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앞으로 매일 1천명 환자 발생을 대비해 1만개 병상을 추가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박능후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13일 코로나19 대응 온라인 정례브리핑을 통해 수도권 긴급의료대응계획을 밝혔다.
최근 일 주간 수도권의 하루 평균 환자는 540명이며 어제는 786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이에 정부는 선제적인 진단검사와 역학조사 역량을 확충해 감염확산을 최대한 차단하면서 병상 등 의료대응체계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대비하겠다는 계획이다.
박능후 1차장은 "앞으로 20일간 매일 1,000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모든 환자가 신속히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3주간 1만 병상 이상을 추가 확보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생활치료센터 7,000병상, 감염병 전담병상 2,700병상, 중증환자 치료병상 300병상이다.
생활치료센터는 현재 사용 중인 2,700여 병상에 더해 7,000개까지 추가병상을 확보하여 총 1만 명 정원 규모를 운영한다.
현재 여유병상이 2,100여 개 있으며 이에 더해 4,900여 병상 규모의 생활치료센터을 확충한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등 지자체에서 22개소, 2,400병상의 생활치료센터를 개소할 것이며 중수본 차원에서도 3개소 1,000 병상의 중앙생활치료센터를 개소한다.
또한, 현재 가동이 중단된 생활치료센터를 다시 재가동하고 운영을 효율화하는 조치를 통해 1,500병상을 확충한다.
감염병 전담병원도 2,700여 병상까지 수용여력을 확대한다. 현재 1,800여 병상을 사용 중이고 440병상의 여유 병상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에 더해 2,400여 병상을 확충한다.
정부 산하의 13개 의료기관을 활용하고 1,600 병상을 확보하고 수도권 ·지자체 병원 500병상, 민간 부문 200병상 등이 단계적으로 확보될 예정이다.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는 병원 입원 환자들은 정부·지자체·병원협회 등이 협력해 전원이 가능한 병원을 찾아 이 병원으로 이송한다.
중환자 치료병상도 현재 사용 중인 320 병상에 더해 300 병상을 추가로 확보한다. 이는 현재 사용 가능한 여유 병상 13병상에 더해 287 병상을 추가확충하는 것이다.
건보공단 일산병원, 성남시 의료원 등 중증환자 거점 전담병원을 5개소 지정해 병상을 전부 또는 일부 소개하고 중환자 병상을 152개 확보한다.
이외에 계획된 대로 전담치료병상을 확충하고 민간에 자율신고병상 등을 활용하여 135 병상을 확보한다.
박능후 1차장은 "이번 1만 병상 확충 외에도 각 지자체별로 생활치료센터와 감염병 전담병원을 더 확충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추가적인 병상확보가 가능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대기를 최소화해 병상 배치에 소요되는 하루 정도의 시간보다 더 오래 대기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수도권에서 병상 배치를 기다리는 환자는 580명이며 이들 중 2일 이상 대기 중인 환자는 56명이다.
코로나19 환자 진료에 필요한 의료인력 확보와 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공중보건의, 군의관 등 공공부문의 의사 280명을 진료현장지원에 우선투입했으며, 대한의사협회, 대한간호사협회 등과 협력해 개원의 등 550여 명, 간호사 493명, 간호조무사 143명, 임상병리사 180명, 의대생 300명 등의 의료인력을 확보했다.
박 1차장은 "정부는 의료계에 대한 재정과 물자 지원을 확대하여 의료인들이 진료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특히,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한시적으로 월 300만원 정도의 위험수당을 지급하고 중환자의 야간간호료 수가를 2배 인상해 그 증액분이 간호사에게 지급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