하고 있다.

DUR 점검 현황 모니터링 결과, 지난해에는 외래처방전 13억여건에 대해 DUR 점검이 이뤄졌다. 이 중 20%인 2억6000만여건의 의약품 적정 사용 정보가 제공됐다. 먼저 의사의 의약품 처방단계에서 20.1%인 1만4245건, 약사의 조제 단계에서 19.9%인 1만1701건의 DUR 정보가 제공됐다.    

DUR은 감염병 예방 대응 방안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2015년부터는 메르스 환자 접촉자 및 중동지역 입국자 정보 등을 의‧약사에게 제공했고, 2020년에는 코로나19 감염병 예방을 위한 정보제공을 통해 감염확산을 최소화했다. 질병관리청은 DUR시스템 자동연계를 통해 감염병 관련 발생국 입국자와 감염병 확진자 정보를 의‧약사에게 제공했다. 해당 환자가 요양기관 방문 시 신속한 초기대응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것. 2021년에는 코로나19 예방접종자에 대한 정보제공으로 요양기관에서 예방접종 이상반응에 대한 조기파악을 지원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발암물질이 검출된 발사르탄 계열 고혈압약과 위장약 라니티딘과 니자티딘 성분 의약품에 대한 식약처의 회수 조치에 따라 DUR 시스템이 처방을 즉시 차단하기도 했다. 

헌혈 금지 약물 복용자의 헌혈 방지와 안전한 혈액 공급을 위해서도 DUR이 역할을 하고 있다. 2014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급여청구 시스템과 DUR 시스템, 대한적십자사의 헌혈사고방지 정보조회시스템이 헌혈 금지 약물 복용 정보를 연계해 실시간 조회 가능한 혈액 관리 체계를 마련했다. 지난해에는 이를 통해 1000만여건의 헌혈금지약품 복용정보를 제공해 9016건의 부적절 헌혈 및 수혈을 사전에 차단했다.

한편 DUR 서비스는 올해 국정감사에서 △품절약 DUR 알림 법제화 △마약류 DUR 의무화 등으로 언급됐다. 복지부는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이 서면으로 질의한 품절의약품 DUR 알림 법제화에 대해 약사법 개정을 위해 국회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한 의원은 의약품 수급불안정 해소를 위해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를 활용하고 DUR을 통해 품절약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수급 불안정 의약품 처방 시 DUR로 알리게 하는 것은 약사법 개정이 필요한 만큼 국회와 협의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또 대체조제 DUR 사후통보에 대해선 대체조제가 의약분업 주요 사항이며 의사 처방권에 대한 영향 등 우려가 있는 만큼 의약단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활성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국감에선 마약류 관리체계 전반에 대한 문제점이 다수 지적됐다. 이에 대해 정부는 마약류 관리 시스템 고도화와 함께 마약류 DUR 의무화에 대한 검토를 하겠다는 뜻도 전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