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보노디스크, 인슐린 저항성 치료제 개발 제휴
생분자성 응축물 관련 발굴 플랫폼 보유 美 제약사와
노보 노디스크社 및 미국 매사추세츠州 보스턴 소재 제약기업 듀포인트 테라퓨틱스社(Dewpoint Therapeutics)가 인슐린 저항성과 당뇨 합병증 치료제들의 개발을 진행하기 위한 연구‧개발 제휴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공표했다.
양사는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 합병증을 치료할 생분자성 응축물(biomolecular condensates)과 관련해서 듀포인트 테라퓨틱스 측이 보유한 발굴 플랫폼을 적용하면서 신약후보물질들을 확인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 나가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당뇨병과 대사계 질환을 치료하는 데 노보 노디스크 측이 보유한 글로벌 리더십이 듀포인트 테라퓨틱스의 획기적인(groundbreaking) 발굴‧인공지능(AI) 기술 플랫폼과 결합되어 생분자성 응축물 조절물질들을 확인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전망이다.
양사의 합의범위에는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감수성의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는 새롭고 다양한 응축물 표적들에 대응하는 저분자 약물들을 발굴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노보 노디스크 측은 이와 함께 자체 역량을 적용해 확인된 응축물들에 대응하는 고분자 의약품들(non-small molecule drugs)을 발굴하고 후속 개발‧발매를 진행할 수 있는 권한을 확보했다.
듀포인트 테라퓨틱스 측의 경우 계약성사금과 함께 2개 프로그램의 연구비 및 연구 성과금을 포함해 단기적으로 최대 5,500만 달러를 지급받을 수 있는 권한을 확보했다.
또한 2개 발매제품들과 관련한 임상, 발매 및 매출 성과금으로 최대 6억9,000만 달러를 지급받고, 로열티를 수수할 수 있는 권한까지 보장받았다.
노보 노디스크 측이 응축물의 다른 양식들을 선택키로 결정할 경우 듀포인트 테라퓨틱스는 개별제품당 최대 1억750만 달러를 지급받을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관련, 인슐린 저항성은 2형 당뇨병과 대사 증후군을 촉발시키는 핵심적인 촉진인자로 알려져 있다.
2형 당뇨병과 대사 증후군은 세계 각국에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인슐린 저항성의 경우 15.5%에서부터 46.5%에 이르기까지 국가별로 적잖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에 대해 체내에서 나타내는 반응이 손상됐을 때 발생해 혈당 수치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처럼 정상적인 혈당 수치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당뇨병과 각종 체내 장기 및 조직들에 합병증이 수반된다.
듀포인트 테라퓨틱스社의 아미트 나트와니 대표는 “노보 노디스크 측과 제휴키로 함에 따라 우리가 보유한 첨단 응축물 노하우가 당뇨병 분야의 글로벌 리더기업의 심도깊은 전문성과 결합될 수 있게 됐다”는 말로 기대감을 표시했다.
그는 뒤이어 “우리가 인슐린 저항성으로 귀결되는 생분자성 응축물을 발굴하고, 그것의 조절부전을 역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우리의 믿음”이라며 “우리는 오늘날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면서 세계 각국의 보건 관련 도전요인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당뇨병 분야의 개발과 임상에 괄목할 만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매사추세츠州 캠브리지에 소재한 노보 노디스크社 바이오 이노베이션 허브의 울리 슈틸츠 부사장은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듀포인트 테라퓨틱스 측과 협력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우리 노보 노디스크가 보유하고 있는 폭넓은 당뇨병 및 신약개발 역량 관련 지식이 응축물과 새로운 방법론 분야에서 선도적인 전문성을 보유한 듀포인트 테라퓨틱스에 수혈되면서 잠재적 신약후보물질들을 발굴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그는 또 “우리는 듀포인트 테라퓨틱스 측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당뇨병 환자들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치료제들을 선보이고자 하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지평을 열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응축물이란 상분리(phase separation)라고 불리는 과정을 거쳐 세포에서 역동적으로 형성되는 막으로 싸여 있지 않은 소기관(membraneless organelles)을 말한다.
이 하위 세포구성부는 세포 내부에서 분자물질들을 응축시켜 몇몇 핵심적인 생화학적 과정을 가능케 한다.
그런데 이 같은 생분자성 응축물의 조절부전은 당뇨병을 포함한 다수의 질병에서 관찰되고 있다.
듀포인트 테라퓨틱스 측이 보유한 플랫폼은 질병 촉발 응축물을 발견하고, 응축물 조절 의약품을 개발하는 데 적용되어 복잡한 질환들 뿐 아니라 지금까지 약물로 표적화할 수 없었던(undruggable) 표적들에 대응하는 새로운 치료대안들의 개발을 가능케 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079126632489312&mediaCodeNo=257&OutLnkCh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