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곤란증이란 월경 및 월경 전에 다양한 장애가 출현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말한다. 하복부통, 요통, 하복부팽만감 및 중압감 등이 주요증상으로 일어서기가 힘들며 진통제, 진정제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병적(病的)이라고 할 수 있다.
월경곤란증은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골반내장기염증 등의 기질적 원인과 여성호르몬, 황체호르몬의 균형이상(여성호르몬이 과잉되거나 부족된 경우) 등의 기능적인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양의학적 치료
원인에 따라 호르몬요법이나 수술요법 등이 실시된다. 기본적으로는 대증요법으로 진통제 및 항불안제가 투여된다.
·한방치료
한방치료로는 ‘혈(血)’에 관한 질병으로 생각하여 치료를 실시한다. ‘혈’이 정체된 이상상태를 ‘어혈’이라고 하는데 월경곤란증은 주로 ‘어혈’ 때문에 일어난다고 보고있다. 한방치료에서는 월경곤란증은 물론 부인과 질병에 구어혈제(驅瘀血劑)를 자주 처방한다.
계지복령환은 실증의 어혈을 치료하는 약이다. 허실을 오인하여 허증에 투여하면 설사를 일으키는 일이 있다. 당귀작약산에는 당귀나 천궁이 함유되어 있어 설사 및 위장장애에 주의가 필요하다.
체력이 있고(실증) 체격이 좋은 사람이 어혈이 있을 때에는 계지복령환을 처방한다. 체력이 보통(중간증)으로 현기증 및 어혈이 있을 때에는 당귀작약산을 처방한다. 체력이 없는 경우(허증)는 당귀건중탕을 처방한다.
체력이 있는 경우 |
계지복령환 |
체격이 좋고 어혈이 있는 사람에게 처방한다. |
체력이 보통인 경우 |
당귀작약산 |
현기증 및 어혈이 있는 사람에게 처방한다. |
체력이 없는 경우 |
당귀건중탕 |
위장이 약하고 어혈이 있는 사람에게 처방한다. |
CASE STUDY 1
16세 여성= 월경 출혈이 1개월 이상 지속되어 내원했다. 초경은 13세경으로 이후 월경불순이 이어졌다. |
↓처방
맥은 잡기 힘들게 약하고 복벽의 강력은 정상으로 하복부 전체에 압통이 있어 궁귀교애탕을 처방했다. 1주일후 출혈은 감소했지만 현기증을 호소하여 당귀작약산으로 변경했다. 2주후에는 출혈은 완전히 멈췄다. 그 이후는 양호한 경과를 보였다. |
진단 |
처방 |
복약지도 |
효과 |
출혈지속 |
궁귀교애탕 |
당귀작약산으로 월경불순 치료 |
지혈 후 양호한 경과 |
※ 궁귀교애탕·당귀작약산의 복약지도
궁귀교애탕은 허증의 출혈에 이용되는 처방이다. 허증이므로 식후에 약을 따듯하게 복용하면 좋다. 당귀작약산도 식후에 약을 따듯하게 하여 복용하도록 한다.
CASE STUDY 2
23세 여성= 심한 월경통과 월경불순을 호소했다. 냉증으로 위장이 약하고 맥은 잡기 힘들게 약하며 복부의 탄력도 약하다. 심와부의 저항과 좌하복부에 압통이 있다. |
↓처방
당귀작약산료가부자인삼(부자 0.4g)을 달여서 약으로 처방했다. 1개월후에 부자를 0.8g, 2개월후에 2g으로 증량했다. 3개월후 월경에서는 병용했던 진통제는 복용하지 않았다. 이후 한방약만으로 양호한 경과를 보였다. |
진단 |
처방 |
복약지도 |
효과 |
월경통 |
당귀작약산료 |
처방약으로 월경 조절 |
월경통·냉증 개선 |
※ 당귀작약산료가부자인삼의 복약지도
당귀작약산료가부자인삼의 의미는 냉증이며 중간∼허증의 월경곤란증에 처방되는 당귀작약산에 냉증의 효능을 강하게 하는 의미로 부자를 첨가하고 위장장애에 대해 인삼을 가미한 것이다. 약은 식후에 따듯하게 하여 복용한다. 부자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중독에 주의한다.
