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제2차 건강보험 종합계획은 중장기 건강보험정책 방향과 기조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제약업계가 유독 관심을 갖는 부문은 혁신신약에 대한 가치보상과 필수의약품의 안정적 공급, 신약 등재기간 단축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그중에서도 국산원료를 사용한 국가필수의약품이 보험약으로 신규 등재 될 경우 약가측면에서 다른 제네릭보다 우대한다는 약가정책 관련 부문으로 오리지널 약가 대비 최고 수준으로, 최초 등재 제네릭보다 더 높은 약가가 산정되고 국가필수약 지정 성분의 기등재 제네릭 원료를 외국산에서 국산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상한금액을 인상해 원가 인상분을 반영하는 등 정부 당국이 약가와 관련 이전과는 달라진 전향적 자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그동안 복지부 약가정책은 곧 약가인하를 의미했다. 정확히 셀 수도 없을 다양한 약가인하 기전 작동을 통해 이미 정해진 보험약가를 내리는데 초점이 맞춰졌던 약가정책이 모처럼 인하가 아닌 인상 방안이 발표된 셈이다. 정확히 말하면 약가정상화란 표현이 더 적절하겠지만 아무튼 그동안 내리기만 했던 약가가 경우에 따라 오를수도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합리적 규제 혁신과 예측가능한 약가제도 설계, R&D 혁신성과에 대한 적정가치 보상,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필수의약품과 원료의약품의 국내생산시 인센티브제 도입 등 그동안 업계가 요청해 온 약가제도 개선 요청에 대해 정부당국이 응답한 것으로 해석되어 더욱 시의적절했다고 보여진다.
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제2차 건강보험 종합계획은 중장기 건강보험정책 방향과 기조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제약업계가 유독 관심을 갖는 부문은 혁신신약에 대한 가치보상과 필수의약품의 안정적 공급, 신약 등재기간 단축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그중에서도 국산원료를 사용한 국가필수의약품이 보험약으로 신규 등재 될 경우 약가측면에서 다른 제네릭보다 우대한다는 약가정책 관련 부문으로 오리지널 약가 대비 최고 수준으로, 최초 등재 제네릭보다 더 높은 약가가 산정되고 국가필수약 지정 성분의 기등재 제네릭 원료를 외국산에서 국산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상한금액을 인상해 원가 인상분을 반영하는 등 정부 당국이 약가와 관련 이전과는 달라진 전향적 자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그동안 복지부 약가정책은 곧 약가인하를 의미했다. 정확히 셀 수도 없을 다양한 약가인하 기전 작동을 통해 이미 정해진 보험약가를 내리는데 초점이 맞춰졌던 약가정책이 모처럼 인하가 아닌 인상 방안이 발표된 셈이다. 정확히 말하면 약가정상화란 표현이 더 적절하겠지만 아무튼 그동안 내리기만 했던 약가가 경우에 따라 오를수도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합리적 규제 혁신과 예측가능한 약가제도 설계, R&D 혁신성과에 대한 적정가치 보상,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필수의약품과 원료의약품의 국내생산시 인센티브제 도입 등 그동안 업계가 요청해 온 약가제도 개선 요청에 대해 정부당국이 응답한 것으로 해석되어 더욱 시의적절했다고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