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가 국내 제약업계의 제네릭 비중을 낮추고 비용효과성있는 근거중심 에비던스 필요성을 강조했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
<사진>은 지난 29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오제세·김세연·김승희 의원 공동개최로 열린 '제약바이오 R&D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정책 토론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정 과장은 "현재 R&D 분야의 가장 큰 문제는 대부분이 일몰사업이라는 점"이라며 "내년 3개 부처(과기부/복지부/산업부) 공동 다부처 사업으로 R&D가 시작되는데, 다음단계지표에서는 SCI논문이나 특허보다는 GDP를 얼마나 높이고 산업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성과지표를 둬야 할 것이다. 신약개발 R&D 예비타당성 정책방향이 그 방향으로 시장지향형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전제했다.
이어 "우리나라 제약시장이 20조원인데, 이 정도로는 제약이 성장할 수 없다"며 "국내에 들어온 다국적사(글로벌제약사)에서 보면 50% 이상의 이윤이 글로벌을 통해 나오고 있다. 체질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 과장은 "전문약·일반약을 합쳐 20조의 규모의 시장인데, 92년 6~8조에 비해 2000년대에 매출액이 급증할 때 R&D 투자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며 "(국내 제약의 방향을)그 때에 R&D에 투자하며 해외로 나가는 전략을 세웠어야했는데 다소 늦어진 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정은영 과장은 향후 제약업계에 전략을 제언하기도 했다.
현재 나눠먹기 식으로 돼 있는 제네릭 포지션을 낮추고, 임상적 유효성, 비용효과성에 신경써야 한다는 것이다.
정 과장은 "내년부터 근거중심 연구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 적용된다. 이를 통해 이미 허가돼 사용된 약제와 의료기기에 대해 근거중심적 효과적인 R&D를 공익적으로 할수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며 "제약업계에서도 그런 고민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스탠스를 갖고 어떻게 갈지, 제염변경 등 특화될 부분이 있다면 줄일 부분은 줄이고, 투자에서 제대로 약가를 가질 수 있는 방향으로 투자해야지, 둘 다 가져가는 건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정은영 과장은 "제약기업을 살리기 위해 정부에서 노력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제약사 차원에서 이에 대한 충분한 방향성을 갖고 정부와 협의해야 하지 않는가"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