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고] <383> COVID-19 팬데믹과 범약계의 대응
지난 11월 10일 대한약학회 약학사분과학회는 위 제목으로 개최한 심포지엄의 내용을 소개한다.1. 식약처: 식약처는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실시하였는데, 특히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치료제·백신, 진단기기 등 의료제품의 신속한 허가·심사와 더불어 안정적인 유통 및 공급, 국산 제품 개발 지원 활동에 총력을 다하였다.먼저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의 신속한 허가·심사를 위한 전담팀을 조직하여 베클루리주 등 치료제 3건, 코미나티주 등 백신 13건, 126건의 진단시약을 신속하게 허가하였고, 위기...
2023-11-22 09:49 |
![]() |
[기고] <382> 믿음의 성장
하나님을 믿는 믿음은 전적으로 하나님께서 은혜로, 거저 주시는 것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그 믿음을 갖기가 그리 간단치는 않다. 내 경우에는 그랬다. 나의 죄성(罪性) 때문일 것이다.내가 원주에서 군대 졸병(卒兵)으로 근무하던 1972년, 주일마다 사령부에 있는 군부대 교회에 나가기 시작했다. 가면서 길거리에서 호빵도 사 먹을 수 있었고, 무엇보다 졸병에게는 괴롭기만 한 내무반 생활을 잠시나나 피할 수 있었다. 그때가 교회 생활의 시작이었다.군 교회에 나간 첫날 우리 부대 고참병이 하는 대표기도를 들었다. 놀랍게도 그...
2023-11-13 17:22 |
![]() |
[기고] <381> 서울대 천연물과학연구소 80년사 발간
지난 2023년 10월 13일,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80년사(이하 천과연 80년사)’ 발간 기념회가 서울대 약대 20동에서 열렸다. 서울대 약학역사관이 발행한 이 책에는 서울대 약대 이상국 학장의 발간사, 천과연 오동찬 소장의 서론에 이어 국립중앙박물관 박주영 학예사(전 서울대 약학역사관 학예사) 등이 쓴 1. 천과연의 현황, 2. 생약연구소 및 3. 천과연 시절의 역사가 나온다. 그 뒤에 도판목록, 역대 소장 및 전현직 교수명단, 연구실 소개, 역대 연구성과 목록 등이 실려 있다. 총 388쪽의 이 책의 가격은 2만원이다. &nbs...
2023-10-26 21:49 |
![]() |
[기고] <380> ‘사람을 두려워하는 나라, 일본’의 마무리
나는 1979년부터 1982년까지 3년반 동안의 동경대학 유학과 그 후 40년간의 교류를 통하여, 일본 문화는 일본 사람들이 사람(人 = 남)을 두려워하는 바탕 위에 형성되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사람에 대한 두려움은 아마 사무라이의 칼에 대한 공포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나는 그동안 ‘약창춘추’를 통하여 약 15편의 글로 이런 주장을 펴 왔는데, 오늘은 그 내용을 요약해 보고자 한다. 아마추어의 서투른 일본론이라 일부 견강부회(牽强附會)나 침소봉대(針小棒大), 또는 지나친 단순화도 있을 것이지만, 내가 본 일본 사람, 또...
2023-10-19 09:46 |
![]() |
[기고] <379> 노년을 사는 지혜
오늘은 그 동안 단편적으로 언급해 해 온 ‘노년을 사는 지혜’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마침 이 주제로 교회에서 이야기할 기회가 생긴 것이 계기가 되었다. 결론은 ‘노인이 빠지기 쉬운 위험’에 빠지지 않는 것이 지혜라는 것인데, 그 위험을 열거하면 아래와 같다.1. 자기 중심 사고의 위험성 사자와 소가 결혼해서, 소는 사자에게 가장 부드러운 풀을, 사자는 소에게 가장 맛있는 토끼 고기를 갖다 바쳤지만, 서로 이것들을 먹지 않았다. 각자 최선을 다해 상대방을 섬겼지만 이런 반응에 결국 이혼하게 되었다고 한다 (약...
2023-10-11 09:38 |
![]() |
[기고] <378> 약학대학 원로교수 20인의 회고록
2023년 9월 5일, 대한약학회 약학사분과학회는 운영위원회를 열어 지난 7월 31일 발간된 ‘한국약학교육의 발자취(동명사)’의 출판을 자축하였다. 이 책에는 402페이지에 걸쳐 20개 약학대학을 정년퇴직한 교수 20분의 회고담 (인터뷰 형식)이 실렸다. 이날 자축연에는 이 사업을 지원한 대한약학회의 홍진태 전회장과 이미옥 현회장도 참석하였다. 나는 분과학회의 명예회장으로서 이 책의 머리에 다음과 같은 축사를 쓴 바 있다.민속박물관에 가 보면 옛날에 흔하게 볼 수 있던 지게, 호미, 삽, 멍에나 등잔 같은 물건들이 ‘선조들의 ...
