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양분유, 모유에 가까운 대안식품 각광
기자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수정 최종수정 2006-09-22 16:31
산양분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산양유의 세계적 권위자인 뉴질랜드 콜린 프로셔 박사는 최근 열린 초청 강연에서 모유와 젖소우유, 산양유의 구성 성분 및 효능을 비교하며 산양유의 우수성을 강조했다.

콜린 박사는 "산양유의 영양 구성이 모유와 가장 닮았다는 사실은 매우 경이롭다"고 운을 떼며 "산양유는 단백질, 지방의 구조와 조성이 우유보다 모유에 더 가까워 소화가 잘되고 알레르기의 염려가 적을 뿐만 아니라 뉴클레오타이드, 스핑고마이엘린, 셀레늄, 성장인자 IGF 등이 천연으로 함유되어 있어 성장이 느린 아기, 유단백 알레르기나 아토피성 피부인 아이에게 좋은 대안 식품이다"고 강조했다.

이번 강연에 참석한 소아과 전문의들은 "모유의 중요성에 대해선 설명할 필요도 없을 만큼 잘 알려져 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모유를 먹지 못하는 아기들에게는 보다 모유에 가까운 식품을 섭취토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런 면에서 산양유는 기존 우유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모유에 더 가까워 우수한 대체식이 될 수 있을 것이다"고 기대했다.

△산양유 영양성분 조성상의 특징

신생아에게는 물론 어머니의 젖이 최고의 음식이다. 따라서 모유를 먹이지 못하는 경우 어머니들은 흔히'분유'라고 불리는 인공 조제식을 선택하게 된다. 최근 유아식 업체들은 분유의 성분을 최대한 모유에 가깝게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아직 분유는 모유의 생물학적 이점이 결여되어 있다. 이는 대부분의 조제분유가 사용하고 있는 우유의 성분이 모유의 성분과 근본적으로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1) 산양유는 단백질 구성이 모유와 유사하다.

우유의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 중에 하나는 알레르기 발생이다. 세계적으로 20명의 소아중 1명 꼴로 우유 단백에 임상적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소아과 교과서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6th Ed)에서는 우유에 알레르기가 있는 소아들에게 모유에 가까운 산양유를 권장하고 있다.
(자료: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춘계심포지엄 프로시딩: 2004. 4. 18)



우유와 산양유에는 모유에는 없는 s1-카세인, s2-카세인 그리고 -락토글로불린이라는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s1-카세인의 경우, 우유는 산양유의 7배나 많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다.

산양분유, 우유에 비해 모유와 유사
알레르기 부담이 적고 각종 생리활성물질 풍부
산양유 세계적 권위자 콜린 프로셔 박사 강연


그리고 모유, 우유, 산양유는 공통적으로 -카세인을 함유하고 있으나 그 구성비는 역시 많은 차이가 있다. 특히 우유는 -카세인의 함유율이 모유의 그것에 비해 낮다.

우유에 비해 s1-카세인을 훨씬 적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소화가 잘되고 알레르기에서 안전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또한 최소한 -카세인이 전체 카세인에서 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실제로 -카세인 함유율이 인간의 모유와 비슷하다. 특히 뉴질랜드의 산양유는 s1-카제인의 함유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산양유의 지방 성분이 모유와 유사하다.

지방의 경우 일반적으로 우유와 산양유 모두 인체지방에 비해 짧은 중간 사슬 지방산을 갖고 있다. 특히 중간사슬지방산이 10 20%만을 차지하는 우유에 비해 산양유는 중간 사슬 지방산이 20%에 이른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산양유는 우유에 비해 빠른 소화력을 갖게 해준다.

3) 산양유와 모유의 분비 방식이 동일하다.

또한, 젖을 분비하는 방식에 있어서 우유는 부분분비 (Merocrine secretion)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모유와 산양유는 유즙 분비와 동시에 세포내 생체 활성 물질이 함께 분비되는 분리분비 (Apocrine secretion) 방식으로 분비하기 때문에 뉴클레오타이드, 폴리아민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우유, 산양유의 리보핵산 구성 비율


4) 산양유는 핵산 함유비율이 우유보다 풍부하다.

음식물의 뉴클레오타이드는 면역반응의 증진과 미네랄 섭취의 강화, 설사 발생률을 감소, 음식물 알레르기의 감소 등을 포함하여 유아 성장에 많은 이점을 갖고 있다. 모유에는 다량의 뉴클레오타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뉴클레오타이드의 수치는 우유에 비해 산양유에서 높게 나타나며 이는 모유의 수치에 매우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산양유는 폴리아민 함유 비율이 모유와 유사하다.