그러나 엑스제의 부자는 감독처리(減毒處理)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의 사용량에서는 중독을 일으키지 않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메가트렌드 '비만치료제' 역사상 최단 1000억 달러 시장 전망" |
2 | 올해 바이오헬스 코스닥 상장 13건…지난해 간신히 넘을 듯 |
3 | 세계 최다 ADC 파이프라인 확보 '레고켐바이오' 글로벌 왕좌 노린다 |
4 | 지아이이노베이션 “기술수출보단 상업화 중요…바이오텍 성과 15~20년 걸리기도” |
5 | 전 세계 당뇨 환자 8억 예상…치료제 개발 위한 임상만 72개 |
6 | 바로팜, 피코몰, 블루엠텍..신흥 강자 연속 등장에 긴장'만' 하는 의약품유통업계 |
7 | SK바이오사이언스, 3Q 해외매출 1852억원…전년동기比 203.1%↑ |
8 | [인터뷰] 하만 한국머크 GM, "한국 시장 APAC NO.1이 목표" |
9 | “워라밸 받고 더” 제약업계, 이제는 ‘폭룡적’ 복지가 대세 |
10 | [인터뷰] 신영기 교수 “신약 개발, 남들이 하지 않는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해야”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월경곤란증이란 월경 및 월경 전에 다양한 장애가 출현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말한다. 하복부통, 요통, 하복부팽만감 및 중압감 등이 주요증상으로 일어서기가 힘들며 진통제, 진정제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병적(病的)이라고 할 수 있다.
월경곤란증은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골반내장기염증 등의 기질적 원인과 여성호르몬, 황체호르몬의 균형이상(여성호르몬이 과잉되거나 부족된 경우) 등의 기능적인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양의학적 치료
원인에 따라 호르몬요법이나 수술요법 등이 실시된다. 기본적으로는 대증요법으로 진통제 및 항불안제가 투여된다.
·한방치료
한방치료로는 ‘혈(血)’에 관한 질병으로 생각하여 치료를 실시한다. ‘혈’이 정체된 이상상태를 ‘어혈’이라고 하는데 월경곤란증은 주로 ‘어혈’ 때문에 일어난다고 보고있다. 한방치료에서는 월경곤란증은 물론 부인과 질병에 구어혈제(驅瘀血劑)를 자주 처방한다.
계지복령환은 실증의 어혈을 치료하는 약이다. 허실을 오인하여 허증에 투여하면 설사를 일으키는 일이 있다. 당귀작약산에는 당귀나 천궁이 함유되어 있어 설사 및 위장장애에 주의가 필요하다.
체력이 있고(실증) 체격이 좋은 사람이 어혈이 있을 때에는 계지복령환을 처방한다. 체력이 보통(중간증)으로 현기증 및 어혈이 있을 때에는 당귀작약산을 처방한다. 체력이 없는 경우(허증)는 당귀건중탕을 처방한다.
체력이 있는 경우 |
계지복령환 |
체격이 좋고 어혈이 있는 사람에게 처방한다. |
체력이 보통인 경우 |
당귀작약산 |
현기증 및 어혈이 있는 사람에게 처방한다. |
체력이 없는 경우 |
당귀건중탕 |
위장이 약하고 어혈이 있는 사람에게 처방한다. |
CASE STUDY 1
16세 여성= 월경 출혈이 1개월 이상 지속되어 내원했다. 초경은 13세경으로 이후 월경불순이 이어졌다. |
↓처방
맥은 잡기 힘들게 약하고 복벽의 강력은 정상으로 하복부 전체에 압통이 있어 궁귀교애탕을 처방했다. 1주일후 출혈은 감소했지만 현기증을 호소하여 당귀작약산으로 변경했다. 2주후에는 출혈은 완전히 멈췄다. 그 이후는 양호한 경과를 보였다. |
진단 |
처방 |
복약지도 |
효과 |
출혈지속 |
궁귀교애탕 |
당귀작약산으로 월경불순 치료 |
지혈 후 양호한 경과 |
※ 궁귀교애탕·당귀작약산의 복약지도
궁귀교애탕은 허증의 출혈에 이용되는 처방이다. 허증이므로 식후에 약을 따듯하게 복용하면 좋다. 당귀작약산도 식후에 약을 따듯하게 하여 복용하도록 한다.
CASE STUDY 2
23세 여성= 심한 월경통과 월경불순을 호소했다. 냉증으로 위장이 약하고 맥은 잡기 힘들게 약하며 복부의 탄력도 약하다. 심와부의 저항과 좌하복부에 압통이 있다. |
↓처방
당귀작약산료가부자인삼(부자 0.4g)을 달여서 약으로 처방했다. 1개월후에 부자를 0.8g, 2개월후에 2g으로 증량했다. 3개월후 월경에서는 병용했던 진통제는 복용하지 않았다. 이후 한방약만으로 양호한 경과를 보였다. |
진단 |
처방 |
복약지도 |
효과 |
월경통 |
당귀작약산료 |
처방약으로 월경 조절 |
월경통·냉증 개선 |
※ 당귀작약산료가부자인삼의 복약지도
당귀작약산료가부자인삼의 의미는 냉증이며 중간∼허증의 월경곤란증에 처방되는 당귀작약산에 냉증의 효능을 강하게 하는 의미로 부자를 첨가하고 위장장애에 대해 인삼을 가미한 것이다. 약은 식후에 따듯하게 하여 복용한다. 부자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중독에 주의한다.
그러나 엑스제의 부자는 감독처리(減毒處理)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의 사용량에서는 중독을 일으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