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 3차원 AI 유방암 분석 솔루션 식약처 허가 획득
루닛 인사이트 DBT, 기존 2차원 유방촬영술 대비 정확한 진단 제공
"유방암 조기 발견, 환자 적시치료 위해 유통망 확대 - 판매 집중"
입력 2025.05.15 08:01 수정 2025.05.15 08:17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의료 인공지능 기업 루닛(대표 서범석)이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차원(3D) 유방단층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DBT'의 의료기기 허가를 획득했다.

루닛 인사이트 DBT는 유방단층촬영술의 3차원 영상을 AI 기반으로 분석해 의료진의 유방암 진단을 보조하는 제품이다. 이 제품은 지난 2023년 11월 미국 FDA로부터 시판 전 허가를 받고, 사이먼메드 이미징(SimonMed Imaging), 레졸루트(Rezolut) 등 미국 내 대형 이미징센터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루닛은 이번 식약처 승인에 따라 국내 판매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인사이트 DBT는 기존 2차원 유방촬영술 대비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고, 한국 등 동양인 여성에서 흔히 발견되는 치밀 유방에 대한 정밀진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수요가 높다. 특히 보건복지부가 지난 3월 고시를 통해 DBT 검사를 급여 항목으로 신규 지정함에 따라  DBT 검사량 증가와 함께 AI 기반 진단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루닛은 유방암 예방을 위한 검진 여성과 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이 루닛 인사이트 DBT를 통해 수준 높은 진료 및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유통망 확대와 제품 판매에 집중할 예정이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유방암은 전 세계 여성암 발병률 1위로서 암 진단 시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만큼, 암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정밀진단 수요가 높다"며 "이번 허가를 통해 여성들이 암을 미리 발견하고 적시에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제품 공급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말 열린 북미영상의학회(RSNA)에서 미국 에모리대학교병원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루닛 인사이트 DBT의 AUC(AI 모델의 성능 지표)는 0.92를 기록했다. 특히 인종, 민족, 연령, 유방 밀도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고성능을 유지했으며, 석회화와 같이 비교적 판독하기 어려운 병변 유형에서도 높은 진단 성능을 나타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객관적 효능평가, 우리가 책임진다" 디티앤씨알오, 안 질환 분석 깊이를 더하다
이기일 차관, 32년 정든 복지부 떠났다…“감사했다, 의료계‧정부 같이 가야”
김남주바이오 "증상 완화 넘어 근본 개선"…약국 맞춤 건기식 솔루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병원·의료]루닛, 3차원 AI 유방암 분석 솔루션 식약처 허가 획득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병원·의료]루닛, 3차원 AI 유방암 분석 솔루션 식약처 허가 획득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