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약대 6년제의 약학교육체계를 통해 한층 업그레이드된 신약사들이 배출되는 2015년 6년제 신약사 시대 개막에 대비하여 4년제를 졸업한 약사들이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약사회 차원의 진지한 고민을 해야 할 시점이다.
약사직능에 충실하고 새로운 약학교육 체계에 적응하기 위해 약사 스스로가 연구하고 공부하여 학문적 수준을 높이고 풍부한 임상지식과 약물정보를 습득하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며, 약사회는 약사들이 공부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도 하고, 다양한 연수교육 기회를 제공함은 물론 연수교육의 질적 수준을 많이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약대 6년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선 기존약사의 재교육을 통한 약사 레벨업과 기존 4년제와 6년제 졸업약사 간의 학문적, 세대적, 정서적 간격과 차이(GAP)를 극복하고 약사로서 동질성을 확보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자칫 이 문제를 약사회나 회원들이 소홀히 하거나 방치하게 된다면 우리는 예기치 못한 어려움과 혼란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약사회는 기존약사들의 재교육을 통한 6년제 졸업생들과의 학문적 차이를 최소화 하는 노력을 전개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약사회가 주도하는 상설연수원의 설립과 함께 동 연수원을 통해 약사들이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고 필요한 교육을 상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체제구축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우리보다 약대 6년제를 앞서 실시하고 있는 일본의 경우 약대6년제를 도입하면서 대학마다 6년제 약학교육의 목적에 맞는 신교육과정(敎育課程) 또는 신 커리큘럼(curriculum)을 시행하고 기존 4년제 약사와의 학제 간극을 줄이기 위해 4년제 과정을 졸업한 약사를 위한 '신 커리큘럼 대응연수'의 교육사업을 재단법인 일본 약제사연수센터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제 막 약대 6년제 시행에 들어간 우리의 실정에서 기존 약사와 6년제 신약사와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일본의 사례는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분석] 잉글우드랩, 북미 진출 '희망의 등불' 되나 |
2 | 셀트리온 "휴미라 시밀러 美 FDA 승인" |
3 | 아리바이오, 26일 경구용 치매치료제 한국·미국 임상의 미팅 개최 |
4 | 신풍제약, 2023년 1Q 영업손실 116억... '적자지속' |
5 | 신풍제약, 2023년 매출 기여도 1위 '신풍대우베트남파마' |
6 | '코로나19 백신' 기업 재도약 할까? 아이진·셀리드·유바이오로직스 등 사업 다각화 |
7 | 종목 가리지 않는 제약사 스포츠마케팅…”이유 있다” |
8 | “팬심 잡아라” 제약업계, 팬슈머 소통 바람 |
9 | [인터뷰] 우정바이오 “애플은 창고에서 시작했지만, 신약개발은 불가능하다” |
10 | 간무협, "간협은 가짜뉴스 중단하고 대화에 임하라"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새로운 약대 6년제의 약학교육체계를 통해 한층 업그레이드된 신약사들이 배출되는 2015년 6년제 신약사 시대 개막에 대비하여 4년제를 졸업한 약사들이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약사회 차원의 진지한 고민을 해야 할 시점이다.
약사직능에 충실하고 새로운 약학교육 체계에 적응하기 위해 약사 스스로가 연구하고 공부하여 학문적 수준을 높이고 풍부한 임상지식과 약물정보를 습득하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며, 약사회는 약사들이 공부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도 하고, 다양한 연수교육 기회를 제공함은 물론 연수교육의 질적 수준을 많이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약대 6년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선 기존약사의 재교육을 통한 약사 레벨업과 기존 4년제와 6년제 졸업약사 간의 학문적, 세대적, 정서적 간격과 차이(GAP)를 극복하고 약사로서 동질성을 확보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자칫 이 문제를 약사회나 회원들이 소홀히 하거나 방치하게 된다면 우리는 예기치 못한 어려움과 혼란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약사회는 기존약사들의 재교육을 통한 6년제 졸업생들과의 학문적 차이를 최소화 하는 노력을 전개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약사회가 주도하는 상설연수원의 설립과 함께 동 연수원을 통해 약사들이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고 필요한 교육을 상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체제구축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우리보다 약대 6년제를 앞서 실시하고 있는 일본의 경우 약대6년제를 도입하면서 대학마다 6년제 약학교육의 목적에 맞는 신교육과정(敎育課程) 또는 신 커리큘럼(curriculum)을 시행하고 기존 4년제 약사와의 학제 간극을 줄이기 위해 4년제 과정을 졸업한 약사를 위한 '신 커리큘럼 대응연수'의 교육사업을 재단법인 일본 약제사연수센터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제 막 약대 6년제 시행에 들어간 우리의 실정에서 기존 약사와 6년제 신약사와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일본의 사례는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