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성욕불감증(男性性慾不感症)
腎精 허약으로 생긴 성욕불감증 鹿茸蛋 처방
결혼한 중년남자가 성생활에 대해 싫어하거나 혹은 흥취를 느끼지 못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성불감증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소개하는 것은 부부간에는 정감은 있지만 남자 쪽에서 성생활에 대해서 냉담하거나 흥취를 느끼지 못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1. 辨證施治
(1) 腎精虧虛
본증은 중년에 날로 정력이 없어지고, 허리는 시고 귀는 울고, 성교는 쾌감이 없고, 혀는 淡하고, 苔는 희고, 脈은 대부분 허하게 나타난다. 치료는 보신익정(補腎益精)한다.
방제:숙지15g, 육총용20g, 파극10g, 준산약10g, 선영비15g, 사상자10g, 기자15g, 토사자 2g, 구채자10g, 흑두20g, 근채30g, 감초10g. 물을 붓고 300ml가 되도록 다려 하루에 세 차례 나누어 溫服한다.
(2) 肝氣鬱結
결혼 후 중년에 몇 차례의 성교실패로 정력이 쇠미해진 것을 자탄하면서 우울하고 즐겁지 않고, 종종 한숨을 쉬고 혀는 붉고, 苔는 희고, 脈은 대략 弦하였다. 치료는 소간해울(疏肝解鬱)하고, 助陽(양기를 도와서)하여 그 氣를 강하게 한다.
방제:시호12g(초초), 박하(後下)7g, 울금12g, 청피8g, 백작8g, 당귀6g, 복령10g, 선영비15g, 근채30g, 감초10g. 물을 붓고 300ml가 되게 다려 하루 세 차례 나누어 溫服한다.
2. 禽蛋療法
(1) 양신암순단
양고환 1對 (혹은 저고환, 우고환도 무방하다), 황정75g, 계압농탕 1碗, 암순단(거각) 1對.
양고환, 황정 및 암순단을 고루 鷄鴨濃湯에 넣고 격수로 약한 불을 사용하여 푹 삶아 익혀서(돈열) 매일 1첩을 복용한다. 腎精이 허약(虧損)해져서 오는 성욕불감증에 적용한다.
(2) 鹿茸蛋
녹용0.3g, 계란 한 알.
먼저 녹용을 고운 가루로 만들어 계란의 뾰족한 끝에 작은 구멍을 내어 녹용가루를 넣고 종이로 구멍을 튼튼히 막고 밥솥에 올려놓아 찐다. 매일 아침 계란 한 알씩을 7∼15일 연복 하는 것을 1주기로 한다.
본 방은 腎精이 허약(虧損)해져서 오는 남성성욕불감증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藥粥療法
구기엽250g, 양신1只, 양육100g, 총백 두 뿌리, 소금약간, 갱미100∼150g.
신선한 양신을 반으로 갈라서 깨끗이 씻어 內膜을 제거하고 잘게 썰어놓고, 다시 양육을 깨끗이 씻어 다진다.
찌꺼기를 제거한 구기엽 煎汁을 양신, 양육, 총백, 갱미와 같이 죽을 쑨다. 죽이 되기를 기다렸다가 고운 소금을 조금 넣고 약간 끓이면 된다.
4. 藥酒療法
계지10g, 육총용24g, 택사9g, 선령비24g, 파극천10g, 선모10g, 숙수오20g, 기자15g을 白酒1,000g에 7일간 담그었다가 매일 2∼3번, 매번 20∼30ml씩 먹는다.
감기로 인한 발열에는 복용을 잠시 중단한다. 본 방은 腎精이 허약(虧損)해져서 오는 남성성욕불감증에 적용한다.
5. 藥帶療法
선령비60g, 호노파30g, 소화향30g, 쇄양30g, 구채자45g, 건강30g, 부자30g, 천궁20g, 양기석20g, 유황30g.
위의 약을 모두 고운 가루로 만들어 藥帶를 만들어 少腹部에 15일 간격으로 한번씩 교환한다. 이방은 腎精이 허약(虧損)해서 생기는 남성성욕불감증에 적용한다. 감기로 인한 발병시에는 잠시 치료를 멈추는 것이 좋다.
산후소변불통(産後小便不通)
허리·무릎 나른한 산후소변불통, 보기통포음에 두서·파극천 첨가
산후소변불통(産後小便不通)은 산후에 뇨폐(尿閉)가 와서 아랫배가 급작스럽게 불러 오르면서 아프고 심하면 안거나 눕기가 불편한 것을 `산후소변불통'이라고 부른다. 본 병에서 중요한 것은 기허(氣虛), 신허(腎虛), 기체(氣滯), 어열(瘀熱) 등 원인으로 방광의 기화부족(氣化不足)이나 방광의 기화불리(氣化不利)로 생기는 것이다.
