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희 미국변호사의 기술특허 길라잡이 |
[기고] <42> 미국특허실무: Markush claiming practice |
![]() |
[기고] <41> Updated Gilenya 사례 - 재심판결 |
![]() |
[기고] <40> 인공지능 (AI)도 발명자가 될 수 있을까? |
![]() |
[기고] <39> 공동연구계약과 지식재산권 이슈 – BASF Plant Sci., LP v. CSIRO 사례 |
![]() |
[기고] <38> 일루미나와 BGI 간의 차세대 게놈 시퀀싱 특허 전쟁 |
![]() |
[기고] <37> 용량 한정 치료방법의 진보성 (Tecfidera® 사례) |
![]() |
[기고] <36>공지된 항체 약물 접합체(antibody drug conjugate)를 이용한 용량용법의 진보성 |
![]() |
[기고] <35> 성분 치환 및 함량 선택에 대한 진보성 (Aczone® 사례) |
![]() |
[기고] <34> 미국특허청 무효심판과 법원에서의 침해 소송 |
![]() |
[기고] <33> 길리아드와 GSK : HIV 치료약 특허분쟁 화해 |
![]() |
[기고] <32> 제네릭 라벨과 특허침해 (2) – VASCEPA® 케이스 |
![]() |
[기고] <31> 용량 요법 네거티브 한정과 명세서 기재요건 (GILENYA® 사례) |
![]() |
[기고] <30> 2021년 Fierce Life Science Innovation 상을 받은 타겟 단백질 분해제 연구개발회사 ARVINAS |
![]() |
[기고] <29> 용량 한정 특허와 명세서 기재요건 (Tecfidera® 사례) |
![]() |
[기고] <28> Second generation 특허와 관련 출원에서의 발명자 이슈 (DUEXIS® 사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