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최근 재무적 불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성장을 위한 펀더멘털에는 이상이 없다고 18일 밝혔다.
18일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최근 관리종목 편입 가능성 공시로 인해 주가가 하락했고, 신약개발 인력 확보와 임상 비용, 파이프라인 라이선스 비용 등으로 수익성이 하락했다고 전했다.
다만, 이러한 연구개발 투자와 인재 확보가 DXVX 장기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부분이라며, 올해부터는 R&D와 사업 부문에서 본격적인 성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밝혔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신약개발 전 과정에 있어 글로벌 수준 인재들을 꾸준히 확보하면서, 현재 다양한 신약 후보물질 및 플랫폼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특허 출원과 임상결과를 확보하는 등 연구개발 부문에서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현재 다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라이선스 아웃을 위한 실사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후속절차를 위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드릴 수 있을 것”이라 전했다.
디엑스앤브이엑스에 따르면 현재 ROP 항암백신을 비롯해 범용 코로나 백신, 마이크로바이옴 호흡기 백신, mRNA 항암백신과 항암항체 치료제, 유기합성 항암제, 경구용 비만치료제, 안구건조증 치료제 등 다양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다수 프로젝트에서 후보물질에 대한 특허 출원을 이어가고 있으며, 임상 결과 글로벌 3상 수준 후보물질과 동등 결과를 확보했다.
백신과 치료제 외에도 플랫폼 기술을 통해 상업화 시점을 앞당기기 위한 노력도 진행 중으로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과 mRNA 대량생산 플랫폼, NGS 범용 플랫폼의 개발을 마무리하고 글로벌 기업들과 라이선스 아웃을 위한 물질이전 계약을 위한 협의 및 실사를 진행중이다. 특히, 포항공대와 국책과제로 선정돼 개발을 고도화중인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 경우 실사가 마무리 되는 대로 구체적인 계약조건을 담은 텀시트 논의 진행 후 첫 번째 기술수출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
의약품과 헬스케어 사업부문에서도 중국 자회사를 통한 중국내 의약품 유통망을 확대하고 있으며, 항생제를 시작으로 기초 의약품 라인업을 확대중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디엑스앤브이엑스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성장통을 겪다 보니, 단기적으로 재무적인 부담이 늘어난 측면이 있다. 다만, 현재 회계적 손실은 일시적인 요인으로, 그동안 구축한 안정적인 사업모델과 성장동력을 통해 올해 가시적인 성과와 함께 중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메지온,'유데나필' 폰탄치료제 FDA 적응증 추진 더해 'ADPKD' 전임상도 시작 |
2 | 펩트론, 미국암학회서 차세대 펩타이드 기반 ADC 효능 증강 기술 발표 |
3 | "경로를 재설정합니다!" 트럼프 집권 후 안개 속 FDA, 인허가 길을 찾다 |
4 | [알고먹는 건기식] 건강기능식품 구매시 HACCP 마크 무조건 거르자 |
5 | 최악 산불 피해에 뷰티 업계도 소매 걷어 부쳤다 |
6 | 미래 성장 동력,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새로운 비전 |
7 | 현장서 6건 수출계약 체결… K-의료, 글로벌 시장서 317만달러 성과 |
8 | HLB생명과학R&D,김연태 대표 선임..HLB그룹 최초 여성 대표 |
9 | 국내외 ‘비대면진료 플랫폼’ 규제 강화 흐름…미국도 약물광고 규제 법안 추진 |
10 | 10여년 만 활기 되찾는 중추신경계 치료제 시장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최근 재무적 불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성장을 위한 펀더멘털에는 이상이 없다고 18일 밝혔다.
18일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최근 관리종목 편입 가능성 공시로 인해 주가가 하락했고, 신약개발 인력 확보와 임상 비용, 파이프라인 라이선스 비용 등으로 수익성이 하락했다고 전했다.
다만, 이러한 연구개발 투자와 인재 확보가 DXVX 장기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부분이라며, 올해부터는 R&D와 사업 부문에서 본격적인 성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밝혔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신약개발 전 과정에 있어 글로벌 수준 인재들을 꾸준히 확보하면서, 현재 다양한 신약 후보물질 및 플랫폼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특허 출원과 임상결과를 확보하는 등 연구개발 부문에서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현재 다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라이선스 아웃을 위한 실사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후속절차를 위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드릴 수 있을 것”이라 전했다.
디엑스앤브이엑스에 따르면 현재 ROP 항암백신을 비롯해 범용 코로나 백신, 마이크로바이옴 호흡기 백신, mRNA 항암백신과 항암항체 치료제, 유기합성 항암제, 경구용 비만치료제, 안구건조증 치료제 등 다양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다수 프로젝트에서 후보물질에 대한 특허 출원을 이어가고 있으며, 임상 결과 글로벌 3상 수준 후보물질과 동등 결과를 확보했다.
백신과 치료제 외에도 플랫폼 기술을 통해 상업화 시점을 앞당기기 위한 노력도 진행 중으로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과 mRNA 대량생산 플랫폼, NGS 범용 플랫폼의 개발을 마무리하고 글로벌 기업들과 라이선스 아웃을 위한 물질이전 계약을 위한 협의 및 실사를 진행중이다. 특히, 포항공대와 국책과제로 선정돼 개발을 고도화중인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 경우 실사가 마무리 되는 대로 구체적인 계약조건을 담은 텀시트 논의 진행 후 첫 번째 기술수출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
의약품과 헬스케어 사업부문에서도 중국 자회사를 통한 중국내 의약품 유통망을 확대하고 있으며, 항생제를 시작으로 기초 의약품 라인업을 확대중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디엑스앤브이엑스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성장통을 겪다 보니, 단기적으로 재무적인 부담이 늘어난 측면이 있다. 다만, 현재 회계적 손실은 일시적인 요인으로, 그동안 구축한 안정적인 사업모델과 성장동력을 통해 올해 가시적인 성과와 함께 중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