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분자진단 전문기업 젠큐릭스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4년 연례학회에서 발표할 연구결과 2건의 초록이 공개됐다.
이번에 발표될 연구 결과는 대장암 조기진단 기술 ‘콜로이디엑스(COLO eDX)’와 암 동반진단 검사 ‘드롭플렉스 돌연변이 검사(Droplex Mutation Test)’에 대한 것으로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김진수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수행했다.
첫 번째 연구는 젠큐릭스 대장암 조기진단 검사 ‘콜로이디엑스’의 미세잔존 질환검사(MRD)로서 임상적 성능을 평가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현재 수술 후 모니터링 검사로 사용되는 단백질 표지자 검사(CEA검사)보다 높은 임상적 유효성을 확보해 대장암 조기진단 뿐만 아니라 수술 후 모니터링 검사로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2023년 AACR 학회에서 소규모 임상 시험을 통해 MRD 검사로서 유효성을 발표한 뒤 올해 확장된 임상 연구 결과며, 대장암 환자 총 116명을 대상으로 수술 후 추적관찰을 통해 여러 시점에서 콜로이디엑스 검사를 수행했다. 1차 평가변수로 무재발 생존기간(RFS)을 설정해 검사 결과가 수술 후 재발 발생과 일치하는지 평가했다.
젠큐릭스 회사 관계자는 "콜로이디엑스는 혈액 기반 디지털 PCR 검사로 분변 검사보다 편의성이 높고, 혈액 기반 NGS 검사보다 적은 비용으로 정확한 결과 구현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두 번째 연구는 총 187명 환자 대장암 관련 주요 유전자 변이(KRAS, NRAS, BRAF)를 대상으로 하는 동반진단 검사 '드롭플렉스 돌연변이 검사'를 통해 암 조직과 혈액 검체에서 검출 성능을 비교 평가했다. 두 검체 간 높은 검사 일치율을 보여 기존 암 조직 검체 뿐만 아니라 대장암 환자 혈액이 검체로 활용될 수 있음이 입증됐다.
ASCO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유럽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 학회 중 하나로 꼽힌다. 미국 시카고에서 이달 31일부터 내달 4일까지 진행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코스피 제약바이오 지배지분순이익 톱5 'SK바이오팜 삼성바이오 JW생명 일성아이에스 삼진제약' |
2 | 박셀바이오, 간암 대상 NK세포 치료제 원천특허 등록 |
3 | 신라젠, 유사분열 체크포인트 억제제 'BAL0891' 특허권-소유권 이전계약 |
4 | ‘엔허투’+‘퍼제타’ 유방암 PFS 고도 괄목 개선 |
5 | K-ODM 업계, '항노화'로 미래 전략 설정 |
6 | 80주년 앞둔 대한약학회, 제약-학계 잇고 지속가능 약학 미래 모색 |
7 | 2024년 글로벌 제약, 안정적 성장세 이어가 |
8 | "제약바이오·화장품 산업 미래를 만나다" ICPI WEEK 2025 성대히 개막 |
9 | 아이빔테크놀로지,미국암연구학회서 차세대 AI 이미지 분석 솔루션 공식 출시 |
10 | 한국 '히알루론산-보톡스', 급성장 중국 미용주사제 시장 '주도'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암 분자진단 전문기업 젠큐릭스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4년 연례학회에서 발표할 연구결과 2건의 초록이 공개됐다.
이번에 발표될 연구 결과는 대장암 조기진단 기술 ‘콜로이디엑스(COLO eDX)’와 암 동반진단 검사 ‘드롭플렉스 돌연변이 검사(Droplex Mutation Test)’에 대한 것으로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김진수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수행했다.
첫 번째 연구는 젠큐릭스 대장암 조기진단 검사 ‘콜로이디엑스’의 미세잔존 질환검사(MRD)로서 임상적 성능을 평가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현재 수술 후 모니터링 검사로 사용되는 단백질 표지자 검사(CEA검사)보다 높은 임상적 유효성을 확보해 대장암 조기진단 뿐만 아니라 수술 후 모니터링 검사로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2023년 AACR 학회에서 소규모 임상 시험을 통해 MRD 검사로서 유효성을 발표한 뒤 올해 확장된 임상 연구 결과며, 대장암 환자 총 116명을 대상으로 수술 후 추적관찰을 통해 여러 시점에서 콜로이디엑스 검사를 수행했다. 1차 평가변수로 무재발 생존기간(RFS)을 설정해 검사 결과가 수술 후 재발 발생과 일치하는지 평가했다.
젠큐릭스 회사 관계자는 "콜로이디엑스는 혈액 기반 디지털 PCR 검사로 분변 검사보다 편의성이 높고, 혈액 기반 NGS 검사보다 적은 비용으로 정확한 결과 구현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두 번째 연구는 총 187명 환자 대장암 관련 주요 유전자 변이(KRAS, NRAS, BRAF)를 대상으로 하는 동반진단 검사 '드롭플렉스 돌연변이 검사'를 통해 암 조직과 혈액 검체에서 검출 성능을 비교 평가했다. 두 검체 간 높은 검사 일치율을 보여 기존 암 조직 검체 뿐만 아니라 대장암 환자 혈액이 검체로 활용될 수 있음이 입증됐다.
ASCO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유럽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 학회 중 하나로 꼽힌다. 미국 시카고에서 이달 31일부터 내달 4일까지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