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C 유전자검사, “해석 차이,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정부와 기업 함께 주도한 ‘데이터베이스’구축 필요성 제기
박선혜 기자 loveloves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12-30 18:24   수정 2020.01.15 14:54
소비자 직접 의뢰(DTC) 유전자검사 시범사업 결과 나타난 ‘제각각인 해석’과 정확도를 일치시키기 위해 정부와 기업 간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서울아산병원 서을주 교수는 30일 서울 글로벌센터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DTC 유전자검사 시범사업 결과를 이같이 설명했다.

DTC(Direct to Consumer) 유전자 검사는 병원을 거치지 않고 가정 등에서 소비자가 유전자 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 '소비자 직접 의뢰 유전자 검사'를 의미한다. 유전자 검사로 소비자는 현재 상태와 발병 가능한 질병 등을 예측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월부터 11월까지 12개 참여기관과 함께 총 57개의 항목을 실시했다. 주요 검사항목은 △비타민 농도 △근력운동적합성 △피부노화 △남성형 탈모 △식욕 △알코올의존성 △불면증 △비만 등이다.

평가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참여기관에 대한 인증 작업과, 현장평가, 외부정도 관리 조사도 진행했다.

검사 결과, DTC 검사를 받기로 한 이유로는 질병 예방(146명)이 가장 많았으며, 생활습관 개선(106명), 개인적 호기심(93명) 순으로 나타났다. 검사를 통해 도움이 됐다는 항목은 질환 55명으로 가장 높았고, 탈모(25명), 영양(16명), 비만·체질량(13명)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도는 74%가 신뢰,19%가 보통이라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서 교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는 높았다. 다만 결과해석이 불완전하고 불확실함에도 지나친 신뢰를 보였다"면서 "과학적이고 유용한 검사항목의 선정과 검사기관에서는 적절한 유전자와 마커를 선정하고 질 관리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의료·연구·산업계 전문가들은 시범사업 결과의 해석 차이를 좁히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선 정부와 기업 간의 공동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유전체기업협의회 황태순 회장은 “무엇보다 DTC 유전자검사를 할 수 있도록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기업간의 해석 차이를 좁히고 검사의 정확도를 올리기 위해 서로 협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 기업, 의사들과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환경적인 부분을 개선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남 미즈메디 김경철 병원장은 “무분별한 경쟁으로 불확실한 서비스가 나오지 않도록 빅데이터 기법을 통해 사회가 도와줘야 한다”며 “기술적인 부분들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4차산업의 핵심기술들을 펼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구축하는 알고리즘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국가생명윤리정책원 백수진 연구부장은 “기술이 발전한다고 DTC 서비스의 기업 간 일치도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일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지 과학적 분석만이 아닌 소비자들에게 오해 없이 투명하게 전달하는 해석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 박현영 유전체센터장은 “정확도, 유효성 모두 기업마다 다를 수 있어 차이를 좁혀야 한다. 외부 인증센터 운영이나 국가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질병관리본부의 유전자 자료를 적극 활용하면 국민에게 더 많은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