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원생명과학,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후유증 효능 평가 연구 착수
미국 위스타 연구소와 공동연구계약 체결
입력 2022.08.31 10:28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진원생명과학은 롱코비드(Long COVID, 코로나19 후유증)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GLS-1027(국제 일반명: Zenuzolac, 제누졸락)의 효능을 평가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미국 위스타 연구소(Wistar Institute)와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해당 연구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입원한 중등증 환자가 감염 초기 시 GLS-1027 투여 후 급성 감염 회복에 따른 롱코비드를 방지하거나 롱코비드 환자를 치료하는 다중평가 시험(multipart assessment)으로 위스타 연구소의 롱코비드 연구 전문가인 모하메드(Mohamed Abdel-Mohsen) 박사와 공동으로 진행된다. 

회사 측은 “해당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우리회사가 개발하고 있는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인 GLS-1027 글로벌 임상2상 연구에서, 급성 코로나19 감염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GLS-1027을 초기 투약할 시 롱코비드 발생을 예방하는지 확인할 것”이라며 “HIV 및 코로나19 바이러스 치료를 전 세계적으로 주도하고 롱코비드 치료제를 선도적으로 연구하는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Francisco) 컨소시엄과도 협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GLS-1027은 코로나19 확진 시 염증으로 인해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사이토카인 폭풍’을 유발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경구용 저분자 면역조절제이다.

회사 관계자는 ”코로나19 중증 폐렴을 유발하는 해당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롱코비드를 유발한다”고 밝히며 “GLS-1027이 햄스터 공격감염 모델에서 폐렴 증상 마커들의 감소를 유도했고, 중증폐렴의 병리학적인 특징인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융합체(syncytia)와 세포이형성(atypia)을 탁월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위스타 연구소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 연구원들은 코로나19 확진자를 대상으로 정밀하게 진행한 대사체학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후유증 발병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를 발견했다”고도 설명했다.

박영근 진원생명과학 대표이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GLS-1027이 롱코비드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잠재력이 입증된다면 롱코비드 증상이 나타나는 수백만 명의 환자들에게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번 연구에 GLS-1027의 글로벌 2상 임상시험을 활용해 향후 GLS-1027을 잠재적인 공식 롱코비드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임상으로 확장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진원생명과학,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후유증 효능 평가 연구 착수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진원생명과학,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후유증 효능 평가 연구 착수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