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고] <318> AI가 무섭다
우리 교회에서는 새해 들어 90일 성경 통독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매일 아침 카톡으로 보내온 파일을 열어 담임 목사님이 읽어 주는 일정 분량의 성경을 듣는다. 성경을 읽어 주는 분은 목사님이 아니고, 목사님의 음성을 인공지능(AI)이 재현한 것이라고 하는데, 재현된 음성이 진짜 목사님 음성과 구별이 안 될 정도로 똑 같다. 놀랍고 신기한 세상이다.
지난 주말에는 TV 예능 프로그램을 보다가 깜짝 놀랐다. 가수 옥주현과 인공지능(AI)으로 목소리를 재현한 가짜 옥주현에게 같은 노래를 부르게 한 후 누가 진짜...
2021-03-05 09:55 |
[기고] <317> 감동과 눈물
내가 1950년대 국민학교에 다닐 때는 매달 월사금(月謝金)을 학교 선생님께 내야만 했다. 많은 액수는 아니었지만 현금을 만져 보기 어려운 시골 사람들에게는 만만한 돈이 아니었다. 다행히 우리 집은 살기가 좀 괜찮아서 돈이 없어 월사금을 기일 내에 내지 못하는 일은 없었다. 그러나 다른 아이들은 종종 기일 안에 돈을 내지 못해 선생님에게 불려가곤 했었다. 또 선생님들은 가끔 월사금을 못 낸 학생들의 가정을 방문해야 했는데 이는 아이들의 부모로부터 월사금을 받아 오기 위한 것이었다. 선생님도 하기 싫은 일이었지만 ...
2021-02-17 10:30 |
[기고] <316> 돌아오지 못한 탕자
성경 (누가복음 15:11-32)을 보면 ‘돌아 온 탕자(蕩子)’ 이야기가 나온다. 한 아버지에게 두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착실한 형과 달리 동생은 아버지를 졸라 자기 몫의 유산을 미리 받아내 도시로 나가 창녀와 노는 등 방탕한 삶으로 재산을 탕진하고 마침내 거지와 다름없는 비참한 생활을 하기에 이른다.마침내 동생은 그간의 행동을 회개하고 오랜 망설임 끝에 아버지 집으로 되돌아 온다. 그가 돌아오기만을 학수고대하던 아버지는 멀리서 터벅터벅 돌아오는 둘째 아들을 발견하자 버선발로 달려나가 왈칵 껴안으며 ‘잘 돌아왔다’고...
2021-02-03 15:49 |
[기고] <315> 온라인 영상 회의 유감
연말이 가까워져도 코로나 사태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오히려 기승을 부리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부쩍 대면(對面) 회의보다 만나지 않고 회의를 하는 비대면(非 對面) 온라인 영상 회의를 선호(選好)하고 있다. 불행히도 언택트(untact)가 정말 뉴 노멀 (new normal)이 되어 버린 것이다.어떤 사람은 영상으로나마 소통을 할 수 있으니 다행이라고 말한다. 음성에 추가하여 영상으로 얼굴을 보면서 회의를 할 수 있게 된 것은 과학의 덕분으로 다행이긴 하다. 그러나 얼굴을 마주 볼 수 없는 온라인 회의에서는 영 사람 사는 맛이...
2021-01-20 09:24 |
![]() |
[기고] <314> 개 무시
1. 지난 가을에 친구네 부부하고 교외의 조용한 곳에 놀러 갔었다. 그 곳 식당 앞 양지 녘에 점잖게 생긴 개 한 마리가 편하게 앉아 일광욕을 즐기고 있었다. 평소 개를 좋아하는 친구 부인은 아내와 함께 그 개에게 다가가 반가운 척을 했다.그러나 그 개는 두 할머니가 보이지도 않는 듯 눈길 한번 주지 않았다. 과자를 주면서 불러보고 얼러봐도 요지부동이었다. 아, 사람을 싫어하는 개 인가 하고 생각할 즈음에 예쁜 어린 아이 한 명이 개 앞에 나타났다.그러자 그 점잖기만 하던 개가 벌떡 일어나 꼬리를 치며 어린이 앞으로 ...
2021-01-06 10:00 |
![]() |
[기고] <313> 약사 직능의 진화
요즘 ‘전원일기(田園日記)’라고 하는, 지난 1980년말부터 2002년말까지 22년간 인기리에 방송되었던 농촌 TV 드라마의 재방송을 가끔 본다. 훈훈한 이야기도 많이 나오지만 드라마를 관통하고 있는 분위기는 농업이 쇠락하여 머지 않아 농촌이 붕괴될 것 같다는 무거움이었다. 그런데 오늘날의 우리 농촌의 삶은 드라마의 예상과 달리 붕괴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오히려 그 때보다 나아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돌아보면 우리나라의 제약산업도 1987년에 물질특허제도가 도입되면 대부분 붕괴될 것이라는 무거운 ...
