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소재 및 헬스케어 전문 기업 아미코젠(대표이사 박철)이 중국 증시 상장 및 자금 유동성 확보를 목적으로 자회사 아미코젠(중국)바이오팜유한회사(이하 아미코젠차이나) 지분을 매각한다고 10일 발표했다. 이번 지분 매각 및 잔여 지분 중국 증시 상장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총 1,000억 원 이상 자금 유입이 기대된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아미코젠 관계자는 “매각 대상 지분율은 48.78%이며, 총 매각 대금은 약 540억 원에 달한다. 이 중 1차로 약 330억 원을 올해 12월 내 수령하고, 나머지 잔금은 2025년 상반기 중 수령할 예정”이라며 “이번 매각을 통해 재무 안정성을 강화하고, 신사업 추진에 필요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당사 주력사업인 제약용 특수효소와 헬스케어 소재 사업을 비롯한 바이오의약용 배지, 레진, 리간드 및 효소의약 등 고부가가치 신사업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미코젠은 지분 매각 이후에도 지분 14.36%을 보유하며, 특수효소 및 레진 사업 부문에서 아미코젠차이나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번 매각으로 아미코젠차이나 중국 증시 상장 추진이 가속화되면서, 잔여 지분 가치도 크게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회사는 상장 후 잔여 지분 가치가 약 500억 원 이상으로 평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지분 조정은 아미코젠차이나 중국 증시 상장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회사 측에 따르면 현재 구조에서는 외국인(한국인)이 최대주주일 경우 상장이 어려워, 이를 해소하기 위해 중국인으로 최대주주를 변경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아미코젠차이나가 중국증시에 상장하는 경우 잔여지분 가치의 상승도 기대할 수 있으며, 아미코젠은 중국 중심 항생제 및 API용 특수효소 사업에서 벗어나 유럽 미국 일본 인도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고부가가치 바이오의약용 효소, 리간드, 배지, 레진, 헬스케어 신소재 등 바이오의약 소재사업으로 사업구조를 전환할 수 있게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아미코젠 박철 대표이사는 “이번 아미코젠차이나 매각은 유동성 확보 계획 마침표라고 볼 수 있을 만큼 이번 매각을 통해 유입되는 자금으로 회사 재무 안정화 뿐만 아니라 배지, 레진 등 신사업도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해 지분 매각 이후 아미코젠차이나 상장 시계열이 빨라 질 것이고 상장 후 잔여 지분 가치까지 고려한다면 이번 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 효과는 1,0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안정적 유동성을 바탕으로 주력 사업인 효소 바이오 제약, 헬스케어 사업 확장과 신사업인 바이오의약품 필수 소재 배지와 레진 사업에 박차를 가해 기업가치 제고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미코젠은 최근 비주력 사업 및 자회사 매각과 청산을 통해 사업 구조를 재편하고 있다. 핵심 사업에 집중하며, 조직 슬림화와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전략으로 유동성과 수익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확보된 자금은 주요 사업 부문에 전략적으로 투입된다. 효소 바이오 제약 사업부는 특수효소 제품 경쟁력 강화, Green API(세파계 항생제 합성 효소 등), Green NAG, 리간드 단백질 및 바이오 공정용 효소 등 신규 파이프라인 확장에 주력한다. 헬스케어 사업부는 해외 시장 진출과 개별인정형 원료 승인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바이오의약품 필수 소재 사업은 대규모 시생산과 공정 안정성을 확보하고, 원재료 및 인력 확보를 통해 신속히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제약바이오 3분기 이자비용 및 이자보상배율...코스피 증가, 코스닥은 감소 |
2 | 제약바이오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전년比 코스피 감소, 코스닥은 증가 |
3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사노피 빅딜 뛰어넘는 L/O 임박" |
4 | 온코닉테라퓨틱스, P-CAB 신약 ‘자큐보정’ 위궤양 임상3상 성공 |
5 | 샤페론, " 차세대 아토피 치료제 미국 FDA 임상 2b 파트1 성과 관심↑" |
