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연 의원 "화상투약기 반대, 동네약국 역할 중요"
약사 전문성 활용해야…전문직 능력 발휘 환경 조성 필요
입력 2016.07.25 06:00 수정 2017.04.03 03:10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김명연 의원이 동네약국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화상투약기 도입 반대입장을 밝혔다.

김명연 새누리당 의원은 최근 보건의료전문지협의회와의 인터뷰를 통해 화상투약기 도입에 대해 분명한 반대의견을 밝히고, 약사 등 전문직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19대 국회에 이어 20대 국회에서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게된 김 의원은 화상투약기 도입에 대해 "보건의료분야를 경제나 산업분야의 문제로 보고 화상투약기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데, 동네약국의 역할이 분명하기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약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복약지도를 하고, 환자를 도와가며 지역주민의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동네약국의 역할이다"라며 "대형마트와 동네슈퍼의 역할이 다르듯 대형의료기관과 동네병의원, 약국의 역할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어 "약사자격증은 국가가 발행한 전문자격증이다. 전문직들이 자존감을 갖고 전문성을 발휘해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지, 일반 물건을 판매하는 것과 다름없는 일을 하게 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다만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의 통과는 찬성했다. 서비스산업발전법은 해외의료 전문 코디네이터와 의료 통역사 등 의료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 영역을 구축하는 장치를 마련하기 때문에 내수활성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의 핵심이라는 것이다.

서비스산업발전법이 제정되더라도 건강보험 당연지정제와 의료영리화를 금지하고 있는 현행 의료법을 고치기 전에는 의료영리화는 이루어질 수 없는 구조 속에 있기에, 국민건강이 위협받을 일은 절대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김명연 의원은 의약품 낱알식별표시제에 대해 식약처와 약사회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김 의원은 2015년도 식품의약품안전처 결산심사에서 식약처가 의약품 낱알식별 표시제를 직접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김 의원은 "보다 집중적으로 의약품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는 의도로 문제를 제기한 것인데, 식약처의 의견이 제시된 만큼 재논의를 진행중이다"며 "이 분야의 전문가인 식약처와 약사회의 의견을 충분히 존중해 추가 논의할 것이다"고 말했다.

더불어 김명연 의원은 "19대 국회 전후반기 모두 보건복지위원으로 활동했고, 이러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20대 국회에서도 보건복지위원회를 선택했다"라며 "보건의료계는 직역갈등이 많은 곳인데 복지위원으로서 직역간 양보와 소통을 도울것이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제도]김명연 의원 "화상투약기 반대, 동네약국 역할 중요"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제도]김명연 의원 "화상투약기 반대, 동네약국 역할 중요"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