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ICT) 미래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ICT 중소기업들의 선도적이고 도전적인 융합기술개발이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31일 ‘2019년 ICT 혁신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의 18개 기술개발 과제를 최종 선정·추진한다고 밝혔다.
‘ICT 혁신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은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ICT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 블록체인, 5G 등 ICT 미래 신기술 기반의 융·복합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부터 신규 추진 중이다.
이번 사업은 지원과제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1단계(사전기획 3개월), 2단계(기술개발 18개월)로 단계별 선정·지원하며, ICT와 의료 등 타산업 간 융·복합 분야의 신시장 창출 도전을 지원하는 ‘ICT 신시장 창출지원(Track1)’과 ICT 6대 기술분야(미래통신·전파, SW·AI, 방송·콘텐츠, 차세대보안, 디바이스, 블록체인·융합) 고도화 및 기반 강화를 위한 ‘ICT 핵심기술 고도화 지원(Track2)’으로 나눠 2년간 최대 7.5억원(Track1), 4.5억원(Track2)을 지원한다.
그동안 과기정통부는 올해 1월 2일 사업공고를 시작으로, 지난 3월에 1단계 사전기획 수행과제(40개)를 선정한 바 있으며, 이번에 1단계 통과과제를 대상으로 심사해 2단계 기술과제를 선정했다. 선정과제에 대해서는 향후 18개월 동안 기술개발을 본격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선정된 과제에는 ‘절단·마비 장애인을 위한 자기주도형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ICT+의료)’ 등이 포함돼 있으며, 미래신기술 기반 융‧복합을 통해 산업분야의 지능화·고도화를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용홍택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잠재력과 기술 경쟁력을 갖춘 ICT 분야 혁신 중소기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ICT 중소기업들이 기술개발 능력을 제고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해 튼튼한 ICT 산업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