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혁신형 제약기업 45개사에 대한 정부의 전체지원액이 103건 922억 5,000만원으로 2017년의 122건 1,142억원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보건복지위·송파구병)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한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지원현황’을 보면, 지난해의 경우 R&D 지원 211억 7,000만원과 컨설팅 등 사업지원 4억 4,000만원, 세제지원 706억 4,000만원 등 총 922억 5,000만원을 지원한 것으로 집계되었다”면서 “이는 전년도인 2017년의 1,142억원보다 19.2%인 219억 5,000만원 줄어든 것으로 지원을 확대해야 하며, 세제지원도 중요하지만 R&D 등 직접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인순 의원은 또 “지난해 혁신형 제약기업별 지원내역을 보면, 45개사 중 가장 많은 지원을 받은 곳은 LG생명과학으로 136억 1,000만원 상당의 지원을 받았으며, 대웅제약 92억 4,000만원, 종근당 91억 5,000만원, 바이로메드 89억 2,000만원, 셀트리온 67억 9,000만원, CJ헬스케어 59억원, 보령제약 57억 1,000만원, 제넥신 48억 4,000만원 등의 순으로 지원액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 R&D 투자비율이 가장 높은 제약기업은 제넥신 655.7%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알테오젠 459.2%, 코아스템 71.4%, 이수앱지스 68.9% 등의 순으로 높았다”며, “지난해 R&D 투자금액으로는 셀트리온이 2,817억 8,00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한미약품 1,599억 2,000만원, 녹십자 1,224억 3,000만원, LG생명과학 1,176만 4,000만원, 종근당 1,115억원, 대웅제약 935억 4,000만원, 유한양행 908억원 등의 순으로 많았다”고 밝혔다.
보건산업진흥원이 남인순 의원에게 제출한 ‘국내 상장 제약기업 및 혁신형 제약기업의 영업이익률'자료에 따르면, 지난해의 경우 상장제약기업의 영업이익률이 8.2%인데 반해 혁신형 제약기업은 9.1%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의 영업이익률은 상장제약기업 10.5%, 혁신형 제약기업 11.9%로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다소 줄어들었다.
남인순 의원은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지원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성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면밀히 분석하여, 지원에 선택과 집중을 하여야 한다"며 ''개정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금년 6월 12일부터 시행에 들어간 만큼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실질적 지원 확대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약 연구개발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제약기업에 대해서도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대상에 포함시키고,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마크 사용을 활성화하며, 약가 우대 근거를 법률로 명시한 만큼 약가 우대 등을 통해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1분기 매출 톱5 삼바∙셀트리온∙유한양행∙종근당∙한미약품 |
2 | ‘우크라 사태’ 韓 의약품 임상시험 ‘먹구름’…의료기기 수출도 ‘암울’ |
3 | 알테오젠 'ALT-B4' 마일스톤 300억원 돌파…앞날이 더 기대되는 이유 |
4 | 카나리아바이오, 오레고보맙 글로벌 임상 3상 환자 모집 마감 |
5 | 2023년 1분기 매출총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대웅제약∙유한양행 |
6 | 키트루다 다음은 '대사항암제'㊦…춘추전국시대 최강자 자리 접전 |
7 | 키트루다 다음은 '대사항암제'㊤…4세대 항암제로 자리매김할까? |
8 | 병협 1.9% 치협 3.2% 한의협 3.6% 수가협상 '타결'...의협·약사회 결렬 |
9 | "빅딜 또 터질까?" 에이비엘바이오, BIO USA 출격 |
10 | 응급실 뺑뺑이 타개책...의사 인력 확충 vs 의료인 처우 개선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지난해 혁신형 제약기업 45개사에 대한 정부의 전체지원액이 103건 922억 5,000만원으로 2017년의 122건 1,142억원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보건복지위·송파구병)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한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지원현황’을 보면, 지난해의 경우 R&D 지원 211억 7,000만원과 컨설팅 등 사업지원 4억 4,000만원, 세제지원 706억 4,000만원 등 총 922억 5,000만원을 지원한 것으로 집계되었다”면서 “이는 전년도인 2017년의 1,142억원보다 19.2%인 219억 5,000만원 줄어든 것으로 지원을 확대해야 하며, 세제지원도 중요하지만 R&D 등 직접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인순 의원은 또 “지난해 혁신형 제약기업별 지원내역을 보면, 45개사 중 가장 많은 지원을 받은 곳은 LG생명과학으로 136억 1,000만원 상당의 지원을 받았으며, 대웅제약 92억 4,000만원, 종근당 91억 5,000만원, 바이로메드 89억 2,000만원, 셀트리온 67억 9,000만원, CJ헬스케어 59억원, 보령제약 57억 1,000만원, 제넥신 48억 4,000만원 등의 순으로 지원액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 R&D 투자비율이 가장 높은 제약기업은 제넥신 655.7%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알테오젠 459.2%, 코아스템 71.4%, 이수앱지스 68.9% 등의 순으로 높았다”며, “지난해 R&D 투자금액으로는 셀트리온이 2,817억 8,00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한미약품 1,599억 2,000만원, 녹십자 1,224억 3,000만원, LG생명과학 1,176만 4,000만원, 종근당 1,115억원, 대웅제약 935억 4,000만원, 유한양행 908억원 등의 순으로 많았다”고 밝혔다.
보건산업진흥원이 남인순 의원에게 제출한 ‘국내 상장 제약기업 및 혁신형 제약기업의 영업이익률'자료에 따르면, 지난해의 경우 상장제약기업의 영업이익률이 8.2%인데 반해 혁신형 제약기업은 9.1%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의 영업이익률은 상장제약기업 10.5%, 혁신형 제약기업 11.9%로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다소 줄어들었다.
남인순 의원은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지원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성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면밀히 분석하여, 지원에 선택과 집중을 하여야 한다"며 ''개정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금년 6월 12일부터 시행에 들어간 만큼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실질적 지원 확대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약 연구개발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제약기업에 대해서도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대상에 포함시키고,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마크 사용을 활성화하며, 약가 우대 근거를 법률로 명시한 만큼 약가 우대 등을 통해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