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 이전 미디어 시청, 사회성 발달 지연시켜
한림대동탄성심병원 김성구 연구팀, 아동 미디어 노출과 사회성 발달 영향 분석
입력 2023.03.30 15:19 수정 2023.03.30 18:1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스마트폰 등 미디어 기기와 영상 콘텐츠 플랫폼의 발달로 많은 아동이 이른 나이에 미디어를 시청하고 있다. 그러나 2세 이전 미디어 노출은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성구 교수 연구팀은 SCI급 국제저널인 ‘Global Pediatic Health’에 게재한 ‘미디어 노출이 아동의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Media Exposure on Social Development in Children)’ 논문에서 이같이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3년 7월부터 2019년 3월까지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신경발달행동치료센터에서 사회성 발달 지연으로 치료받은 96명과 대조군 101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노출시간·시기·형태를 양육자 설문조사로 분석했다. 두 그룹의 평균연령은 34~36개월이었으며, 남아가 여아보다 2.6배 많았다.

분석 결과 2세 이전 미디어 시청 아동 비율은 사회성 발달 지연 군에서 95.8%인 반면, 대조군에서는 59.4%였다. 평균 미디어 시청 시간을 분석한 결과, 2시간 이상 시청한 아동 비율이 사회성 발달 지연군에서는 63.6%였으며, 대조군에서는 18.8%였다.

미디어 시청 시 보호자 동반 여부에도 차이가 있었다. 아이 혼자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은 사회성 발달 지연군에서는 77.1%, 대조군에서는 38.6%였다. 시청 프로그램 유형도 영어교육과 동화 프로그램 등 교육 프로그램을 시청한 비율이 사회성 발달 지연군보다 대조군에서 높았다.

아이에게 미디어를 시청하도록 한 이유로는 ‘아이 달래기’와 ‘부모의 우울·건강 문제·맞벌이’가 사회 성발달 지연군에서는 각각 26.5%와 55%였고, 대조군에서는 7.4%와 41.3%였다.

이번 연구로 △2세 이전 △2시간 이상 △부모 없이 단독으로 미디어에 노출되는 것은 사회성 발달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했다.

2세 이전 미디어 노출에 대해서는 미국 소아과학회에서도 권장하지 않고 있다. 실제 MRI를 이용한 관찰연구에서도 아동이 미디어 노출 시 인지과정을 자극하지 않고 주로 시각피질만 자극됐으며,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뇌 발달을 훨씬 더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성구 교수는 ”영유아가 미디어를 시청하더라도 보호자와 함께 상호교류 속에 제한된 시간만 교육적인 프로그램을 시청하면 사회성 발달 지연 위험을 낮출 수 있다”며 “진료 시에도 과다한 미디어 노출로 인한 사회성 발달 지연의 경우 미디어 중단 후에 빠른 호전을 보이는 경우를 경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학술·임상]2세 이전 미디어 시청, 사회성 발달 지연시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학술·임상]2세 이전 미디어 시청, 사회성 발달 지연시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