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정보 : pregabalin
서울아산병원 약제팀 약품정보실 김재연 약사
1. 상품명 : LYRICA 75mg, 150mg/ cap
2. Therapeutic Category : Anticonvulsant, Miscellaneous / Analgesic, Miscellaneous
복지부 분류번호 : 119 기타의 중추신경용제
3. 작용기전
중추신경계의 전위차 의존적 칼슘채널(voltage-gated calcium channel)의 보조적 아단위(2- protein)에 결합하여 [³H]-gabapentin 을 강하게 치환
4. 효능·효과
△ 성인의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Peripheral neuropathic pain)
△ 간질(Epilepsy)- 성인에서 이차적 전신증상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부분발작의 보조제
5. 용법·용량
△ 150 ~ 600mg/day를 1일 2회 음식물과 상관없이 복용
△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 초기용량 1일 150mg, 환자의 내약성과 반응을 근거로 3~7일 후 1일 300mg으로 증량 가능.7일 간격으로 1일 최대 600mg까지 증량가능
△ 간질- 초기용량 1일 150mg, 환자의 반응과 내약성을 근거로 일주일 후에 1일 300mg까지 증량. 7일 간격으로 1일 최대 600mg까지 증량가능
△ 투여중단- 1주일 이상 간격을 두고 점진적으로 중단
△ 신기능 장애환자
미변화체의 형태로 주로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신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에 근거해 용량을 감소해야 한다.
또한 혈액 투석시 혈장에서 4시간 이내에 50%정도 제거되므로,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는 신기능에 근거하여 1일 투여용량을 조정한다. 신기능에 따른 1일 투여용량 외에 매 4시간마다 혈액투석을 실시한 후에는 추가로 보충용량을 즉시 투여하여야 한다.
[표1] 신기능에 근거한 프레가발린의 용량적용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 |
프레가발린의 1일 총 투여량 |
투여방법 |
|
시작용량 (mg/일) |
최대용량 (mg/일) |
||
=60 |
150 |
600 |
BID or TID |
=30~<60 |
75 |
300 |
BID or TID |
=15~<30 |
25-50 |
150 |
QD or BID |
<15 |
25 |
75 |
QD |
혈액투석 이후의 용량 추가 |
25 |
100 |
단회용량 |
△ 간 기능 장애환자- 용량조정은 불필요
△ 소아환자- 만18세 미만의 소아환자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아 투약은 권장되지 않는다.
△ 고령자 (만 65세 이상) - 신기능이 저하된 고령자를 제외한, 일반적 고령자에서 용량감소는 필요하지 않다.
6. 약동학적 특성
△ 흡수
Tmax : 1.5 h (식후 투여시 3 h이나 임상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은 없다)
생체이용률 : 90%
반복투여 후에 24~48 시간 내에 steady state에 도달
△ 분포
Vd : 0.56L/kg
Protein binding : 0%
△ 대사 및 배설
거의 대사 받지 않고 소변에서 미변화체로 98% 배설
Half-life elimination : 6.3 h
△ 직선형
프레가발린은 1일 권장용량범위에서 직선형의 약동학적 특성을 보인다. 그러므로 프레가발린 혈장농도의 알반적인 모니터링은 필요하지 않다.
