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가 정착되면서 아름답고 어려보이는 외모를 가꾸기 위한 중장년층의 노력이이어지고 있다. 외모는 사람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주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보다 젊고 활기찬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나이가 든다. 얼굴의 조직이 처지기 시작한다. 주로 지방층이 많이 처지게 되고 피부는 늘어지며 주름이 하나 둘 늘어나기 시작한다. 흔히 ‘안면거상술’ 하면 주름을 당기는 수술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필자의 경우에는 주름을 당긴다는 것 보다는 시간을 거꾸로 돌리기(회춘)가 더 적당한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얼굴에 있는 연부조직(피부, 지방층)은 군데 군데 뼈에 고정되어 있다. 그렇지 않으면 얼굴피부가 뱃살처럼 확 늘어져 감당 할 수 없을 것이다. 연부조직을 고정하는 조직을 유지인대라고 하는데 주로 광대뼈 주위나 단단한 근막 부위에 많이 있다. 나이가 들어서도 피부가 완전치 처지지는 않는 이유가 바로 유지인대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유지인대가 없는 부위는 연부조직(피부, 지방층)이 처지기 쉽고 심술보처럼 불룩하게 된다.
나이가 들면서 유지인대가 있고 없는 부위에 따라 피부처짐이 나타나 윤곽은 점점 더 울퉁불퉁해 진다. 얼굴에서 약간 패인 부분에는 대개 유지인대가 있어서 뼈에 밀착해 있기 때문이다. 이전의 수술은 주름을 당긴다는 개념이 많았으나 요즘의 수술은 처진 조직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다.
늘어진 조직은 스마스(SMAS) 라고 하는 얼굴의 표정근육 위에 위치한다. 스마스 조직을 잘 당겨주면 늘어진 조직을 탄력있게 만들 수 있다. 손쉽게 피부만 박리해서 수술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수술 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회복이 빠르지만 얼굴 윤곽과 형태의 변화는 기대할 수 없으며 결과가 지속되는 기간도 짧다.
그럼 스마스 조직을 어떻게 해야 좋을까? 거의 박리하지 않고 스마스를 접어 주는 방법도 있다. 이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처짐이 심하지 않을 때 하는 방법이다. 조직의 처짐과 늘어짐이 중등도 이상 일 때는 스마스를 박리해서 수술 하는 것이 좋다. 스마스 조직의 윗-아래층을 둘 다 박리하여야 한다.
수술적으로 freeing 한다고 말하는데 말 그대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스마스를 주위 조직에서 분리하는 것을 뜻한다. 이렇게 하면 스마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고 이 때 스마스 기저부에 있는 늘어진 지방층이 같이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스마스층의 박리는 무척 까다로우며 특히 그 아래에 있는 안면신경을 다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얼굴의 어느 부위를 올릴 것인가? 얼굴의 연부조직을 당기려는 방향에 따라 스마스의 절개 방향이 정해진다. 대개 당기려는 방향의 수직으로 절개선을 만든다. 마치 옷 소매가 길 때 잘라내고 소매 길이를 줄이는 것과 같다.
원하는 결과는 무엇일까? 물론 늘어진 피부가 없어지고 처진 지방층도 올라가게 된다. 주름도 역시 줄어들게 된다. 가장 좋은 상태는 얼굴의 형태의 회복인데 마치 예전의 나의 모습, 젊은 때의 나의 모습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다. 물론 얼굴의 뼈도 노화되므로 모든 형태가 같을 수야 없지만 그래도 수술 후엔 옛 모습이 나타나게 된다.
하안검 수술과 같이 하게 되면 눈물 고랑도 많이 사라지고 얼굴의 선이 매우 매끈하게 된다. 마치 봄날에 새로 포장한 도로와 같이 부드러운 선이 되는 것이다. 필자가 주로 중요시 생각하는 것은 턱선과 앞광대의 윤곽인데 게다가 하안검 부위까지 매끈해지면 금상첨화다. 늘어진 피부과 당겨지고 지방조직이 올라가 탄력이 회복되면 얼굴 형태가 예전처럼 되돌아 간다.
