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용 혈액 생산 바이오 기업 아트블러드(대표 백은정)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이하 줄기세포)를 통한 혈액 체외 생산’에 대한 결과가 국제 저명 학술지(Frontiers in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에 게재됐다고 28일 밝혔다.
아트블러드 백은정 대표가 지도, 감수한 ‘줄기세포 기반 혈액 체외 생산’ 연구는 TAL1이라는 유전자를 줄기세포에 도입하여 혈액 세포를 체외에서 적혈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적혈구 생성에 필수적인 전사 인자인 TAL1의 조건부 과발현이 줄기세포로부터 적혈구를 생산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TAL1을 과발현시킨 iPSC는 조혈세포 형성 복합체(HCFC) 형성을 촉진하고, 조혈 관련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며, 적혈구계 세포 특이적인 마커를 발현시키고 세포 수를 높이는 등 조혈 분화를 현저히 향상시키는 결과를 확인했다.
아트블러드 백은정 대표는 “이번 연구는 TAL1이 조혈 촉진의 강력한 조절자로서 기능과 줄기세포로부터 적혈구 생산을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밝혔다”고 말했다.
아트블러드는 골수의 혈액 생산 과정을 체외에서 구현해 실제 혈액세포와 유사하고 기능 확장이 가능한 '바이오블러드'를 독자 기술로 개발해왔다. 지난해 105억 원의 시리즈A 투자를 완료한 아트블러드는 다양한 기전 연구를 통해 체외 생산 혈액의 대량 생산을 위한 기술 및 생산 역량 확보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인구 감소로 인한 혈액 공급 부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정부는 2021년 '첨단 재생의료 기반기술을 활용한 인공혈액 개발 R&D 및 생산역량 확보 방안'을 발표하고 지원을 강화했다. 영국, 미국, 일본 등도 관련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해 투자하고 있으며, 글로벌 인공 혈액(수혈용 혈액) 시장은 2022년47조 원에서 2030년 70조 원대로 성장이 예상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국 FDA 자문위, 제약사 직원 '출입 제한' 조치 파장 |
2 | 화장품 기업 74개사 2024년 해외매출 및 수출 평균 1428억…전년比 16.4%↑ |
3 | [기고 상] 제약업계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설명..제정 배경·의의 |
4 | 닥터노아바이오텍 "3년 내 신약 성패 결정…AI 복합신약 개발로 시간·비용 반의 반" |
5 | 글로벌 ‘톱 50’ 유통기업..화장품 유통 3곳 동승 |
6 | "버리지 말고 살리자" 강남구약, ATC 불용 카트리지 활용안 제시 |
7 | "유사 명칭 의약품 사용 오류 예방 위해 규정 개선 필요" |
8 | EU,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화장품에 '안전성' 경고 |
9 | [기업분석] 대봉엘에스, 2024년 매출 940억원…전년比 7.2%↑ |
10 | 비티시너지,AI와 시공간 다중 오믹스 분석 활용 생균치료제(LBP) 개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수혈용 혈액 생산 바이오 기업 아트블러드(대표 백은정)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이하 줄기세포)를 통한 혈액 체외 생산’에 대한 결과가 국제 저명 학술지(Frontiers in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에 게재됐다고 28일 밝혔다.
아트블러드 백은정 대표가 지도, 감수한 ‘줄기세포 기반 혈액 체외 생산’ 연구는 TAL1이라는 유전자를 줄기세포에 도입하여 혈액 세포를 체외에서 적혈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적혈구 생성에 필수적인 전사 인자인 TAL1의 조건부 과발현이 줄기세포로부터 적혈구를 생산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TAL1을 과발현시킨 iPSC는 조혈세포 형성 복합체(HCFC) 형성을 촉진하고, 조혈 관련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며, 적혈구계 세포 특이적인 마커를 발현시키고 세포 수를 높이는 등 조혈 분화를 현저히 향상시키는 결과를 확인했다.
아트블러드 백은정 대표는 “이번 연구는 TAL1이 조혈 촉진의 강력한 조절자로서 기능과 줄기세포로부터 적혈구 생산을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밝혔다”고 말했다.
아트블러드는 골수의 혈액 생산 과정을 체외에서 구현해 실제 혈액세포와 유사하고 기능 확장이 가능한 '바이오블러드'를 독자 기술로 개발해왔다. 지난해 105억 원의 시리즈A 투자를 완료한 아트블러드는 다양한 기전 연구를 통해 체외 생산 혈액의 대량 생산을 위한 기술 및 생산 역량 확보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인구 감소로 인한 혈액 공급 부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정부는 2021년 '첨단 재생의료 기반기술을 활용한 인공혈액 개발 R&D 및 생산역량 확보 방안'을 발표하고 지원을 강화했다. 영국, 미국, 일본 등도 관련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해 투자하고 있으며, 글로벌 인공 혈액(수혈용 혈액) 시장은 2022년47조 원에서 2030년 70조 원대로 성장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