2020-12-16 23:38 |
![]() |
[기고] <312> 최근의 주례사
지난 10월 마스크를 쓰고 주례를 보았다. 그 때의 주례사를 다소 수정하여 소개한다.결혼식은 인생이라는 바다에 ‘OOO/OOO의 가정’이라는 이름의 돛단배가 항해를 시작하는 출범식입니다. 기쁜 마음으로 몇 가지 축복의 말씀을 드립니다. 두 사람이 탄 돛단배가 무사히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순풍을 만나야 합니다. 항해할 때에 운(運)이 좋은 사람은 순풍을 만나고, 운이 나쁜 사람은 폭풍을 만납니다. 그래서 운칠기삼(運七技三)이라는 말이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인생의 7할은 운이 좌우한다는 말이지요. 저는...
2020-12-02 20:39 |
![]() |
[기고] <311> 어색한 표현들
세월이 가면 말도 바뀌게 마련이라지만 그래도 내 보기에 어색한 표현들이 적지 않다.1. 수동태의 남용1) 보여집니다 (일본어의 ‘미라레루’와 유사. ‘보입니다’로 충분). 2)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관심이 모이고 있다’, ‘관심이 간다’가 나을 듯). 3) 생각됩니다. 생각되어집니다 (일본어의 ‘오모와레루’가 연상됨. ‘생각합니다’가 좋을 듯). 4) 예상된다 (예상한다). 5) 에너지를 너무 분산한 것은 아닌가 (‘분산시킨 것은’이 나을 듯).2. ‘..도록 하겠습니다’의 남용1) 소개시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소개하겠습니다’로 충분). 2...
2020-11-18 09:00 |
![]() |
[기고] <310> 팩트체크(2). 자몽주스는 정말 녹았을까
이번에는 어떤 물질(용질, 容質, solute)이 어떤 용매(溶媒, solvent)에 녹는다, 즉 용해(溶解, dissolve)된다고 하는 현상에 대해 생각해보기로 한다. 대한약전(통칙, 通則)에서는 용해성(溶解性)을 ‘의약품을 고형인 경우 가루로 한 다음 용매 중에 넣고 25 플러스 마이너스 5도C에서 5분마다 30초간씩 세게 흔들어 섞을 때 30분 이내에 녹는 정도’라고 정의한 다음, 용해성의 크기를 “썩 잘 녹는다, 잘 녹는다, 녹는다, 조금 녹는다, 녹기 어렵다, 매우 녹기 어렵다, 거의 녹지 않는다”로 구분하였다.그리고 그 밑에 ‘녹는다는 말...
2020-11-04 17:25 |
![]() |
[기고] <309> 착각
칠십 노인이 아주 오랜만에 친구 부부를 만났는데, 글쎄 그 친구가 자기 부인을 ‘자기야!’ 하며 부르는 게 아닌가? 젊었을 때는 ‘순자야!’ 하고 소리 지르던 친구가 어쩌다가 이렇게 변했을까 안타까워서 물었다. “이 보게 친구야, 애들도 아니고 다 늙어서 남사스럽게 ‘자기야’가 다 뭔가? 큰 소리로 이름을 부르던 자네의 기개는 다 어디로 갔는가?”그러자 친구는 귀속말로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다. “쉿 조용히 하게, 실은 마누라 이름이 생각이 안 나서 할 수 없이 ‘자기야’라고 부르는 거야”. 비웃던 친구는 그제야 알게 되었다. ...
2020-10-21 16:41 |
![]() |
[기고] <308> ‘하였다’와 ‘되었다’
요즘 매스컴에서 우리말을 사용하는 습관 중 내 생각과 맞지 않아 듣거나 보기에 거북함을 느끼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 중 하나가 약춘 269 “자동사, 타동사, 수동태” (2019.3.13)에서 언급한 바 있는 대로 ‘되었다’ 라고 쓰는 것이 옳은 것 같은데 ‘하였다’라고 쓰는 경우이다. 매스컴에서 발견되는 그런 사례들을 모아 보았다. 먼저 약춘 269에서 소개했던 사례들을 다시 한번 적어 보면, 1) 영화가 개봉(開封)했다 (개봉되었다), 2) 영화가 상연(上演)했다 (상연되었다), 3) 경제 성장률이 둔화(鈍化)했다 (둔화되었다), 4) 이 달 ...