얼굴이 울퉁불퉁 할 때와는 달리 윤곽이 매끈해지면 어린 딸과 매우 닮았다고 얘기 들을 수도 있으니 이 또한 기분 좋은 일이다. 시간은 되돌릴 수 없지만 옛 모습은 어느 정도 되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시간을 돌리는 마법, 안면거상술
레알성형외과 한상훈 박사(성형외과 전문의/의학박사) 기자
webmatser@yakup.com
입력 2020-04-16 09:00
수정 최종수정 2020-04-16 09:05
▲ 레알성형외과 한상훈 박사(성형외과 전문의/의학박사)
고령화 사회가 정착되면서 아름답고 어려보이는 외모를 가꾸기 위한 중장년층의 노력이이어지고 있다. 외모는 사람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주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보다 젊고 활기찬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나이가 든다. 얼굴의 조직이 처지기 시작한다. 주로 지방층이 많이 처지게 되고 피부는 늘어지며 주름이 하나 둘 늘어나기 시작한다. 흔히 ‘안면거상술’ 하면 주름을 당기는 수술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필자의 경우에는 주름을 당긴다는 것 보다는 시간을 거꾸로 돌리기(회춘)가 더 적당한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얼굴에 있는 연부조직(피부, 지방층)은 군데 군데 뼈에 고정되어 있다. 그렇지 않으면 얼굴피부가 뱃살처럼 확 늘어져 감당 할 수 없을 것이다. 연부조직을 고정하는 조직을 유지인대라고 하는데 주로 광대뼈 주위나 단단한 근막 부위에 많이 있다. 나이가 들어서도 피부가 완전치 처지지는 않는 이유가 바로 유지인대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유지인대가 없는 부위는 연부조직(피부, 지방층)이 처지기 쉽고 심술보처럼 불룩하게 된다.
나이가 들면서 유지인대가 있고 없는 부위에 따라 피부처짐이 나타나 윤곽은 점점 더 울퉁불퉁해 진다. 얼굴에서 약간 패인 부분에는 대개 유지인대가 있어서 뼈에 밀착해 있기 때문이다. 이전의 수술은 주름을 당긴다는 개념이 많았으나 요즘의 수술은 처진 조직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다.
늘어진 조직은 스마스(SMAS) 라고 하는 얼굴의 표정근육 위에 위치한다. 스마스 조직을 잘 당겨주면 늘어진 조직을 탄력있게 만들 수 있다. 손쉽게 피부만 박리해서 수술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수술 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회복이 빠르지만 얼굴 윤곽과 형태의 변화는 기대할 수 없으며 결과가 지속되는 기간도 짧다.
그럼 스마스 조직을 어떻게 해야 좋을까? 거의 박리하지 않고 스마스를 접어 주는 방법도 있다. 이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처짐이 심하지 않을 때 하는 방법이다. 조직의 처짐과 늘어짐이 중등도 이상 일 때는 스마스를 박리해서 수술 하는 것이 좋다. 스마스 조직의 윗-아래층을 둘 다 박리하여야 한다.
수술적으로 freeing 한다고 말하는데 말 그대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스마스를 주위 조직에서 분리하는 것을 뜻한다. 이렇게 하면 스마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고 이 때 스마스 기저부에 있는 늘어진 지방층이 같이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스마스층의 박리는 무척 까다로우며 특히 그 아래에 있는 안면신경을 다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얼굴의 어느 부위를 올릴 것인가? 얼굴의 연부조직을 당기려는 방향에 따라 스마스의 절개 방향이 정해진다. 대개 당기려는 방향의 수직으로 절개선을 만든다. 마치 옷 소매가 길 때 잘라내고 소매 길이를 줄이는 것과 같다.
원하는 결과는 무엇일까? 물론 늘어진 피부가 없어지고 처진 지방층도 올라가게 된다. 주름도 역시 줄어들게 된다. 가장 좋은 상태는 얼굴의 형태의 회복인데 마치 예전의 나의 모습, 젊은 때의 나의 모습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다. 물론 얼굴의 뼈도 노화되므로 모든 형태가 같을 수야 없지만 그래도 수술 후엔 옛 모습이 나타나게 된다.
하안검 수술과 같이 하게 되면 눈물 고랑도 많이 사라지고 얼굴의 선이 매우 매끈하게 된다. 마치 봄날에 새로 포장한 도로와 같이 부드러운 선이 되는 것이다. 필자가 주로 중요시 생각하는 것은 턱선과 앞광대의 윤곽인데 게다가 하안검 부위까지 매끈해지면 금상첨화다. 늘어진 피부과 당겨지고 지방조직이 올라가 탄력이 회복되면 얼굴 형태가 예전처럼 되돌아 간다.
얼굴이 울퉁불퉁 할 때와는 달리 윤곽이 매끈해지면 어린 딸과 매우 닮았다고 얘기 들을 수도 있으니 이 또한 기분 좋은 일이다. 시간은 되돌릴 수 없지만 옛 모습은 어느 정도 되 찾을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