2023-09-21 13:54 |
![]() |
[기고] <377> 블루마운틴
일본문부성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동경에서 유학 생활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된 1979년 4월의 어느 날, 모처럼 커피를 마실까 해서 학교 앞에 있는 낏사텐(喫茶店)이라고 하는 고히쇼프(coffee shop)에 들어갔다. 자리에 앉자 연세가 지긋한 영감님이 주문을 받으러 왔다. 젊은 여성 종업원이 주문을 받는 우리나라와 상황이 달랐다. 나는 ‘고히’를 주문 하였다. 일본에서는 커피를 고히(コヒ)라고 한다. 그런데 주문을 받은 영감님이 ‘알겠습니다’ 하지 않고 그냥 서 있는 것이었다. 내 일본어가 짧던 시절이라 약간 당황한 끝에 ...
2023-08-30 11:40 |
![]() |
[기고] <376> 원로 군진약사(軍陣藥師)들의 회고담: 군인의 약도 약사에게!
군진(軍陣) 내에서 무자격자에 의해 의약품이 취급되는 사례가 아직도 적지 않은 현실에서, 과거의 군진약사의 발자취를 돌아보고 앞으로 군진 약사 제도의 나아갈 바를 모색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건군(建軍) 이래 국군 장병들이 어떠한 제도 아래에서 약제 서비스를 받아왔으며, 그 과정에서 약사들이 어떤 역할을 해 왔는가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조사 보고된 바가 없다.이에 대한약학회 약학사 분과학회는 우선 원로 군진약사들의 회고를 통하여 군대 내 약사들의 역할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2023-08-17 07:40 |
![]() |
[기고] <375> AAPS 펠로우 – 작은 깨달음 (26)
나는 30년간 교수로 재직하면서 20개의 국제 학술대회를 조직하거나 좌장을 맡았고, Pharmaceutical Research, J. Pharm. Sci., DMPK, Biopharm. & Drug Dispos. 를 포함한 12개의 국내외 학술지의 편집위원(editorial board member)으로 활동하였다. 처음으로 편집위원이 되었을 경우, 뭐나 된 것 같아 스스로 대견해했던 추억이 새롭다. 이는 양적으로나마 제법 많은 수의 논문을 발표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나는 업적에 비해 상복(賞福)도 많았다. 40개에 가까운 상을 받았는데, 그중 2005년 11월 6일, ...
2023-07-26 10:17 |
![]() |
[기고] <374> 김종국 교수님 1주기
지난 7월 2일 오후 3시, 삼성역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 국화룸에서 고 김종국 교수님의 1주기 추모 모임이 있었다. 이 모임은 ‘도전의 승부사’라는 김교수님의 유고 자서전의 발간을 기념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고인의 제자들과 지인들로 성황(?)을 이룬 이 모임은, 결국 고인의 삶의 성공을 증명해 주는 자리가 되었다.600 페이지가 넘는 자서전 중 500 페이지가 넘는 분량은 고인이 평소에 써 놓으셨던 글들이었고 나머지는 문하생들의 회고담이었다. 책의 머리말은 ‘후손들 보아라’로 시작하는 ‘나의 삶, 나의 인생’이라는 제목...
2023-07-13 10:17 |
![]() |
[기고] <373> 식약청으로의 외출 - 작은 깨달음 (25)
2003년 2월 어느 날 나는 자곡동 집에서 설사약을 먹고 한창 화장실을 들락거리고 있었다. 1994년 직장암 수술 후 정기적으로 받아야 하는 장(腸) 내시경 검사를 위한 준비였다.그때 청와대라고 하는 곳에서 전화가 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청장(식약청장)을 맡을 용의가 있냐는 내용이었다. 놀란 나는 우선 내가 공직을 맡기엔 건강이 부실하다고 대답하였다. 그래도 잘 생각해 보라고 하기에 ‘내일 다시 통화하자’고 대답하였다.다음 날 D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았더니 다행히 장(腸)에 이상은 없었다. 그래서 바로 천문우 학장님을 찾...