폴리아민은 위와 장세포의 적정 발육과 유지 및 효소기능의 성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폴리아민의 섭취는 음식물 알레르기를 대폭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우유로 만든 분말우유에 포함된 폴리아민의 농도는 낮은 반면, 신선한 산양유에서의 폴리아민 농도는 모유와 비슷하거나 더 높을 뿐만 아니라 분말제조 과정에서 폴리아민이 파괴되지 않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모유, 우유, 산양유의 폴리아민 구성 비율


여러 연구보고에 따르면 산양유의 영양조성은 여러 가지 면에서 우유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산양유의 유단백 구성은 모유의 유단백 구성과 유사하기 때문에 모유를 먹일 수 없고 일반 조제 분유가 몸에 맞지 않는 아기들에게 효과적이다.

하지만 산양유도 살균되지 않거나 적절한 영양소를 보충하고 조절하지 않으면 아기들에게 적절하지 않다. 즉, 산양유 자체만으로는 해결책이 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충분한 영양이 보충된 산양조제분유를 먹여야 한다.

특히, 우유와 산양유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나 조정되지 않은 우유나 산양유를 신생아에게 먹이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우유와 산양유는 모두 특정 비타민과 미네랄이 결핍되어 있어 이러한 것들을 보강해야만 한다. 즉, 산양유는 특히 비타민 B12와 엽산이 결핍되어있어 산양 분유에 이를 보충하여 아기의 영양 보급에 만전을 기하였다.


콜린 프로셔 박사 - 산양유가 좋은 3가지 이유

국내에서의 강연을 통해 산양유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콜린 프로셔 박사는 산양분유가 기타의 우유보다 우수한 장점을 다양한 임상 결과와 함께 다음의 3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첫째, 산양분유는 우유보다 소화가 잘된다.

3주된 새끼 돼지에게 산양분유와 우유조제 분유를 16일간 먹인 후 소장에 아직 소화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베타-락토글로부린 양을 측정한 결과 산양 분유집단이 우유 조제 분유 집단보다 4배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소화기 계통의 발달이 미숙한 아기에게, 산양유는 우유에 비해 소화부담을 적게 줌으로써 아기의 성장발육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소화가 원활한 아기는 보채지 않고 편안한 잠을 잘 수 있다.



둘째, 산양 분유는 내장 기능을 강화해 준다.

인도메타신을 실험 동물에 투여하여 내장을 손상시킨 후 락출로스 (lactulose)를 투여했을 때, 내장이 튼튼한 경우에는 결코 락출로스가 흡수되지 않으나 손상된 내장의 경우 내장 투과성이 증대되어 흡수가 용이하여 혈장에 락출로스의 농도가 증가된다. 이를 측정하여 내장의 손상 여부를 판정하는데, 인도메타신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와 산양 유를 함께 투여할 경우 획기적으로 락출로스 농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산양분유가 내장 기능을 강화해 준다는 사실과 인도메타신에 의한 내장 융모의 손상이 산양유로 억제된 사실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산양유는 아기의 소화기관 손상을 막아 소화흡수에 기여함은 물론, 설사를 방지하고 원만한 배변활동을 도와 아기의 성장 발육에 좋다.


인도메타신 및 산양유 투여시 락출로스 혈중 농도 비교



인도메타신 과 산양유 첨가에 의한 융모 손상 보호


셋째, 산양 분유는 알레르기 유발이 우유보다 적다.

우유에 알레르기가 있는 아기 30%가 산양유에는 알레르기를 나타내지 않는 사실이 보고되었고, 또한 우유의 경우 산양유보다 5배 적은 농도에서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이처럼 산양유가 우유보다 알레르기가 낮은 이유는

-알레르기 발생 원인인 S1-casein의 함유율이 낮고
-산양 유의 -lactoglobulin 이 소화가 더 잘되며
-아기의 내장 벽을 튼튼히 하여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소화되지 못한 단백질 흡수를 차단하고
-뉴클레오타이드나 폴리아민 등 면역증강성분이 우유에 비해 풍부하기 때문으로 풀이하였다.

콜린 프로셔 박사는 위와 같은 이유로 여러가지 면에서 우유보다 우수한 산양분유가 모유를 먹이지 못하는 유아들에게 가장 이상적인 대체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