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1.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자각증상의 조합이 맞는 것은?
가. 발한항진, 동계 나. 체중감소, 발한감소
다. 변비, 체중증가 라. 수지진전, 한기
문제2. 갑상선기능항진증의 검사소견이 맞는 것은 다음중 무엇인가?
가. TSH↑, FT3↑, FT4↑ 나. TSH↑, FT3↓, FT4↓
다. TSH↓, FT3↓, FT4↓ 라. TSH↓, FT3↑, FT4↑
TSH:갑상선자극호르몬
FT3:유리형트리요오드사이로닌
FT4:유리사이록신
문제3. 다음 문장의 ( a ) ( b )에 들어갈 말이 바르게 짝지어 진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갑상선기능저하증인 교본병에서는 ( a ) 의 양성률은 100%로 진단적 가치가 높다. 또, ( b )는 바제도병에 특이적으로 높은 확률을 나타내는 검사항목이다.
가. a-TgAb b-TRAb 나. a-TRAb b-TgAb
다. a-TgAb b-TBG 라. a-TBG b-TRAb
TgAb: 항사이로글로블린항체,
TRAb: 항갑상선자극호르몬수용체 항체
TBG: 사이록신결합글로블린
문제4.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지 않은 약제의 병용은 무엇인가?
가. 티아마졸+디곡신 나. 건조갑상선분말+디곡신
다. 티아마졸+페니토인 라. 건조갑상선분말+페니토인
해답 및 해설
문제1: 다.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는 갑상선호르몬의 결핍에 의한 변비, 체중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가항의 발한항진, 동계는 갑상선기능항진증에 보이는 자각증상이다.
문제2: 라.
TSH는 하수체전엽에서 분비되어 갑상선의 요오드 흡수, 갑상선호르몬의 합성?분해를 촉진한다. 이 과정은 시상하부로부터의 네가티브 피드백기구에 의해 조절된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의 경우 갑상선호르몬이 과잉되기 때문에 네가티브 피드백기구에 의해 TSH는 저하한다. 또, 갑상선기능항진증은 갑상선호르몬의 과잉을 일으키는 병태이기 때문에 FT3와 FT4는 상승한다.
반대로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는 TSH는 상승하고 FT3와 FT4는 저하한다.
문제3: 가.
TgAb(항사이로글로블린항체): 갑상선에 대한 자기항체로 교본병에서의 양성률은 100%로 진단적 가치가 높다.
TRAb(항TSH 수용체항체): 갑상선세포막상에 존재하는 TSH수용체 등과 반응하는 자기항체로 바제도병에 특이적으로 높은 비율로 검출된다.
TBG(사이록신결합글로블린): TBG는 혈중의 T3 또는 T4의 70~75%와 결합하여 이들을 운송하여 저장하는 단백이다. 혈중 TBG농도의 변화는 기타 갑상선기능검사의 측정치에도 영향을 미친다.
문제4: 다.
항갑상선약 및 갑상선호르몬제를 투여하는 중에는 갑상선기능의 변화에 따라서 디기탈리스제제(디곡신 등)의 혈액응고능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들 약제와 병용하는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티아마졸+디곡신, 건조갑상선분말+디곡신: 갑상선기능항진상태에서는 대사?배설이 촉진되기 때문에 디기탈리스제제의 혈중농도가 저하하고, 갑상선기능저하상태에서는 상승한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항갑상선제의 투여에 의해 갑상선기능이 정상화되면 디기탈리스제제의 혈중농도가 상승하고 갑상선호르몬제의 투여에 의해 갑상선기능이 정상화되면 디기탈리스제제의 혈중농도가 저하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치료약의 투여에 의해 갑상선기능이 정상화되면 혈청디곡신농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병용할 경우에는 디곡신의 혈중농도를 모니터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
건조갑상선분말+페니토인: 페니토인은 건조갑상선분말의 혈중농도를 저하시키는 일이 있다. 때문에 병용하는 경우에는 건조갑상선분말을 증량하는 등 신중한 투여가 필요하다.
티아마졸+페니토인: 상호작용 보고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