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대증설, 한약사 문제 등 위기의 약사사회 현안을 해결하며, 앞으로 3년 간 대한약사회를 이끌 수장으로 어떤 인물을 뽑아야 할까?
제 39대 대한약사회장 선거 후보자 정책 토론회가 29일 대한약사회관 1층 대강당에서 개최, 기호 1번 최광훈 후보와 기호 2번 김대업 후보는 현안 관련 정책 제시와 각각의 공약을 제시했다.
현안 토론에서는 4가지 현안을 주제로 각 후보가 번호를 선택해 주제에 해당하는 입장(2분)을 밝히고, 상대 후보의 반론(2분)과 재반론(1분)의 순서로 진행 됐다.
먼저 최광훈 후보는 '약대증설 및 정원 증원 문제'를 선택, 약대 증설이 안되는 이유에 대한 질문을 택했다.
최광훈 후보는 약대 증원의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남은시간에도 할수있는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회 위원장 장관 면담 등을 통해 모든 수단을 통해 막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김대업 후보는 "문재인 정부가 가장 비민주적인 절차를 밟고 있다. 당사자인 약학계 약학교육계 약사회 의견을 듣고 있지 않다"며 "정상적 절차와 논의구조를 만들어가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해 달라"고 질문을 던졌다.
최 후보는 "관계자들의 대화가 가장 먼저라고 생각한다"며 "사태가 많이 진행이 됐기 때문에 과거에 어땠다 얘기할 시간과 여유가 없다. 남은 시간에 장관도 만나고 교육위원들도 만나서 막을 방안을 최대한 동원하겠다"고 답했다.
김대업 후보는 '약국 보조원과 한약사 문제'에 대한 입장과 대안을 묻는 질문을 선택, 이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대업 후보는 "약국보조원 문제는 이전에는 전문카운터 척결전까지 논의할 수없다 반대한다는 입장이었다면 지금부터는 약국보조원에 대한 논의는 시작해야한다고 생각한다"며 "선거기간 병원 방문 시 병원약사들의 항암조제 과정을 봤다. 병원약사후배들은 대부분 가임기 여성이다. 서울상급종병에는 로봇이 들어오고있다. 이런 상황에서 가임기 여성에게 그일을 하라는게 말이되는가 의문이 들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현재 약국보조원 문제는여러 현실적 문제를 안고있다. 신흥 약사들의 진로에 방해가 되지않는 범위에서 보조원 범위에 대한 논의가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약사 문제에 대해서는 "현시점에서 통합약사라는 논의 자체를 반대한다"며 " 다만, 업무범위를 벗어난 일을 막아야 한다. 이에 한약학과 폐과가 답"이라고 답했다.
이에 최광훈 후보는 "약국 보조원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한다. 보조원을 도입하자는 이야기인가"를 묻고 "한약사 문제의 첫번째가 한약학과 폐과라고 했는데, 이는 쉬운 일이 아니다. 복안을 갖고 있냐"고 되물었다.
김 후보는 "선거과정에서 정책토론회는 흑백논리를 요구하기 쉽다. 보조원 문제는 도입 찬반이 아니라 논의 시작을 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어렵다고 하지 않아야 하나, 그대로 두어야 하냐"고 되물고 "한약학과 폐과는 해야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다음 현안질의에서 최광훈 후보는 '약사의 의료인 포함'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을 선택했다. 이에 대한 답변으로 최 후보는 "약사는 의료인으로 편입돼야 한다"고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또, "약사의 직역 확대, 역할 확대는 반드시 풀고 나가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미국 등에서 보면 간단한 백신이나, 간단한 주사라든지 등은 약사에게 허용되는 것으로 알고있다. 저희도 제도정비를 해서 이런 부분을 약사가 받아서 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에 김대업 후보는 "약사의 의료인 편입 공약은 정밀검토가 필요하다"며 "의료인에 종속되지 않는 약사가 의료인으로 들어가서 '약사 역할이 더 좋아질 것이다' '행정처분 가벼워질 것이다'라는 접근은 굉장히 위험하다. 이미 약사는 의료인 역할을 하고있고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고 반론을 제기했다.
이에 최광훈 후보는 "의료인 편입이 된다고 해서 약사법이 의료법을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의료인이 포함돼도 간호사들처럼 별도의 간호사법처럼 각자 포함된 범위 내에서 일을 할 수 있다"고 재반론을 가했다.
최 후보의 답변에 김대업 후보는 다음 질의에 앞서 "팩트체크를 위해 간호사가 '간호사법'을 가진 것은 사실이 아니라며 간호사법은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의료법과 약사법처럼 독립된 간호사법은 제정돼 있지 않다.