2020-10-07 10:12 |
![]() |
[기고] <307> 팩트체크 (1). 위액(胃液)의 pH
첨단과학의 시대에도 ‘잘못된 기초 지식’을 바탕 삼아 진행되고 있는 연구들이 적지 않다. 이는 진실의 탑을 모래 위에 세우려 드는 것처럼 결국은 헛수고가 될 수 밖에 없는 일이다. 약제학 영역에서도 그런 ‘잘못된 기초 지식’이 몇 가지 눈에 띈다. 오늘은 ‘위액(胃液)은 늘 산성(酸性)이다’라는 명제에 대해 팩트 체크를 해 보고자 한다.사람이 정제(錠劑)를 복용하면 정제가 처음 만나는 환경이 위액이다. 먹은 약이 약효를 나타내려면 1) 정제 중에 들어 있는 약물(藥物, 약효 성분)이 일단 위액 속으로 용출(溶出), 즉 ...
2020-09-16 10:26 |
![]() |
[기고] <306> 경성약전의 독일어 교수 조희순
경성약학전문학교(1930~1946, 경성약전)의 역대 교수 총 14명 중 한국인 교수는 독일어의 조희순(曹喜淳), 생약학의 도봉섭(都逢涉)과 심학진(沈鶴鎭), 그리고 영어의 배상하(裵相河) 등 4명이었다. 조희순은 1930.4~1933.12, 도봉섭은 1930.5~1942.10, 심학진은 1934.10~1941.12에 교수로 근무한 기록이 있지만 배상하는 1935년경 교수로 재직한 사실 이외에는 자료가 없다. 이하 조희순 교수에 대한 김봉희의 논문 (조희순의 문학연구, 현대문학이론 연구 55집, 2013)을 발췌하여 소개한다. 조희순은 1905년 3월 경남 김해에서 아...
2020-09-02 09:36 |
![]() |
[기고] <305> 사과, 배, 복숭아
지금의 내 생각, 내 주장이 후세에도 옳을지 확신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옛날에 경부 고속도를 만들 때 왜 막대한 돈을 들여 쓸데없는 고속도로를 만드냐고 강력히 반대한 정치 지도자들이 있었다고 한다. 또 올해로 도입 20년을 맞은 의약분업도 2000년 당시에는 반대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 경부 고속도로와 의약분업의 필요성을 부인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어떤 사람의 한 때의 주장이나 신념이 나중에 잘못된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인간이 시공(時空)을 뛰어 넘는 불변의 진리를 깨닫기란 자고(自...
2020-08-19 09:21 |
![]() |
[기고] <304> 언택트 시대의 동창회
나는 금년 2월, 서울대약대 동창회 상임위원회에서 2년 임기의 동창회장직 제안을 받았다. 예상치 못한 일이었다. 지난 4년간 28회 졸업생인 C회장님이 회를 잘 이끌어 왔기 때문에 이번에는 29회 이후의 후배가 회장을 맡는 것이 순리(順理)였다. 그런데 다들 고사하는 바람에 어찌어찌 하다가 오히려 3년이나 선배(25회)인 내게 불똥(?)이 튄 것이다. 아무 걱정(?) 없이 동창회에 참석해 온 나로서는 불의(不意)의 일격(一擊)을 당한 느낌이었다.물론 더 나이 먹기 전에 동창회를 위해 미력을 보태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
2020-08-05 09:41 |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美 바이오시밀러 시장, 2027년까지 60조원 전망" |
2 | 인도 제약사, OTC 인공눈물 제품 美서 자진회수 |
3 | [기획 인터뷰] “팬데믹 겪으며 제약바이오 중요성 공감…스타트업 지원 최선 다하겠다” |
4 | 서울대병원장 재공모 11명 입후보...15일 이사회에서 최종 후보 결정 가능성 |
5 | 메디톡스, 임원 3명 등 총 92명 승진 발령 |
6 | [인터뷰] "다발골수종에서 골격계 합병증 예방은 필수" |
7 | 바이오플러스, '아랍헬스2023 참가' 중동 사업 활성화 기대 |
8 | 복지부, 건강보험 거짓청구 요양기관 20개소 명단 공표 |
9 | 엔젠바이오, 두바이 MEDLAB 참가..."중동 시장 공략" |
10 | 뇌졸중 '첫 해’...우울증 걸릴 위험 가장 높아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