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 <2>
한국병원약사회와 함께하는 최신 복약지도·약물정보 올가이드
기자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수정 최종수정 2006-08-29 11:30

김순주 (강남성모병원 약제과 특수연구회 운영위원)

Q&A 항혈소판제제의 작용 지속시간

두 번째 섹션인 임상의약정보에서는 약사들이 자주 사용하거나 새로이 사용하게 될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ⅰ) Q&A ⅱ) 신약정보 ⅲ) 의약품 정보 및 상호작용 ⅳ) 부작용 보고 사례로 분류, 연재합니다.

Q: 신경외과 R2 OOO입니다. 환자가 내원 전 아스피린을 복용 중이었는데 현재 뇌수술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아스피린이 몸에서 배설되는 데 얼마나 걸릴까요?

A: 일반적으로 약물이 체내에서 완전히 배설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반감기의 4-5배정도 됩니다. 하지만 항혈소판제제 중에는 몸에서 완전히 배설되었다고 해도 그 작용이 지속되는 것이 있습니다.

Q: 그러면 항혈소판제제의 작용 지속시간은 어떻게 판단하나요?

A: 작용기전을 먼저 고려하여 가역적인 것과 비가역적인 것으로 구별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가역적인 약물의 경우엔 배설되는 데 걸리는 시간만 고려하면 되지만, 비가역적으로 저해하는 약물은 반감기에 관계없이 혈소판 체내순환기간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혈소판은 Bone marrow에서 생성되어 비장으로 포합된 것 외 2/3는 7~10일 동안 체내에서 순환하는데 이때 비가역적 항혈소판제제에 노출되게 되면 이후 체내 순환기간 동안 혈소판 응집기능을 소실하게 됩니다. 따라서 새로 생성되는 혈소판을 고려할 때, 비가역적 항혈소판제제에 노출 시 일반적으로 7일정도 지난 후에야 혈소판 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된다고 봅니다.

Q: 아스피린은 어떠한가요? 투여 중단 후 언제쯤 수술이 가능 할까요?

A: 아스피린은 비가역적으로 혈소판 응집을 저해하는 약물이므로 투여 중단 후 7일이 지난 후에 수술을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음은 항혈소판제제에 대한 비교자료입니다.


비가역적 저해제

가역적 저해제

Aspiri

Triflusa

Clopidogre

Ticlopidin

Indobufe

Cilostazo

작용기전

platelet COX inhibitor

platelet COX inhibitor,
Phospho-diesterase
inhibito

Adenosine diphosphate (ADP) 유도성 혈소판응집 및 점착을 억제
*COX, PG 억제작용 없음

platelet COX inhibitor

platelet COX inhibitor

T1/2

4.7~9hr

30mi

7~8hr

12.6hr

7~8hr

11~13hr

배설 예상 시간
(T1/2×5)

약23.5~45hr

약 2.5hr

약 35~40hr

약63hr

약 35~40hr

약 55~65hr

⇒ 약물의 작용기전 및 반감기를 고려할 때, 혈소판 응집을 가역적으로 저해하는 약물 복용 환자의 경우엔 투여 중단 후 1~3일 후에 수술이 가능하며, 비가역적으로 저해하는 약물 복용 환자는 반감기에 관계없이 7일 정도 지난 후에 수술을 시행하도록 합니다.

** Reference : MICROMEDEX
Drug Information Handbook 14th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5th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