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랭크 이미지
日 소비자, 특보식품과 기능성표시식품 혼동
  • 판매가 3,000
  • 등록일 2019-08-07 09:00
  • 카테고리 기능식품
  • 파일형식 PDF파일

기능성표시 식품도 국가에서 허가한 것으로 오인

식품의 기능성 표시를 위한 제도정비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와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특히 식품 산업의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는 산업계의 의견과 소비자 혼란과 과대광고를 양산할 것이라는 소비자단체의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보다 먼저 기능성표시식품 제도를 도입한 일본에서 역시 이러한 의견대립이 현재 진행형이다. 

특히 소비자 절대 다수가 특정보건용식품(이하 특보식품)과 기능성표시식품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 계도를 위한 정책마련이 필요하다는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보건기능식품? “잘 모르겠다”  

지난 7월18일 일본 소비자청은 웹을 통해 만15세 이상의 일반 소비자 1만명을 대상으로 ‘식품표시제도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한 후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그 결과 일본 소비자들의 절대 다수가 보건기능식품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기능식품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고 있는지 묻는 설문에서 정답률이 가장 낮았던 것은 영양기능식품으로 불과 10.4%만이 제대로 이해하고 있었다. 

가장 높은 이해도를 보였던 특보식품도 34.7%의 정답률에 그쳤다.

특히 두드러진 것은 일본 소비자들이 기능성표시식품과 특보식품을 완전히 혼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소비자 대부분은 기능성표시식품 역시 특보식품과 마찬가지로 국가의 하가를 개별적으로 득해 판매되는 것으로 오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