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중외제약, 리바로·영양수액·악템라 등 성장
주요 품목 3분기 실적 분석, 일반수액·페린젝트 등 매출 늘어
입력 2022.12.12 15:24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JW중외제약은 올 3분기까지 리바로, 영양수액, 악템라 등의 매출이 성장세를 보였다.

약업닷컴이 2022년 11월 분기보고서 기준 JW중외제약 국내법인(지배기업) 2022년 3분기 및 3분기 누적 주요 품목 실적을 분석한 결과 리바로, 영양수액, 악템라, 일반수액, 페린젝트 등의 매출이 증가했다.

3분기 누적 주요 품목 실적을 살펴보면 영양수액이 973억 원(전년동기비 +151억 원)으로 가장 컸고, 고지혈증 치료제 리바로가 831억 원(전년동기비 +266억 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일반수액이 627억 원(전년동기비 +37억 원), 특수수액 230억 원(전년동기비 +16억 원),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악템라 177억 원(전년동기비 +39억 원), 철분주사제 페린젝트 등 148억 원(전년동기비 +24억 원), 관류액 헤모류 121억 원(전년동기비 +7억 원), 간성혼수 치료제 듀파락 100억 원(전년동기비 +16억 원), 협심증 치료제 시그마트 97억 원(전년동기비 -21억 원),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트루패스 72억 원(전년동기비 -10억 원), 항생제 프리페넴 등 62억 원(전년동기비 -36억 원), 위궤양 치료제 라베칸 20억 원(전년동기비 -7억 원) 등으로 나타났다.

3분기 실적에서는 영양수액이 359억 원(전기비 +27억 원, 전년동기비 +62억 원), 리바로 310억 원(전기비 -3억 원, 전년동기비 +117억 원), 일반수액 222억 원(전기비 +12억 원, 전년동기비 +14억 원), 특수수액 73억 원(전기비 -2억 원, 전년동기비 +1억 원), 악템라 56억 원(전기비 -1억 원, 전년동기비 +3억 원) 등이었다.

또한 페린젝트 등 51억 원(전기비 -1억 원, 전년동기비 +8억 원), 헤모류 42억 원(전기비 +2억 원, 전년동기비 +3억 원), 듀파락 35억 원(전기비 +2억 원, 전년동기비 +4억 원), 시그마트 33억 원(전기비 +1억 원, 전년동기비 -0.4억 원), 트루패스 26억 원(전기비 +3억 원, 전년동기비 -2억 원), 프리페넴 등 17억 원(전기비 -5억 원, 전년동기비 -14억 원), 라베칸 5억 원(전기비 +1억 원, 전년동기비 -3억 원) 등으로 나타났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JW중외제약, 리바로·영양수액·악템라 등 성장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JW중외제약, 리바로·영양수액·악템라 등 성장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