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셀과 알바이오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바이오스타줄기세포연구원(원장 라정찬, 이하 바이오스타기술연구원)은 특허 받은 기술로 배양한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척수강내와 정맥내로 병행투여해 알츠하이머 치매를 치료하는 재생의료 기술이 일본 후생성 승인을 받았으며, 올 10월부터 도쿄 신주쿠클리닉에서 본격적으로 치료를 개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연구원은 이는 국내 연구진이 독자 개발한 척수강 내 투여를 통한 알츠하이머 치매 자가줄기세포 치료 기술이 세계 최초로 일본에서 상용화 된 것으로, 이번 치료기술 승인 배경에는 바이오스타줄기세포연구원 줄기세포 배양 기술이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 줄기세포는 배양방법에 따라 안전성과 효과에서 큰 차이가 나며 철저한 품질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지난 20여년 간 연구를 통한 바이오스타줄기세포기술연구원 줄기세포 배양 및 치료 기술은 안전성과 품질을 인정받아 척수강내 투여를 통한 알츠하이머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승인 받은 치료 프로토콜에 따르면, 환자 본인 자가지방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정맥내 투여 또는 정맥과 척수강내 병용투여로 이뤄진다. 이러한 투여는 회당 2억셀에서 3억셀의 줄기세포를 2~6주 간격으로, 총 5~10회 진행된다. 특히 척수강내 시술은 줄기세포가 뇌와 척수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스타기술연구원 라정찬 박사는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 명의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가 있으며, 이번 알츠하이머 치매 재생의료계획승인 및 치료는 그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고 특히 척수강 내 시술은 향후 다른 뇌질환 치료에도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18년 4월 트리니티 후쿠오카 클리닉이 바이오스타줄기세포기술연구원 기술을 이용해 정맥내 투여를 통한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에 대해 후생성 승인을 받아 다수 환자가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아왔다. 연구원은 이번 척수강 내 투여 병행치료 승인으로 더 많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들이 치료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중국 제약사 비인두 암 치료제 FDA 허가관문 통과 |
2 | 지난해 12월 상장 제약바이오 유보율 코스피 1898.07%-코스닥 2586.69% |
3 | [기업분석] 상장 화장품기업 2024년 부채비율 59.53% …전년比 3.62%p↓ |
4 | 바이오스타 정상목 박사 "FDA를 임상개발 전략으로 설득하라” 성공 노하우 제시 |
5 | "신뢰받는 전문가로" 대한약사회, 4대 TF로 직능 미래 설계 |
6 | AWS가 제시한 '병원·헬스케어 디지털 혁신' 4대 키워드 |
7 | “상장 바이오헬스기업 ‘24년도 내수-수출 두자릿 수 성장” |
8 | 국가검진으로 문 연 C형간염 완치 시대…개원가, 주치의 역할 나선다 |
9 | 미국 뷰티 트렌드, 아시아계 미국민들이 주도한다! |
10 | 디티앤씨알오, 레디어스리서치와 미국 보스턴서 'K-바이오텍 IR' 개최 예정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네이처셀과 알바이오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바이오스타줄기세포연구원(원장 라정찬, 이하 바이오스타기술연구원)은 특허 받은 기술로 배양한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척수강내와 정맥내로 병행투여해 알츠하이머 치매를 치료하는 재생의료 기술이 일본 후생성 승인을 받았으며, 올 10월부터 도쿄 신주쿠클리닉에서 본격적으로 치료를 개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연구원은 이는 국내 연구진이 독자 개발한 척수강 내 투여를 통한 알츠하이머 치매 자가줄기세포 치료 기술이 세계 최초로 일본에서 상용화 된 것으로, 이번 치료기술 승인 배경에는 바이오스타줄기세포연구원 줄기세포 배양 기술이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 줄기세포는 배양방법에 따라 안전성과 효과에서 큰 차이가 나며 철저한 품질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지난 20여년 간 연구를 통한 바이오스타줄기세포기술연구원 줄기세포 배양 및 치료 기술은 안전성과 품질을 인정받아 척수강내 투여를 통한 알츠하이머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승인 받은 치료 프로토콜에 따르면, 환자 본인 자가지방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정맥내 투여 또는 정맥과 척수강내 병용투여로 이뤄진다. 이러한 투여는 회당 2억셀에서 3억셀의 줄기세포를 2~6주 간격으로, 총 5~10회 진행된다. 특히 척수강내 시술은 줄기세포가 뇌와 척수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스타기술연구원 라정찬 박사는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 명의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가 있으며, 이번 알츠하이머 치매 재생의료계획승인 및 치료는 그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고 특히 척수강 내 시술은 향후 다른 뇌질환 치료에도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18년 4월 트리니티 후쿠오카 클리닉이 바이오스타줄기세포기술연구원 기술을 이용해 정맥내 투여를 통한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에 대해 후생성 승인을 받아 다수 환자가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아왔다. 연구원은 이번 척수강 내 투여 병행치료 승인으로 더 많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들이 치료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