현안 질의의 마지막은 약사회의 오랜 숙원 사업인 '성분명 처방'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으로 김대업 후보는 "국제일반명 INN도입 시행규칙변경으로 가능하다. 수많은 의약품을 허가과정에서 성분명 하나로 바꾸는 도입이 국민인식을 바꿀 것이다. 허가과정에서 사후통보없이 대체조제 가능토록 해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수많은 공공의료기관 보건소 등 또는 특정 지역별 형태로 시행사업이 진행돼야한다. 그러한 시범사업이 성분명 처방을 실현가능한 정책의 반열에 올려 놓을 것이다. 대체조제가 성분명 처방의 전조라는 부분에 대해 대체조제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약사공론은 "만약 김성철 소장이 양덕숙 후보 저서의 구입 또는 우편배송에 한국약사학술경영연구소의 자금을 사용했다면 이는 업무상 배임 등 형사범죄에도 해당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이러한 금권 선거는 역대 약사회 직선제 사상 초유의 부정 선거의 막장이라고 단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약사공론, 2018.11.30.)
사실이라면 업무상 배임 또는 횡령죄가 맞습니다. 사실 둘다 형량은 동일합니다.
지금 대약회장 후보로 나온 최광훈 후보와 함께 누구 빽을 믿고 이런 난장판을 저지러고 있겠습니까? 썩어빠진 대약 조차니 아니겠습니까?
대약선관위는 힘도 없고, 조차니를 위시한 그 일당들 눈치때문에 제대로 처리할 능력도 의사도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바로 사법당국에 고발하시는게 약사사회 정의구현을 위한 길이라고 믿습니다.
소장 직무대행이 왜, 무엇때문에, 누구의 사주를 받아 이런 위법부당한 짓을 했겠습니까?
이번에는 완전히 갈아엎어야 됩니다.
썩어도 너무 썩었다.
도대체 어디까지 썩었는지를 알 수가 없다.
약사공론이 아무리 대약 기관지이지만, 그래도 언론사인데
언론사 정찬헌 전무까지 부정선거판에 뛰어들 수 있단 말입니까?
(약사공론, 메디파나뉴스, 2018.11.29.)
대약이 이런 꼴이니 그동안 무슨 일이 제대로 될 수가 있었겠습니까?
근데 대약회장 조찬휘 중대, 최광훈 중대, 약사공론 사장도 중대인가요?
그러다 후배님을 지지하던 젊은 약사님들!
허위사실을 전국 약사님들에게 문자로 뿌리다 걸리면 형법 제307조 명예훼손죄로 감방가서 콩밥 먹으면 어떻게 책임지겠니?
물론 광후니도 범죄를 사주한 혐의로 같이 가기는 가겠지만...
(보건뉴스, 데일리팜, 2018.11.29.)
그리고 머리가 다 큰 약사들이 이런 짓하면 감방간다는 것 쯤은 알고 스스로 자중할 줄도 알아야지...시키면 시킨대로 하는게 참 보기 안스럽구먼.
최광훈 후보는 "의료인 편입이 된다고 해서 약사법이 의료법을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의료인이 포함돼도 간호사들처럼 별도의 간호사법처럼 각자 포함된 범위 내에서 일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 실제는 의료법과 약사법처럼 독립된 간호사법은 제정돼 있지 않다고 약업신문은 지적했다. (약업신문, 2011.11.30.)
뭘 제대로 알기나 하고 떠드는건지 이거야 원! 창피스러워서...
그리니까 사회정의니 뭐니 떠들면서 한약사에게 일반약 판매권과 조제권을 주는 통합약사니 뭐니 떠들고 있잖아요. (데일리팜, 2015.11.15.)
한약사들이 약대6년 공부를 했습니까? 약사면허증이 있습니까? 이거야 원...
그러다 후배님을 지지하던 젊은 약사님들!
허위사실을 전국 약사님들에게 문자로 뿌리다 걸리면 형법 제307조 명예훼손죄로 감방가서 콩밥 먹으면 어떻게 책임지겠니?
물론 광후니도 범죄를 사주한 혐의로 같이 가기는 가겠지만...
(보건뉴스, 데일리팜, 2018.11.29.)
그리고 머리가 다 큰 약사들이 이런 짓하면 감방간다는 것 쯤은 알고 스스로 자중할 줄도 알아야지...시키면 시킨대로 하는게 참 보기 안스럽구먼.
이번에는 완전히 갈아엎어야 됩니다.
썩어도 너무 썩었다.
도대체 어디까지 썩었는지를 알 수가 없다.
약사공론이 아무리 대약 기관지이지만, 그래도 언론사인데
언론사 정찬헌 전무까지 부정선거판에 뛰어들 수 있단 말입니까?
(약사공론, 메디파나뉴스, 2018.11.29.)
대약이 이런 꼴이니 그동안 무슨 일이 제대로 될 수가 있었겠습니까?
간호사법이라니! 최광훈 후보는 뭐 제대로 아는게 뭐요?
조찬휘 대약회장 중앙대 동문, 대약 부회장, 경기도약사회장으로서
지난 6년동안 약사회를 좌지우지 행세께나 했는데
그때 어떻게 하셨길래 약대신설 사태가 이지경에까지 이르렀을까?
지금이라도 다른사람 탓만 하시지 마시고
무릅꿇고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면서
자연인으로 돌아가시는게 순리라고 생각한다.
그러시면 약사님들도 용서해주실는지...
근데 자네가 대약부회장, 경기도약사회장 있을때 신설약대, 약대정원 증원 문제는 어떻게 논의되었었나? 지금이야 생까고 있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