2023-06-28 09:32 |
![]() |
[기고] <372> 가족의 수난사 - 작은 깨달음 (24)
아내와 두 아들의 고난도 결코 만만치 않았다. 내가 수술을 받기 7년 전인 1987년, 기침을 자주 하던 아내는 서울대병원에서 폐기관지가 작은 돌들에 의해 막혀 폐포(肺胞)가 쭈그러졌다는 진단을 받았다. 외과 의사는 방치하면 폐암으로 진행될 우려가 크니 쭈그러진 폐 부위를 절제하자고 했다.그러나 기관지내과의 김영환 교수는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돌을 빼는 시도를 해보자고 하였다. 결과적으로 내시경을 사용하여 일부 돌을 빼낼 수 있었다. 기적이었다.신기한 것은 내시경 전날밤 아내의 꿈에 예수님 같은 분이 나타나 아내...
2023-06-23 02:49 |
![]() |
[기고] <371> 직장암 투병 3 - 작은 깨달음 (23)
치료를 받는 도중 및 후에도 아내의 간호는 헌신적이었다. 치료가 끝난 어느 주일, 아내는 숫기가 모자라는 나를 온누리 교회의 당회장실(堂會長室)로 끌고 가 그때부터 2년간 고 하용조 목사님의 기도를 매주 받게 하였다. 당시 유한양행 연구소장이던 이종욱 박사도 동행하여 함께 기도를 받았다.이 박사는 내가 수술을 받고 병원에 누워 있자 한걸음에 달려와 “너를 위해 무엇을 해 주면 좋겠냐?”고 물었다. 내가 “나를 위해 교회에 다녀 주면 좋겠다”고 하자 그는 그 바쁜 와중에도 그때부터 나를 위해 온 누리교회에 출석하기 시...
2023-05-31 08:44 |
![]() |
[기고] <370> 직장암 투병 2 - 작은 깨달음 (22)
콧줄(Levin tube)이 얼마나 불편한지는 경험해 본 사람은 다 알 것이다. 방귀가 안 나와 창자가 부풀고 배가 아프게 되자 젊은 의사는 당연히 콧줄을 다시 삽입하려 들었다. 얼마 동안은 박재갑 교수님의 빽(?)으로 삽입을 막았지만 장의 상황은 더 이상 버틸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문득 약대 김낙두 교수님이 예전에 같은 문제로 고생하다가 한의사 친구분께 침을 맞고 방귀가 나왔다고 하신 말씀이 생각나 전화를 드렸다. 다음날 그 친구분이 이번에는 다른 방법을 알려주셨다고 했다. 즉 A와 B라는 생약(生藥)을 끓여 마셔 보라...
2023-05-17 09:28 |
![]() |
[기고] <369> 직장암 투병 - 작은 깨달음 (21)
1989년 미국 방문을 끝내고 귀국하여 연구와 강의, 학회 일 등으로 분주하게 지내고 있던 1994년 4월의 어느 날, 몇 명의 교수들과 약사회관 근처에서 저녁을 먹고 화장실에 갔다가 깜짝 놀랐다. 대변을 보고 일어나 보니 변기(便器)가 온통 빨간색이었다. 그래서 5월 12일 서울대 병원 외과의 박재갑 교수님의 진찰을 받았다. 박 교수님은 직장에 손가락을 넣어 보더니 그 자리에서 직장암이라고 했다. 정신이 하얘졌다. 심란한 가운데도 운전에 조심하며 자곡동 집으로 돌아왔다.당장 이 이야기를 아내에게 어떻게 꺼낼 것인가부터 ...
2023-04-26 09:15 |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메가트렌드 '비만치료제' 역사상 최단 1000억 달러 시장 전망" |
2 | 올해 바이오헬스 코스닥 상장 13건…지난해 간신히 넘을 듯 |
3 | 세계 최다 ADC 파이프라인 확보 '레고켐바이오' 글로벌 왕좌 노린다 |
4 | 지아이이노베이션 “기술수출보단 상업화 중요…바이오텍 성과 15~20년 걸리기도” |
5 | 전 세계 당뇨 환자 8억 예상…치료제 개발 위한 임상만 72개 |
6 | 바로팜, 피코몰, 블루엠텍..신흥 강자 연속 등장에 긴장'만' 하는 의약품유통업계 |
7 | SK바이오사이언스, 3Q 해외매출 1852억원…전년동기比 203.1%↑ |
8 | [인터뷰] 하만 한국머크 GM, "한국 시장 APAC NO.1이 목표" |
9 | “워라밸 받고 더” 제약업계, 이제는 ‘폭룡적’ 복지가 대세 |
10 | [인터뷰] 신영기 교수 “신약 개발, 남들이 하지 않는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해야”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