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블러드, '줄기세포 기반 혈액 개발' 연구결과 국제 저명 학술지 게재
TAL1 유전자 줄기세포에 도입해 적혈구 생산 촉진 확인…인공 혈액 생산 가능성 높여
입력 2025.03.28 09: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통한 혈액 체외 생산.©아트블러드

수혈용 혈액 생산 바이오 기업 아트블러드(대표 백은정)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이하 줄기세포)를 통한 혈액 체외 생산’에 대한 결과가 국제 저명 학술지(Frontiers in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에 게재됐다고 28일 밝혔다.

아트블러드 백은정 대표가 지도, 감수한 ‘줄기세포 기반 혈액 체외 생산’ 연구는 TAL1이라는 유전자를 줄기세포에 도입하여 혈액 세포를 체외에서 적혈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적혈구 생성에 필수적인 전사 인자인 TAL1의 조건부 과발현이 줄기세포로부터 적혈구를 생산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TAL1을 과발현시킨 iPSC는 조혈세포 형성 복합체(HCFC) 형성을 촉진하고, 조혈 관련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며, 적혈구계 세포 특이적인 마커를 발현시키고 세포 수를 높이는 등 조혈 분화를 현저히 향상시키는 결과를 확인했다.

아트블러드 백은정 대표는 “이번 연구는 TAL1이 조혈 촉진의 강력한 조절자로서 기능과 줄기세포로부터 적혈구 생산을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밝혔다”고 말했다.

아트블러드는 골수의 혈액 생산 과정을 체외에서 구현해 실제 혈액세포와 유사하고 기능 확장이 가능한 '바이오블러드'를 독자 기술로 개발해왔다. 지난해 105억 원의 시리즈A 투자를 완료한 아트블러드는 다양한 기전 연구를 통해 체외 생산 혈액의 대량 생산을 위한 기술 및 생산 역량 확보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인구 감소로 인한 혈액 공급 부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정부는 2021년 '첨단 재생의료 기반기술을 활용한 인공혈액 개발 R&D 및 생산역량 확보 방안'을 발표하고 지원을 강화했다. 영국, 미국, 일본 등도 관련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해 투자하고 있으며, 글로벌 인공 혈액(수혈용 혈액) 시장은 2022년47조 원에서 2030년 70조 원대로 성장이 예상된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행복한 팜 스터디③] "복약상담 팁-건기식까지 총 망라"
"미국 FDA 승인, 과학만으론 부족하다…인허가 전략이 성공과 실패 좌우"
[행복한 팜 스터디②] "약국 경영과 상담 A부터 Z까지" 21일부터 선착순 접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아트블러드, '줄기세포 기반 혈액 개발' 연구결과 국제 저명 학술지 게재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아트블러드, '줄기세포 기반 혈액 개발' 연구결과 국제 저명 학술지 게재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