6 | 직장가입자 연말정산, 올해부터 별도 신고 없이 자동처리 |
7 | 비전바이오켐, '위 건강 개선’ 유산균발효대두분말 개별인정형 원료 허가 |
8 |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정부,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 등 발표 |
9 | 일동제약, 한림제약 코프로모션 점안액 4종 패키지 리뉴얼 출시 |
10 | 애브비, 미국 내 TV 광고비 ‘3년 연속’ 정상 등극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바이오 소재 및 헬스케어 전문 기업 아미코젠(대표이사 박철)이 중국 증시 상장 및 자금 유동성 확보를 목적으로 자회사 아미코젠(중국)바이오팜유한회사(이하 아미코젠차이나) 지분을 매각한다고 10일 발표했다. 이번 지분 매각 및 잔여 지분 중국 증시 상장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총 1,000억 원 이상 자금 유입이 기대된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아미코젠 관계자는 “매각 대상 지분율은 48.78%이며, 총 매각 대금은 약 540억 원에 달한다. 이 중 1차로 약 330억 원을 올해 12월 내 수령하고, 나머지 잔금은 2025년 상반기 중 수령할 예정”이라며 “이번 매각을 통해 재무 안정성을 강화하고, 신사업 추진에 필요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당사 주력사업인 제약용 특수효소와 헬스케어 소재 사업을 비롯한 바이오의약용 배지, 레진, 리간드 및 효소의약 등 고부가가치 신사업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미코젠은 지분 매각 이후에도 지분 14.36%을 보유하며, 특수효소 및 레진 사업 부문에서 아미코젠차이나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번 매각으로 아미코젠차이나 중국 증시 상장 추진이 가속화되면서, 잔여 지분 가치도 크게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회사는 상장 후 잔여 지분 가치가 약 500억 원 이상으로 평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지분 조정은 아미코젠차이나 중국 증시 상장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회사 측에 따르면 현재 구조에서는 외국인(한국인)이 최대주주일 경우 상장이 어려워, 이를 해소하기 위해 중국인으로 최대주주를 변경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아미코젠차이나가 중국증시에 상장하는 경우 잔여지분 가치의 상승도 기대할 수 있으며, 아미코젠은 중국 중심 항생제 및 API용 특수효소 사업에서 벗어나 유럽 미국 일본 인도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고부가가치 바이오의약용 효소, 리간드, 배지, 레진, 헬스케어 신소재 등 바이오의약 소재사업으로 사업구조를 전환할 수 있게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아미코젠 박철 대표이사는 “이번 아미코젠차이나 매각은 유동성 확보 계획 마침표라고 볼 수 있을 만큼 이번 매각을 통해 유입되는 자금으로 회사 재무 안정화 뿐만 아니라 배지, 레진 등 신사업도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해 지분 매각 이후 아미코젠차이나 상장 시계열이 빨라 질 것이고 상장 후 잔여 지분 가치까지 고려한다면 이번 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 효과는 1,0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안정적 유동성을 바탕으로 주력 사업인 효소 바이오 제약, 헬스케어 사업 확장과 신사업인 바이오의약품 필수 소재 배지와 레진 사업에 박차를 가해 기업가치 제고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미코젠은 최근 비주력 사업 및 자회사 매각과 청산을 통해 사업 구조를 재편하고 있다. 핵심 사업에 집중하며, 조직 슬림화와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전략으로 유동성과 수익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확보된 자금은 주요 사업 부문에 전략적으로 투입된다. 효소 바이오 제약 사업부는 특수효소 제품 경쟁력 강화, Green API(세파계 항생제 합성 효소 등), Green NAG, 리간드 단백질 및 바이오 공정용 효소 등 신규 파이프라인 확장에 주력한다. 헬스케어 사업부는 해외 시장 진출과 개별인정형 원료 승인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바이오의약품 필수 소재 사업은 대규모 시생산과 공정 안정성을 확보하고, 원재료 및 인력 확보를 통해 신속히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