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진코리아 '테빔브라', 면역항암제 '최초-유일' 식도암 건보 급여 적용
항암화학요법 후 진행성-전이성 식도편평세포암 성인 환자
미충족 수요 높았던 식도암 환자들 치료 접근성 개선 기대
입력 2025.03.28 10:13 수정 2025.03.28 10:1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항암제 전문 기업 베이진코리아(대표 양지혜) 면역항암제 ‘테빔브라’(성분명: 티슬렐리주맙)가 4월 1일부터 식도편평세포암 환자 2차 이상 요법으로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 받는다.

27일 발표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암환자에게 처방투〮여하는 약제에 대한 공고 개정’에 따라, 이전 백금 기반 화학요법 치료 도중 또는 이후에 재발 또는 진행된 절제 불가능, 재발성,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식도편평세포암(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2차 이상 치료제로 테빔브라 급여 처방이 가능하며, 선행화학요법 또는 수술후보조요법 치료 도중 재발하거나 종료 후 6개월 이내 재발한 경우도 포함된다. 식도암 치료 영역에서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는 면역항암제 치료 옵션으로는 테빔브라가 유일하다.

국내 식도암 환자 수는 최근 5년간 23% 증가했으며, 원격 단계에서 5년 생존율은 약 7%에 불과할 정도로 치명적 질환이다. 특히 식도는 대부분 복강 내 장기와 달리 장막이 없고, 주변에 심장, 기관지, 폐 등 주요 장기가 밀접해 있어 수술이 어렵고 합병증 발생 위험도 높다. 지금까지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 1차 치료로는 항암화학요법이나 항암방사선치료가 주로 사용돼 왔으나, 반응률이 제한적이고 부작용이 심해 지속적인 치료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또 기존 면역항암제는 급여가 적용되지 않아 환자들이 경제적 부담으로 치료를 지속하기 어려웠다.

더불어 선행화학요법/수술후보조요법 치료 중, 또는 치료 후 6개월 이내 재발한 환자는 6개월 이후 재발한 환자 보다 전체 생존기간(OS)이 유의하게 짧으며, 항암치료에 대한 반응률도 낮아 예후가 좋지 않다는 보고가 있다. 이러한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높은 환자군도 급여 대상에 포함되며 면역항암제 치료 옵션을 선택할 수 있게 됐다.

테빔브라는 베이진 기술력을 기반으로 설계된 이중 매커니즘(Dual Mechanism)을 통해 PD-L1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동시에 Fc-감마 수용체(FcγR)와 결합을 최소화하여 기존 면역 항암제들과는 차별화된 기전을 통해 강력한 항종양 반응을 유도한다. 특히, 다른 동일 계열 면역항암제 보다 뛰어난 PD-L1 차단 효과(>99%)를 보였으며, 기존 약제 대비 높은 결합력과 30-80배 이상 긴 반감기를 갖고 있어, 치료 효과가 오래 유지된다. 

테빔브라는 이러한 독자적 기전을 바탕으로, PD-L1 발현율이 낮거나 없는 환자가 70% 이상인 식도편평세포암 환자군에서도 PD-L1 발현 여부와 관계없이 화학요법 대비 전체 생존율을 유의하게 개선하며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진행성 또는 전이성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전 세계 다양한 나라에서 시행된 3상 임상시험 (RATIONALE-302)에서 테빔브라는 화학요법대비 전체생존기간(OS)ㅇ[서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전체 환자군에서 테빔브라 투여군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Median OS)은 8.6개월로, 화학요법 치료군 6.3개월 대비 2.3개월 연장됐다(HR, 0.70; 95% CI, 0.57-0.85; P =0.0001). 

특히 PD-L1 발현율(TAP, Tumor Area Positivity)이 10% 이상인 환자군에서는 테빔브라 투여군 전체 생존 기간 중앙값이 10.3개월로, 화학요법군 6.8개월 대비 뚜렷한 생존기간 개선 효과를 나타냈으며(HR, 0.54; 95% CI, 0.36-0.79; P=0.0006), PD-L1 발현율이 알려지지 않은 환자 (HR 0.67; 95% CI, 0.41~1.12) 및 TAP 10% 미만 환자가 70% 이상 포함된 환자군(HR, 0.82; 95% CI, 0.62-1.09)에서도 일관된 치료 효과를 보이며 면역항암제로서 폭넓은 환자군에서 치료 가능성을 입증했다.  또, 면역항암제 단독요법 한계로 지적된 무진행 생존기간(PFS) 측면에서도, 3개월 후 Kaplan-Meier 곡선 교차(Cross over) 없이 분리된 결과를 보여, 식도암 환자에서 갖는 강력한 치료 잠재력을 시사했다.

테빔브라 투여군 객관적 반응률(ORR, Overall Response Rate)은 20.3%로, 화학요법 치료군(9.8%) 대비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지속 기간(DoR, Duration of Response) 역시 테빔브라 투여군에서 화학요법 대비 3.1개월 더 길어, 항종양 반응이 더욱 오래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HR, 0.42; 95% CI, 0.23-0.75).

양지혜 베이진코리아 대표는 “그동안 테빔브라 급여 등재를 손꼽아온 국내 식도암 환자들 경제적 부담을 낮추며 테빔브라 임상적 혜택을 제공하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 앞으로도 베이진코리아는 항암 치료 혁신을 선도하며, 혁신 치료제에 대한 환자들 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테빔브라는 미국 FDA로부터 절제 불가능 또는 전이성 식도편평세포암(ESCC)의 1차 및 2차 치료 뿐 아니라, 진행성 위암(GC) 1차 치료제로도 허가 받았다. 유럽의약품청(EMA)에서는 식도편평세포암(ESCC) 1차 및 2차 치료, 진행성 위암(GC) 1차 치료, 비소세포폐암(NSCLC) 1차 및 2차 치료제로 허가 받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적응증 확대가 이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향후 여러 암종에서 테빔브라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행복한 팜 스터디③] "복약상담 팁-건기식까지 총 망라"
"미국 FDA 승인, 과학만으론 부족하다…인허가 전략이 성공과 실패 좌우"
[행복한 팜 스터디②] "약국 경영과 상담 A부터 Z까지" 21일부터 선착순 접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베이진코리아 '테빔브라', 면역항암제 '최초-유일' 식도암 건보 급여 적용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베이진코리아 '테빔브라', 면역항암제 '최초-유일' 식도암 건보 급여 적용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