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취증(陰吹症)
기자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수정 최종수정 2007-01-17 10:08
기허의한 음취, 삼기죽·보중익기죽 등 약죽요법 적용
당귀보혈주 등 약주요법 감기나 습열에는 금기


`음취(陰吹)'와 같은 증(證)은 전통의학의 병명이다.

이것은 부녀의 질내(膣內)의 기체가 배출할 때도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개별적인 산부는 산후에 음취(陰吹)가 나타나도 한 때가 지나면 예를 들면 신체상황이 호전되면 어떤 때는 스스로 치유될 수도 있다.

음취(陰吹)와 같은 증상은 부녀들 중에서는 조금도 보기 드문 현상이 아니지만 허다한 부녀들은 설명에 수긍하지 않는다. 그것은 부녀들에게 정신상의 일정한 압력을 조성하여 주므로 신체건강에 불리한 것이 분명하다.

다른 한 면은 음취(陰吹)의 출현은 또 환자의 신체가 대부분 허약하거나 혹은 기타 부인과질병을 겸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으므로 이런 종류의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현상에 대해 등한시해서는 안 된다.

1. 증(證)을 가려서 치료한다.

(1) 기허형(氣虛型)

질내(膣內)에서 종종 가스가 나오고(失氣=실기), 움직이면 더욱더 음부에서 나오는 가스는 연이어 소리가 나지만 더러운 냄새는 나지 않는 증(證)이 나타난다.

평소에 흰 대하가 끊임없이 삼출되어 흘러내리고, 맑은 물과 같이 질(質)은 묽고, 소변은 자주 보면서 맑고 길게 보고, 허리는 부러지는것 같으면서 시고 아랫배는 내려앉으면서 부르고, 월경량은 많아진다. 설질(舌質)은 옅은색이 나고, 가장자리는 이빨자국이 있고, 태(苔)는 얇고, 맥(脈)은 대부분 허세(虛細)하다.

치료(治療)는 익기승함(益氣升陷), 배신고원(培腎固元)하는 것이 많다.

처방:黃쨝9g, 肉桂3g(後下), 升麻3g, 白芍9g, 白朮9g, 川續斷12g, 金狗脊12g, ?絲子12g, 覆盆子12g, 五味子4.5g, 生甘草梢4.5g.

물로 200ml가 되게 다려 하루에 두차례 나누어 온복한다.

증상이 소실될 때까지 먹는다.

시중에서 팔고 있는 보중익기탕 과립으로 매일 세차례 매번 2.5g씩 바꾸어 먹는다.

2. 약죽요법(藥粥療法)

(1) 삼기죽

당삼20g(혹은 人蔘5g), 황기30g, 陳皮6g, 准山15g, 멥쌀 2兩.

당삼, 황기, 陳皮를 다려 진한 물을 내어 쌀과 准山을 끓여 죽을 쑤어 매일 한 첩씩 먹을 때 적당량의 참기름, 소금, 간장 등 조미료를 넣어 복용한다.

음취(陰吹)가 소실될 때까지 복용한다.

(2) 보중익기죽(補中益氣粥)

補中益氣丸 2只(布包), 薏苡仁30g, 멥쌀 2兩

다 같이 삶아 죽을 쑤어 매일 1료(料)를 복용하는데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먹는다.

위의 두 처방은 모두 기허(氣虛)로 일어나는 음취(陰吹)에 적용한다.

3. 금단요법(禽蛋療法)

(1) 삼기단

당삼20g(혹은 紅蔘6g), 황기30g, 鷄蛋2枚, 紅糖15g.

먼저 당삼, 황기에 물을 넣고 300ml가 되게 다린 진한 물에서 약 찌꺼기를 제거하고 진한 물에 계란을 깨어 넣고 삶아 익힌 후에 다시 검은 설탕을 넣으면 바로 식용으로 할 수 있고, 매일 한 첩씩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먹는다.

(2) 암순준실단

准山15g, 죯實12g, 메추리알4枚.

먼저 准山, 죯實을 다려 진한 물을 짜내고 찌꺼기를 버리고 메추리알을 깨어 넣고 껍질은 버리고 익힌 약물에 다시 참기름, 소금 등 조미료를 넣고 매일 한 첩씩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먹는다.

4. 약주요법(藥酒療法)

당귀보혈주(當歸補血酒)

當歸10g, 황기30g, 당삼20g, 川杜仲9g, 桑寄生12g, 元肉15g, 氷糖30g, 50度 白酒 1.5斤.

위의 약을 15일 술에 담갔다 부풀린 후에 매일 두 차례 매번 10∼15ml씩 마신다. (주의사항:이 처방은 기혈(氣血)이 허약해져서 오는 음취(陰吹)에 적용하는 것이므로 감기로 열이 날 때와 하초(下焦)에 습열(濕熱)이 있을 때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5. 좌약요법(坐藥療法)

(1) 黃柏6g, 虎杖6g, 檀香3g.

위의 약을 고운 가루로 만들어 빈 교갑에 넣고 매일 밤 잠들기 전에 질(膣) 속에 약이든 교갑 두 개를 삽입한다.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사용한다. (주의사항:이 처방은 음취(陰吹)가 더러운 냄새가나면서 대하가 누른색이 나면서 짙은 증(證)이 나타나는 하초(下焦)에 습열(濕熱)이 있어서 생기는 음취(陰吹)에 적용한다

이 약은 자궁경염[子宮頸炎(경관염=頸管炎)]에 대해서도 일정한 치료효과가 있다.

(2) 千里光粉末6g, 公丁香紛末6g, 十大功勞粉末6g.

고루 섞어서 빈 교갑에 넣는다.

매일 밤 잠들기 전에 위의 교갑에 든 약을 질(膣)속에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넣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