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참여국별 ‘맞춤교육’ 통한 시너지 창출 필요
박정태 바이오의약품협회 부회장, 교육 모듈 통한 국내산업 연계 강조
입력 2023.03.20 06:00
수정 2023.03.20 06:00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중저소득국가의 백신‧바이오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가 보다 성공하기 위해선 참여국가별 맞춤형 교육을 통한 국내산업 연계를 노려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박정태 부회장은 지난 17일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의원이 주최한 ‘제5차 K-생명바이오 포럼’ 중 지정토론에서 “중저소득국의 규제관리에 대한 훈련과 교류가 병행돼야 이 사업이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 부회장은 “교육인력 대상은 크게 생산기술인력과 규제관리 인력으로 구분해야 한다"면서 "중저소득국의 경우 생산공급망 구축이 우선 과제이지만, 이에 대한 최소한의 규제관리 시스템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무의미하다”고 밝혔다.
박 부회장은 교육사업의 확대에서 무엇보다 연계협력을 통한 시너지 창출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교육 모듈을 만들어 참여국가에 맞게 조각조각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고, 그 교육생들이 자국으로 돌아가 우리나라의 기준과 규격을 도입하게 되면 결국 국내산업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게 된다는 주장이다.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는 지난해 WHO(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가간 백신 불평등 문제를 인식해 대한민국을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중심기관으로 최초 단독 지정해 탄생했다. 이에 따라 mRNA 기술이전 수혜국을 포함한 중‧저소득국의 바이오인력을 대상으로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WHO, 아시아개발은행(ADB)과 협력해 중‧저소득 43개국 754명에 대한 교육을 마쳤다.
보건복지부 신은경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장은 전세계 백신불평등 문제해소와 국내기업 해외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2025년에는 교육생 규모를 올해의 2배로 늘려 연간 2000명 이상의 인력을 양성하겠다고 전했다.
신 단장은 “올해는 교육인원 확대와 실습‧현지방문교육 강화, 신규 교육과정을 개설할 예정”이라며 “교육인원은 전년 754명에서 33% 확대해 1000명을 모집할 것이며, 미주개발은행(IDB)과 빌&멜린다게이츠재단(BMGF) 협력 과정을 신설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인력양성 허브에선 총 6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ADB협력 과정은 아‧태지역 대상 백신 생산공정 교육을 내용으로 하반기에 약 40명을 모집해 8주간 진행할 예정이다. WHO협력 과정은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기본교육을 오는 6월에 2주, 10월에 3주간 진행한다. 국내 60명을 포함해 총 300명의 교육생을 모집할 예정이다.
IDB협력 과정(오송)은 백신‧항체의약품 생산공정 실습 교육이 주요 내용이며, 오는 11~12월에 4주간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현지방문교육은 생산공정‧품질관리‧생물안전 등 컨설팅을 연 3회 15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온라인교육은 생산공정, 품질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연중 30시간, 최대 470명에게 실시한다. BMGF협력 과정(안동)은 바이러스 백신 배양 공정 실습 교육으로 내년에 6주간 약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신 단장은 “앞으로는 글로벌 바이오인력양성 전담을 위한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를 구축하고, WHO와 MOU를 체결해 허브의 위상과 거버넌스를 공고히 할 계획”이라며 “허브국과 수혜국, 국제기구, 민간재단 등 국제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국내외 기업‧대학‧연구소‧정부 등 민관 파트너십 확장‧활성화를 통해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함과 동시에 우리나라가 백신‧바이오산업 선도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김민석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인력양성 허브는 세계적으로 한국이 최고라는 인식을 심어주면 좋겠다"면서 "국회와 정부뿐만 아니라 대기업, 간호협회 등 민간단체까지 참여해 참신하고 체계적인 사업으로 자리 잡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코로나19 이후를 대비하고 이번 튀르키예 사태처럼 재난에 대한 사후전략, 재난대비체계를 포함해 국제정치학 개념에서 바이오헬스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