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쳐
박병준의 클래스토리
편집부
입력 2022-09-30 10:51 수정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기록을 들추며 소소한 기쁨을…아카이브의 매력

대부분의 오케스트라와 공연장은 인터넷 상에 그들의 홈페이지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 홈페이지를 통해 우리는 공연 일정을 알 수 있고 티켓을 예매할 수 있습니다. 또, 오케스트라 단원들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오케스트라와 공연장의 역사를 흥미롭게 읽어볼 수 있기도 하지요. 공연과 리허설 사진들을 생생하게 전달해주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대세인 요즘에도 위에서 언급한 홈페이지의 기능들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비록, 일부 오케스트라와 공연장의 경우로 한정된 것이긴 하지만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는 흥미로운 항목이 있습니다. 바로 아카이브(Archive) 입니다. 아카이브는 ‘기록 보관소’를 의미하는데 이 아카이브가 인터넷 홈페이지에 존재하다보니 ‘디지털 아카이브(Digital Archive)’ 라고 표기되곤 합니다. 

아카이브에 담겨 있는 기록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우선 오케스트라와 공연장의 공연 프로그램 기록을 들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이렇게 반문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언제 어떤 지휘자가 무슨 작품들을 지휘했다는 식의 기록이 그렇게 흥미롭겠나 하고요. 하지만, 이런 기록이 100년이 넘게 쌓여온 것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한 오케스트라나 공연장의 유구한 역사가 이미 느껴짐과 동시에 우리가 문득 궁금해할 수 있는 질문들에 대한 답을 줍니다. 

그 질문들이란 이를테면, 20세기 전반에 작곡가이자 당대의 명 피아니스트였던 라흐마니노프(S. Rachmaninoff, 1873-1943)는 어떤 프로그램으로 피아노 리사이틀을 열었을까? 말러(G. Mahler, 1860-1911)가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이하 빈 필)를 지휘할 때, 어떤 작품들이 연주되었을까? 같은 것들이죠. 이렇게 특정 연주회의 기록을 들춰보는 것도 흥미롭지만 이를 보다 긴 안목에서 관찰하면 시간의 흐름에 따른 프로그램 구성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기도 합니다. 필자가 이전 칼럼 <리사이틀과 협주곡>에서 다루었듯이 바이올린 리사이틀에서 20세기 전반에는 협주곡이 자주 연주되었다가 점차 협주곡 대신 소나타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는 것이 하나의 예이죠.

오랜 시간 쌓여간 공연 프로그램 기록을 홈페이지에 제공하는 대표적인 오케스트라로는 1842년 같은 해에 창단된 빈 필과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이하 뉴욕 필)를 들 수 있습니다. 또, 1881년 창단된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역시 앞의 두 오케스트라처럼 창단부터 현재에 이르는 모든 공연들의 프로그램 기록을 제공하지요. 공연장으로는 뉴욕의 카네기홀과 밀라노의 스칼라 극장, 그리고 빈의 대표적인 세 공연장인 무직페라인과 콘체르트하우스, 그리고 국립 오페라 극장을 들 수 있겠습니다. 다만, 무직페라인과 스칼라 극장은 개관 시점이 아닌, 각각 1924년과 1950년부터의 공연 기록을 제공하며 빈의 국립 오페라 극장은 1955년부터는 모든 오페라 및 발레 공연 기록을 제공하지만 개관 시점인 1869년부터 1955년까지는 다수의 오페라 공연 기록만을 제공합니다.

뉴욕 필의 디지털 아카이브 화면 갈무리

이 중 뉴욕 필의 디지털 아카이브는 매우 특별한 면모를 갖추고 있습니다. 공연 프로그램 기록도 풍부하지만 다른 아카이브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귀한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이지요. 그 자료는 바로 악보입니다. 일반 악보가 아닌 지휘자들이 직접 사용하면서 이런저런 사항들을 체크해놓은 스코어와 오케스트라 파트 악보입니다. 이 자료의 규모는 굉장히 방대해서 현 시점을 기준으로 스코어는 4200개, 파트 악보는 무려 3만6000개가 넘을 정도입니다. 이곳에 있는 다양한 작품들의 악보에는 뉴욕 필을 거쳐간 많은 지휘자들의 손길이 담겨 있는데 대표적으로 번스타인(L. Bernstein, 1918-1990)과 토스카니니(A. Toscanini, 1867-1957), 그리고 라인스도르프(E. Leinsdorf, 1912-1993) 등이 있습니다. 심지어 말러의 표기가 담겨 있는 스코어도 있지요. 

이 아카이브는 기술적으로도 굉장히 훌륭해서 스코어의 작은 부분을 계속해서 확대해도 화면의 선명도가 높게 유지되는데 이로 인해 지휘자들이 살짝 표기해놓은 부분도 생생하게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지휘자들이 악보에서 강조해놓은 부분, 템포 표기 그리고 악보 수정 등을 볼 수 있는 학문적으로도 가치가 높은 아카이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오케스트라와 공연장의 경우는 어떨까요? 서울 시립 교향악단과 KBS 교향악단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오케스트라와는 달리 영상 기록을 중심으로 공연 관련 기록들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점은 흥미롭고 가치가 높지만 2000년대 이전의 공연 기록들이 부족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두 오케스트라의 역사가 결코 짧지 않다는 것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지요. 공연장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술의 전당과 세종문화회관은 따로 아카이브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은데 오랫동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공연장이었던 이 공간에서의 공연 기록들이 잘 정리되어서 따로 제공된다면 그 자체로 상당히 흥미롭지 않을까 합니다.

글을 쓰며 기록의 가치에 대해, 특히 오랜 시간에 걸쳐 기록된 것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됩니다. 또 그 기록을 나누는 것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 다룬 오케스트라와 공연장의 기록들 뿐 아니라 음악과 관련된 흥미롭고 소중한 기록들을 호기심에 들춰가며 소소한 기쁨을 맞볼 수 있는 기회가 더 자주 생겨나기를 기대합니다.

추천 사이트: 이번 글에서는 영상 대신 본문에서 언급한 오케스트라와 공연장의 아카이브 페이지를 소개합니다.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https://www.wienerphilharmoniker.at/en/konzert-archiv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https://archives.nyphil.org/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https://www.bso.org/about/archives
뉴욕 카네기홀: https://www.carnegiehall.org/About/History
밀라노 스칼라 극장: https://www.teatroallascala.org/archivio/ricerca.aspx?lang=en-US
빈 무직페라인: https://www.musikverein.at/en/concerts-archive
빈 콘체르트하우스: https://konzerthaus.at/archive
빈 국립 오페라 극장: https://archiv.wiener-staatsoper.at/


<필자소개>
박병준씨는 음악학자이자  음악칼럼니스트로 오스트리아 그라츠 국립음악대학교에서 비올라를 전공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박사학위(음악학)를 취득했다. 현재는 광명 심포니 오케스트라 비올라 수석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박병준의 클래스토리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박병준의 클래스토리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