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훈 박사의 건강한 성형이야기
<6> 퀭해 보이는 눈, 상안검 수술로 생기를 찾아라
레알성형외과 한상훈 박사(성형외과 전문의/의학박사)
입력 2020-04-29 10:00
수정 최종수정 2020-04-29 14:46
▲ 레알성형외과 한상훈 박사(성형외과 전문의/의학박사) 눈은 마음의 창이다. 눈이 잘 떠지고 또렷하면 보이는 이미지가 깔끔하다. 눈동자가 덮혀있으면 졸린 듯한 인상을 주고 뭔가 덜 떨어진 느낌을 준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누구나 눈꺼풀은 처지게 되어있으며 기능적으로는 시야를 가리게 되고 눈을 자꾸 치켜 뜨게된다. 언짢을 때 하는 행동같이 느껴지므로 주위 분들에게 괜스레 오해를 사기도 한다.
퀭해 보이는 눈, 뭐가 문제일까?
나이가 들면서 눈꺼풀이 늘어지는 것을 ‘안검이완증’이라고 한다. 나이가 들면 누구나 생기는 것이지만 그 양상은 개인마다 다르다. 치료의 원칙은 늘어진 피부를 절제하고 두꺼운 조직(대개 근육, 지방)을 제거해 주는 것이다. 상안검에는 2개의 안와지방이 있다. 이 안와지방을 적절히 제거하고 재배치하여 적당한 볼륨을 유지해야 이미지 개선에 도움이 된다. 눈의 바깥 쪽에 때로는 눈물샘이 내려와서 두툼해 지는 경우도 있으니 이것도 동시에 해결해 주어야 한다.
서양인과 다른 동양인의 눈 구조, 그에 맞는 교정
인체의 구조는 온 인류가 동일하나, 그 중에서 눈꺼풀의 구조가 많이 다른 편이다. 동양인은 서양인에 비해 피부와 근육이 많아 눈두덩이가 두껍다. 서양인은 눈꺼풀이 쑥 꺼져 보이는 반면 동양인은 안와지방이 많이 내려와 있어서 불룩하게 보인다. 안와격막이라는 구조물이 많이 내려와 있기 때문인데 그로 인해 수술이 까다로워진다. 수술시 두꺼워진 근육과 지방의 절제, 내려와 있는 안와격막의 처리, 상안검거근의 교정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개인마다 상태에 따라 절제의 양을 조절하고 교정을 적절히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안검이완증 수술과 쌍꺼풀 절개수술은 어떻게 다를까?
이미지 변신을 위한 미적인 쌍꺼풀 수술은 젊은 환자들이 많다. 피부 처짐이 별로 없지만 눈이 두껍거나 눈 뜨는 힘이 약할 때 쌍꺼풀 절개수술을 하게 된다. 선천적으로 이마가 많이 처져서 눈이 덜 떠진 경우에는 눈매 교정술을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좋다. 눈 뜨는 힘이 강해져서 또렷하고 편안한 인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안검이완증 수술은 피부를 늘어진 만큼 절제하는 양이 많아 진다. 늘어진 만큼 절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눈을 감을 때 필요한 길이는 충분히 남겨두어야 눈 감는 기능에 지장이 없다. 나이가 많은 분 중에서도 눈 뜨는 기능이 약한 경우가 있다. 역시 상안검거근 (눈뜨는 근육)을 약간 강화시키면 눈을 잘 뜰 수 있게 된다. 흔히 눈매교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수술 후 눈이 잘 떠지고 시야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회복기간은 절개 양의 따라 다르며, 피부가 많이 늘어진 경우 회복할 때까지 시간이 좀 더 소요된다. 쌍꺼풀 라인을 크게 만들면 자연스러워 지는데 수개월이 소요되기도 한다. 따라서 안검이완증 수술 시에는 쌍꺼풀 라인을 너무 크지 않게 하는 것이 훨씬 좋다. 속 쌍꺼풀에 가까운 것이 자연스럽다.
특히 남자 환자 중에선 쌍꺼풀 라인이 생기는 것을 싫어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쌍꺼풀이 생기지 않도록 수술하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눈은 잘 떠져야 한다. 시야가 커지는 만큼 바람을 맞으면 눈이 시리거나 눈물이 날 수도 있지만 대개는 일시적인 현상이며 인공 눈물 등을 사용하도록 한다.
원래의 인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능적인 측면의 개선을 원할 땐 눈썹밑거상술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눈썹 밑으로 늘어진 피부를 절제하면 크게 티가 나지 않고 회복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직장인들에게도 추천할 만 하다.
눈썹밑거상술은 특히 원래의 쌍꺼풀이 예쁜 경우에 추천한다. 예쁜 부위를 손대지 않고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다. 쌍꺼풀에 수술 하면 한 동안 이미지가 바뀔 수 있으므로 원치 않는 경우 조심해야 한다. 이렇듯 눈에 대한 수술은 눈도 예뻐져야 하지만 수술 후에 인상도 좋아져야 한다. 따라서 나이에 맞게, 눈꺼풀의 상태에 맞게 시술하는 것이 좋으며 좋은 이미지를 갖기 위해서는 상안검수술 외에 여러 가지 시술을 고려할 수 있다는 점도 알아 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