辨證論治
본 병의 특징은 소변배출이 막히는 것이므로 임상 시에는 허실을 가려야만 한다.
치료는 총체적으로 `통리불편(通利不便)'을 원칙으로 한다.
虛한 것은 보기온양(補氣溫陽), 화기행수(化氣行水)하고, 實한 것은 청열화어(淸熱化瘀), 이기이뇨(理氣利尿)해야만 한다.
1. 氣虛
주증:산후에 소변이 불통하고 아랫배가 부르면서 아프다. 기력이 없으면서 권태롭고 말하기 귀찮아하고 말소리는 약하고 혀는 淡하고, 苔는 薄白하고, 脈은 弱하다.
치법:보기행수(補氣行水).
방제:보기통포음가감.
황기, 당삼 각30g, 백출20g, 승마9g, 계지9g, 통초15g.
加減:허리와 무릎이 나른하면 두서, 파극천 각15g을 첨가하고, 소변이 찔끔 찔끔 나오고 소변 볼 때 잘 안나 오면서 아프거나 소변에 혈사가 섞여 나오면 호박3g, 포황15g, 익모초30g을 첨가한다.
2. 腎虛
주증:산후에 소변이 불통하고 아랫배가 부르면서 아프다. 허리가 시면서 아프고 안색이 어둡고 정신이 피로하다.
혀가 淡하고, 苔는 희고, 脈은 沈遲하다.
치법:보신온양(補腎溫陽), 화기행수(化氣行水).
방제:금궤신기환.
육계6g, 부자10g, 생지, 산약각20g, 산유육15g, 복령, 택사, 단피 각10g,.
加減:아랫배가 내려앉으면 당삼, 황기 각15g, 승마6g을 첨가하고, 허리가 심하게 아프면 두서, 파극천 각15g, 천단 30g을 첨가한다.
3. 氣滯
주증:산후에 소변이 불통하고 아랫배가 아프고 정신이 우울하고, 양 옆구리가 더부룩하면서 아프고, 답답하면서 불안하고, 舌苔는 정상이고, 脈은 弦하다.
치법:이기소간(理氣疏肝), 분청강탁(分淸降濁).
방제:목통산(木通散). 지각, 빈랑, 목통 각15g, 활석30g, 동규자10g, 감초6g.
加減:가슴이 답답하면서 잘 노하면 황금10g, 치자15g, 시호6g을 첨가하고, 소변볼 때 아프면서 잘 안 나오고, 황적색이 나면 소계, 백모근, 익모초 각30g, 포황 15g을 첨가한다.
4. 瘀熱
주증:산후 얼마 되지 않거나 산욕기에 소변이 잘 안 나오고 아프면서 더운물에 덴 것 같은 감이 들고 색깔은 황적색이거나 혼탁하고, 입이 마르면서 답답하고, 혀는 붉고, 苔는 얇으면서 누렇고, 脈은 數하다.
치법:화어청열(化瘀淸熱), 이수통림(利水通淋).
방제:소계음자.
소계, 생지 각20g, 담죽엽10g, 산치인, 목통, 포황, 당귀 각15g, 골석, 우절 각30g, 감초6g.
加減:소변볼 때 화끈거리면서 황적색이 나면 공영20g, 백모근30g을 첨가하고, 소변이 혼탁하면 비해, 창포 각15g 해금사0 황백 각20g을 첨가하고, 소변이 잘 안 나오면서 아프고 피가 섞여 나오면 단피, 적작 각15g, 호박 3g을 첨가하고, 입이 마르면서 답답하고, 혀가 붉으면서 침이 적으면 맥동, 석곡각15g, 화분20g을 첨가하고, 허리와 무릎이 시면서 나른하면 여정자, 한련자, 토사자 각 30g을 첨가한다.
單方驗方
(1) 생황기 120g, 감초소24g을 물에 다려 차 대신 마신다.
氣虛로 산후소변불통을 일으키는데 사용한다.
(2) 식염 적당량을 볶은 데 사향0.15g을 첨가하여 배꼽에 채워 넣고 흰 파뿌리 10여뿌리를 썰어서 소금 위에 놓고 애구(艾灸)하여 열기가 배로 들어가 참기 어려울때 멈추면 소변이 나온다.
針灸治療
(1) 體針:關元, 氣海, 三陽交, 陰陵泉, 水道, 秩邊을 取하여 침자(針刺)한다.(電針이나 艾灸할 수 있다.)
(2) 耳針:腎, 膀胱, 尿道穴 등을 取하여 刺戟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