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코텍-제노스코, “독자적 R&D 전략.. 차별화 성장 추구”
오스코텍, ‘알츠하이머치료제 임상개발’- ‘배수성주기 저해 면역 항암제’ 집중
제노스코, ’카이네이즈 억제제’부터 ‘분자접착 분해제’까지 연구 확장
입력 2025.02.17 08:24 수정 2025.02.17 08:2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혁신 신약개발 전문기업 오스코텍(김정근∙윤태영 각자대표)과 제노스코(고종성∙김세원 각자대표)가 각각 독자적인 연구개발(R&D) 플랫폼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전략을 추진하며 차세대 글로벌 신약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두 기업은 설립 초기 협업을 통해 폐암 치료제 '레이저티닙’(상품명: 렉라자∙라즈크루즈)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세비도플레닙’을 공동 개발하며 임상 진입 및 글로벌 상업화에 성공했다. 특히, 2015년 레이저티닙 기술이전 성공을 계기로, 양사는 각자 신약 개발 역량과 연구진 전문성을 재확인하며 독립적인 연구개발 전략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확대했다. 이를 바탕으로 중복되지 않는 차별화된 신약개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는 데 합의했으며, 이후 각 사 강점을 살린 R&D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해왔다. 

오스코텍 관계자는 “각 사는 차별화된 R&D 전략을 통해 글로벌 신약개발 기업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양사에 따르면 오스코텍은 ‘세비도플레닙’ 및 공동연구과제 임상시험 진행을 통해 대규모 기술이전을 목표로 하는 혁신신약(first-in-class) 개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반면, 제노스코는 자체 플랫폼 기반 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최적화에 집중하며, 저분자 신약을 중심으로 혁신적 신약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오스코텍이 홈런을 노리는 강타자라면, 제노스코는 정교한 타격으로 안정적 출루를 만들어가는 전략이다.

오스코텍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다양한 후보물질들 임상개발과 배수성주기(ploidy cycle) 억제를 통한 내성 차단 항암제 발굴 전략을 진행하고 있다. 고형암 타깃 파이프라인 ‘덴피본티닙’은 임상 1a상 투약과 추적 관찰을 마치고, 올해 상반기 임상시험 결과보고서(CSR)를 수령할 예정이다.

아델과 공동개발중인 항체기반 치매 치료제인 ‘ADEL-Y01’은 미국에서 글로벌 임상 1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카나프테라퓨틱스로부터 기술도입한 EP2/4 이중저해제 항암제인 ‘OCT-598’은 올해 상반기 내 임상시험에 진입 예정이다. 회사는 자체 연구 프로그램으로 배수성주기를 차단하는 혁신 신약(First-in-class) 타깃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며, 임상 2상시험을 완료한 ‘세비도플레닙’ 기술이전에도 집중하고 있다.

제노스코는 ‘레이저티닙’과 ‘세비도플레닙’의 공동 개발 이후 수년간 독자적인 R&D 역량을 강화해왔다. 회사는 ‘GENO-K’를 통한 카이네이즈 억제제(Kinase Inhibitor) 발굴에 이어 ‘GENO-D’를 이용한 분자 접착 분해제(Molecular Glue Degrader, MGD) 발굴 등으로 연구영역을 확장했다.

제노스코는 현재 ‘GENO-K’를 통해 ROCK2 억제제 물질 기반의 파이프라인을 확보했으며, ROCK2 억제제의 뇌 혈관 장벽(Blood-Brain Barrier, BBB) 투과율 차이를 활용해 특발성 폐 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과 대뇌해면기형(Cerebral Cavernous Malformation, CCM) 등을 각각 타깃하는 전략을 수립했다. 또 '약물화 불가능'(Undruggable) 타깃을 정밀하게 제거하는 ‘GENO-D’ 플랫폼을 이용해 분자 접착 분해제 등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에도 주력을 다하고 있다.

제노스코 관계자는 “오스코텍과 차별화된 독자적 R&D 역량으로 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며 “자체적으로 충분한 성장동력을 확보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존 두 기관으로부터 받은높은 기술평가 등급 역시 레이저티닙 만의 성과가 아닌, 철저한 검증을 거친 후속 파이프라인들이 존재했기 때문"이라며 “후속 파이프라인들도 엄격한 TPP(Target Product Profile, 타깃 제품 특성)기준으로 발굴됐으며, 경쟁력 있는 신약 후보물질로 평가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제노스코는 지난해 4월  평가기관 두 곳으로부터  기술성 평가 AA·AA 등급을 받았으며, 같은 해 10월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제노스코 관계자는 “기업공개(IPO)로 조달될 자금은 추가적인 독자 파이프라인 개발에 집중 투자해 R&D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며  “현재 집중적으로 개발 중인 분자 접착 분해제는 전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한 분야로,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를 통한 연구 핵심 인력 유지와 신속한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3
  • 소년 2025.02.17 09:43 신고하기
    참 가관이네요..대표라는 작자 중복상장시킬라고..시덥잖은 언론플레이하는거...세상이 다 아는데 도대체 뭐하시는지...지들 돈없을때 돈 대줬던 주주들 등에 칼꽂고 세예적 항암신약은 가족끼리 해 먹겠다...이러나 국장탈출은 지능순이라고 하지...
  • Jk 2025.02.17 08:56 신고하기
    지금까지, 오스코텍의 자금을 가지고(주주들에게 유상증자까지 하면서) 동일한 파이프라인을 연구하다가. 거래소에서 제노스코가 오스코텍과 수익구조가 너무 동일하니, 상장이 고민된다니 이제서야 독자적인 행보? 기사양반, 아무레 오스코텍에서 기사를 써 달래도. 이딴 속보이는 기사를 쓰면 되겠습니까??
    이 기사를 보먄 더욱 확실한 것이,
  • 타이거 우즈 2025.02.17 08:47 신고하기
    왜.. 이제서야.. 아무말 없다다 파이프라인 쪼개기 분할 상장.. 제노스코에 김정근 대표 아들 13퍼센트 이상 보유 의혹. 주주 의혹 해소는 커녕.. 의혹 증폭. 고집 불통 등등 제노스코 상장 안될까봐 그러는건가..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창간 71주년 특별인터뷰] “에이비엘바이오 '이중항체 ADC' 개발은 신의 한 수 일까요?”
[인터뷰] “반항하라, 그리고 너만의 길을 걸어라”
파브리병 '조기 진단'과 '효소 대체 요법'…"합병증 예방의 '열쇠'"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오스코텍-제노스코, “독자적 R&D 전략.. 차별화 성장 추구”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오스코텍-제노스코, “독자적 R&D 전략.. 차별화 성장 추구”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