7. 부작용
△ >10%
말초부종, 현기증, 졸음, 조화운동불능, 체중증가, 구강건조증, 진전, 시야혼탁, 복시, 감염
△ 1%~10%
흉통, 부종, 신경병증, 두통, 착란, 운동협조이상, 적절한 용어찾기의 어려움, 기억상실, 현기증, 초조, 열감, 불안, 우울, 과다근육긴장, 감각저하, 혼미, 얼굴부종, 반출혈, 가려움, 식욕증가, 저혈당, 성욕감소, 변비, 위고창, 구토, 복통, 위창자염, 성불감증, 발기부전, 뇨실금, 보행이상, 단일수축, 간대성근경련, 감각이상, CPK 증가, 관절통, 근육통, 근육무력증, 시야장애, 안구진탕, 결막염, 중이염, 이명, 호흡곤란, 기관지염, 알러지반응, Flu-like Syndrome
△ <1%
고름, 급성신부전, 구내염, 단백뇨, 아나필락시스, 언어상실, 빈혈, 혈관부종, 아프타 입안염, 무호흡, 복수, 시각상실, 무기폐, 눈꺼풀염, 기관지염, 연조직염, cerebellar syndrome, 자궁경부염, 오한, 담낭염, 입주위 감각이상, 대장염, 혼수, 각막궤양, 결정뇨, 섬망, 망상, 조음곤란, 자율신경계이상, 운동이상, 연하곤란, 근육긴장이상, 배뇨통, 간성혼수, 호산구 증가증, 식도궤양, 탈락피부염, 추체외로증후군, 위염, 사구체염, 육아종, 환각, 심부전, 혈뇨, 적개심, 저혈압, 두개내압 상승, 후두경련, 백혈구감소증, 백혈구증가증, 혈변, 조울증, 림프절병증, 뇨감소, 신장염, 신경통, 췌장염, 유두부종, 안검하수, 폐부종, 신장석, 후복막섬유증식증, 피부궤사, 연축, Steven-Johnson syndrome, 자살시도, 입 벌림장애, 사경, 포도막염, 심실세동
8. 상호작용
에탄올, barbiturate, narcotic analgesic, sedative agent 와 병용시 진정효과가 상가적일 수 있으며, thiazolidinedione계 당뇨약과 병용시 체중증가와 부종이 더 나타날 수 있다.
9. 일반적 주의
△ 이 약의 유효성은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 및 대상 포진 후 신경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평가되었다.
△ 현기증 및 졸음을 유발할 수 있어 운전 및 복잡한 기계의 조작 혹은 잠재적인 위험성이 있는 활동을 할때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0. Pregnancy Risk Factor : C
11. 수유부에 대한 투여
△ 인체 모유 중으로 분비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권장되지 않는다.
12. 기타
△ 저장방법 : 기밀용기, 실온(15~30℃)보관
△ 제조회사 및 가격 : 화이자. 150mg -1380원, 75mg-1085원
13. Anticonvulsants 제제와의 비교
성분명 |
pregabalin |
phenobarbital |
phenytoin |
valproate sodium |
gabapentin |
carbamazepine |
함량(mg) |
75/150 |
30 |
100 |
150 / 300 |
100/300/ 600 |
200 |
적응증 |
성인 - 말초신경병증성통증, 간질 |
장시간 최면 진정제, 간질 |
간질 |
간질, 그에 따른 성격과 행동장애의 치료 |
간질, |
간질,삼차신경통, |
용법·용량 |
150~600mg 음식물과 상관없이 복용 |
30~200mg 투여 |
100mg 시작 |
5~10mg/kg 시작 |
300mg 시작 |
200~400mg, |
배설경로 |
90% 미변화체로 신배설 |
20~50% 미변화체로 뇨배설 |
5% 미만 미변화체로 뇨 배설 |
2~3% 미변화체로 뇨 배설 |
56~80% 미변화체로 신 배설 |
1~3%는 미변화체로 뇨 배설 |
T1/2(hr) |
6.3 |
53~140 |
7~42 |
성인 - 8~17 |
5~6 |
18~55 |
주의·금기 |
신기능에 따라 용량조절 |
중증의 간, 신장애환자, 호흡장애 환자 |
과민증환자, |
간장애환자. 카바페넴계 투여 중인환자, |
본제 과민증환자, |
복합적 seizure를 가진 환자는 투여 시 주의 |
부작용 |
현기증, 졸음, |
졸음, 기면상태, 두통, 발열, 발진, 권태, 흥분, Stevens-Johnsons증후군 등 |
불수의 운동, 신경병증, 운동실조, 정신착란, 안구진탕, 단백뇨 등 |
두통, 구토, |
Fatigue, 현기증, 식용증가. 졸음, 건망증, 불면증, 신경과민증 등 |
현기증, 복시, 백혈구, 혈소판 감소, 간장애, 운동실조 등 |
14. REFERENCE
△ Drug information Hand Book 14th edition
△ Lyrica 약사위원회 제출자료집
△ Drug interaction facts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