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신염과 Ca길항제
기자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수정 최종수정 2007-02-09 11:49
환자에게 확인할 내용

1. 알레르기력
  이 약에 대한 과민증 또는  다른 Ca길항제에 대한 과민증 기왕력
을 체크한다.

2. 임산부·수유부
  동물실험에서 최기형성 보고가 있으므로 임산부에 대한 투여는 금
기이다. 유즙중으로 이행하므로 복용중에는 수유를 중지한다.

3. 금기
  본제의 성분에 대해 과민증  기왕력이 있는 환자, 임산부·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환자, 심원성쇼크 환자.

4. 신중투여
  대동맥변협착, 과도한 저혈압, 혈액투석중인  순환혈액량감소를 동
반하는 고혈압환자(과도한 혈압저하), 중독한  간장애가 있는 환자,
울혈성심부전, 폐고혈압, 고령자.

5. 병용약
  레세르핀, 메틸도파, 염산프라조신-혈압저하작용 또는  β차단작용
증강, 디곡신-혈중농도 상승, 시메티딘-Ca길항제 작용증강,  리팜피
신-Ca길항제 작용저하, 알코올-Ca길항제 대사억제,  β차단제-심부
전, AV-블록, 동성서맥, 사이클로스폴린-치육비후,  Ca길항제 대사
억제등

환자에게 확인할 내용

1. 약의 작용
  Ca길항제는 세포외 Ca이온이  세포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근소포체등의 저장Ca의 세포질내의 유리를  저해하는 기전에 의해
혈관평활근을 이완시켜 혈관을 확장, 혈압을 내리는 약이다.

2. 바른 사용법
  의사에게 지시받은 대로 복약횟수,  시간을 지켜서 복용하는 것을
지도한다. 또 이 약을 갑자기 중지하면 증상이 악화되는 일이 있으
므로 의사의 지시없이 맘대로 복용을 중지하지 않는다.

3. 부작용
  혈압작용에 의해 현기증이 발현될 수 있으므로  높은 곳에서의 작
업, 자동차운전 등 위험을 동반하는 작업에 주의할 것.

  비교적 자주 일어나는  부작용: 호흡곤란, 해수,  천명, 맥의 난조,
빠른 맥, 가슴이 두근거린다. 피진, 발목·발·하지부종

  드물게 일어나는 부작용: 잇몸출혈·통증·종창, 흉통,  실신, 관절
통증·종창

  증상이 가벼울지라도 오랫동안 계속되는 경우나 증상이 심한 경우
의사에게 알려야하는 부작용:  변비, 설사, 현기증,  안면홍조, 열감,
두통, 구역질, 피로감, 탈력감.

4. 복용을 잊은 경우
  생각난 즉시 복용할 것. 다음 복용시간이 가까운 경우 잊은 1회분
은 생략하고 다음부터 보통대로  복용한다. 2회분을 한꺼번에 복용
하지 말 것.

5. 실수로 대량 복용한 경우
  과량투여시 증상: 혈압저하, 심박수감소, 경민, 방실블록, 각블록등.
  치료법: 위세정, 기관내삽관, 활성탄투여등 중독치료의 기본처치와
함께 8.5% 글루콘산Ca약 36∼46㎖ 또는 염화Ca 1∼2g정주, 효과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반복투여, 염산도파민등의 교감신경작동약 투여
도 유효하다.

  혈액투석은 무효하다.

6. 기타 약제 또는 기호품
  첨부문서에 상호작용의 기재가 있는 약제를  병용하는 환자에게는
상호작용 가능성에 대해서 지도한다. 알콜류는 이 약과 상호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섭취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또, 자몽쥬스로 Ca길항제를 복용하면 Ca길항제의 혈중농도가 상승
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동시복용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약은 1컵
의 물로 복용하도록 지도한다.
  
환자 모니터

1. 부작용 체크
  두통·두중감, 안면홍조, 열감, 빈맥, 동계, 하퇴부종등의 발현에 주
의한다.

  부작용에 의한 증상으로 생각되는 것은 의사에게 연락한다. 또 임
상검사치의 변동에도 주의한다.

2. 컨플라이언스
  신염(신기능저하)치료를 위해서 혈압을 내리는 Ca길항제의 복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환자에게 이해시킨다. 자신의 판단하에 복용을 중
지하지 말고 의사의 지시대로 복용한다. 복약지도시에 복용을 잊지
는 않았는지 컨플라이언스 평가를 한다.

3. 혈중농도
  치료상 유효한 혈중농도: 약 10∼15㎍/㎖.
  Tmax: 3hr, Cmax; 약 49.8㎍/㎖, T1/2: 약 4hr

약리작용
  Ca 길항제는 세포외 Ca이온의 세포내로  유입을 억제하고 근소포
체등의 저장Ca을 세포질내로 유입을  저해하여 혈관평활근의 이완
작용, 관동맥을 포함한  혈관확장작용, 전말초혈관저항의 감소작용,
항동맥경화작용, 심근수축력억제작용, 심근산소수요저하작용을 나타
낸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