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제도 10명 중 6명 몰라 ...지역 약국 통한 홍보 나설 계획
안전관리원 오정완 원장, "국민들 피해 없어야... 마약류 오남용 방지도 최선 다하겠다"
입력 2023.05.31 06:00 수정 2023.05.31 06: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은 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제도 홍보를 위해 지역 약국을 통한 홍보에 나서고 마약류 오남용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 할 계획이다. 오정완 원장(사진) © 약업신문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하 안전관리원)은 마약류 오남용 모니터링을 활용한 선제적 대응과 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제도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국민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오정완 원장은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입 전문기자단과 함께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2015년 ‘마약류통합정보관리센터’로 지정된 안전관리원은 2018년 5월부터 의료용 마약류 원료・완제・수입, 제조・유통, 조제・투약・폐기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취급 정보를 보고, 저장 모니터링하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Narcotic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IMS)’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배우 유아인의 마약 투여도 이 시스템을 통해  밝혀졌다. 

 NIMS는 의료용 마약류의 생성부터 환자에게 전달되고 폐기되는 일련의 과정을 유기적으로 관리해 모니터링하고 재고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돼 있다. 2018년 운영 이후 현재까지 누적 약 6억 400만 건의 정보가 수집됐다.  일 평균 약 40만건의 데이터가 수집된 셈이다.

안전관리원은  NIMS에 쌓인 빅데이터를 활용해  2020년부터 의료진을 대상으로 ‘의료 쇼핑 방지 정보망’도 제공하고 있다. 의료진은 처방 단계에서 환자의 오남용이 의심될 경우 해당 정보망을 통해 최근 1년간 투약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NIMS 빅데이터는 연구・조사・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자들도 활용할 수 있으며, 환자 개인은 본인의 투약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오 원장은 “빅데이터 활용을 통해 마약류 오남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안전관리원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밝혔다.

그 밖에도 안전관리원은 의약품 복용으로 인해 발생한 부작용에 대해 소송절차 없이 보상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014년 만들어진 이 제도는 그 이듬해 시범 사업을 거쳐, 2018년 5월 18일 시행돼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 

이 제도는 2015년 단순 사망보상금으로 시작해 현재는 진료비(급여+비급여)를 비롯 장례비, 장애보상금까지 범위를 확대했다. 의약품 제조・수입사를 대상으로 연 2회 부담금을 부과해 피해구제 보상금으로 활용하고 있다. 제도가 만들어진 2014년부터 현재까지 누적 393억원이 징수 됐지만, 정작 보상으로 사용된 금액은 128억원에 불과하다.

오 원장은 이에 대해 “아직 홍보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면서 지역약국 대상으로 제도 홍보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우선 약사 및 약국방문객 대상으로 ‘피해구제 약국봉투’를 활용해 제도를 알릴 예정이다.  네이버, 카카오톡 등 대형포털을 통해 국민들의 궁금증을 해결하는 방식의 홍보도 이어 나갈 계획이다.

안전관리원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의료 전문가의 85%는 이 제도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정작 피해 구제 대상인 국민의 경우 40%만이 이 제도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  오 원장은 "피해 제도에 신청하면 지급률이 85%에 달하기 때문에 좀 더 많은 국민들이 이 제도를 활용해 피해구제를 받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2012 설립된 안전관리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공공기관으로 의약품 안전정보 수집・분석・분석・평가 제공, 의약품 안전사용(DUR) 정보 개발, 의약품 부작용 인과관계 조사 규명,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사업, 의약품 이상사례보고, 마약류통합관리 그리고 첨단바이오의약품 장기추적 조사 안전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제도]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제도 10명 중 6명 몰라 ...지역 약국 통한 홍보 나설 계획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제도]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제도 10명 중 6명 몰라 ...지역 약국 통한 홍보 나설 계획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