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하(半夏)
기자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수정 최종수정 2006-10-13 17:41

박종희<부산대 약대>



구토·두통·위내정수 등 치료 약물
생식기 발육 억제 작용…어린이 복용 피해야


끼무릇의 덩이줄기를 한방에서 반하(半夏)라고 한다. 하지(夏至)에서 11일째인 7월 2일 경에 채집하는 것이 좋다고 하여 반하(半夏)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반하(半夏)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의 下品에 수재되어 있으며, 옛날부터 진구(鎭嘔), 진토(鎭吐)의 요약(要藥)으로 사용되어 왔다. 도홍경(陶弘景)은 처방 중에 반하(半夏)가 있으면 해독을 위하여 반드시 생강(生薑)을 함께 사용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입술 점막을 자극하는 물질은 반하(半夏)의 점액세포 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산칼슘의 침정(針晶)이라고 말해지고 있지만, 다른 화학성분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으며 아직 확실한 것은 알 수가 없다.



중국의 홍콩 시장에는 보통의 반하(半夏) 이외에 소형인 것을 `진주반하(珍珠半夏)', 대형인 것을 `대옥반하(大玉半夏)'라고 한다. 대옥반하(大玉半夏)는 반하와 기원(基源)이 전혀 다른 Pinellia tripartita의 근경(根莖) 또는 Arisaema屬의 근경(根莖)이다. 또한 수반하(水半夏)도 기원(基源)이 전혀 다른 Typhonium flagelliforme의 구경(球莖)이다.

반하는 구토, 두통, 위내정수(胃內停水; 배에 물이 차서 꼬르륵 꼬르륵 소리가 나는 것) 및 각기(脚氣) 등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중요한 약물이다.

반하(半夏)가 처방되어 있는 대표적인 방제(方劑)로는 급·만성 위장염, 발효성 설사, 위산과다, 위하수, 소화불량, 신경성위염, 위염 등의 위장병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 半夏, 人蔘, 黃芩, 甘草, 乾薑, 大棗, 黃連), 구토(嘔吐)의 치료에 사용되는 대반하탕(大半夏湯; 半夏, 蜂蜜, 人蔘) 등이 있다.

최근 동물 실험에 의하면 반하(半夏)의 추출물은 진해, 거담, 진토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또한 반하(半夏) 중의 글루쿠론산 유도체는 현저한 해독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반하(半夏)는 어린이 생식기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가급적 어린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민간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 임신구토에 반하(半夏)와 생강(生薑)을 달여서 복용한다.

△ 배에서 물소리가 날 때에 반하(半夏)를 달여서 마신다.


백강잠 및 잠사


백강잠…경련·편도선염·언어장애 치료
잠사…신경통·류마티스·반신불수에 효과


누에(蠶)는 비단을 만드는 대단한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옛날부터 약(藥)으로서 이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 누에가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기록을 보면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기자(箕子)가 3000년 전에 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태종 11년 후비친잠법(后妃親蠶法)을 제정하여 왕후로 하여금 궁중에서 누에를 치게 하였고, 세조 1년에는 종상법(種桑法)을 제정·공포하여 대호 300그루, 중호 200그루, 소호 100그루, 빈호 50그루씩 심게 하였으며 뽕나무를 잘못 심어서 말라죽게 한 농가는 벌을 주기까지 하였다.

비단을 얻기 위해 대량으로 누에를 사육했으며, 이 기술은 상당히 어려운 것이었다. 누에의 유충(幼蟲)에 균(菌)이 기생하여 누에가 모두 죽어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양잠(養蠶)의 역사도 오래되며, 이와 같이 병사(病死)한 누에를 약용으로 사용한 것도 `神農本草經'에 기록되어 있다. 균(菌)이 침범하여 죽은 누에는 표면이 균(菌)의 분생포자(分生胞子) 때문에 흰 가루를 덮은 것처럼 되며, 백강잠은 석회를 뿌려서 탈수(脫水)하고 나중에 물로 씻어서 석회를 제거하고 건조하여 밀기울과 함께 구워서 약용으로 사용한다. 죽어서 붉게 된 누에 및 다른 원인에 의해서 죽은 누에는 약용(藥用)으로 사용하면 해(害)가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백강잠은 주로 어린아이의 경련(痙攣), 편도선염(扁桃腺炎), 중풍(中風)에 의한 언어장애 및 반신불수(半身不隨)의 치료에 사용한다.

누에의 똥(糞)을 잠사(蠶砂)라고 하며, 진경(鎭痙), 진정약(鎭靜藥)으로서 신경통, 류마티스, 중풍(中風)에 의한반신불수(半身不隨) 등에 사용한다.

잠사(蠶砂)는 분변(糞便)이지만, 식물의 종자(種子)처럼 보이며 입자(粒子)가 조형미(造形美)를 느끼게 한다.

약용(藥用)으로 사용하는 것은 추잠(秋蠶, 晩蠶이라고도 함)의 분(糞)이 좋으며, 잠사(蠶砂)는 탈색한 후 건조하여 사용한다.

잠사(蠶砂)는 유기물이 90% 정도이며 비타민 A, B군, 엽록소(葉綠素) 등을 함유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