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체기사
정책
산업
제약·바이오
유통
뷰티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병원 · 의료
약사 · 약학
글로벌
웰에이징
특집
특집·이슈기획
특집
이슈기획
팜플러스
오피니언
컬쳐 · 클래시그널
인터뷰
PEOPLE
신제품소개 · 포토 · 그땐 그랬지
신제품소개
포토
그땐 그랬지
팜플러스 · 오피니언
팜플러스
오피니언
컬쳐 · 클래시그널
컬쳐
클래시그널
Yakup-Spacial
DI 의약정보
올바른 약 이야기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활용가이드
회사소개
회사개요
연혁
조직도
Contact us
회원서비스
회원서비스
마이페이지
스크랩 관리
구독정보
email 문의
광고제휴문의
뉴스레터 신청
구독신청
뷰티누리
│
북몰
뉴스
전체기사
정책
산업
글로벌
병원·의료
약사·약학
웰에이징
인터뷰
오피니언
컬쳐
특집
피플
포공영(蒲公英)
기자
│
입력 수정 최종수정 2006-09-26 11:16
▲ 박종희<부산대 약대 교수>
해열·소염·이뇨작용 등에 효능
민들레 전초의 한방명칭…민간 약초로 널리 쓰여
열을 식히고 결을 푸는 등…내외 복용 모두 유효
봄소식을 전해주는 꽃이 몇개 있지만 그 중에서 민들레는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민들레는 햇볕이 잘 드는 정원, 밭, 도로변 등의 사람들과 가까운 곳에 자라며 크고 아름다운 꽃을 피우고 그 종자(種子)는 풍선처럼 푸른 하늘을 날아다니며, 어린아이들의 장난감이 되기도 하는 사람과는 매우 친근한 식물이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며, 우상(羽狀)으로 거치가 있다. 과실에는 흰 관모(冠毛)가 있어서 바람을 타고 먼 곳까지 종자를 운반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뿌리, 줄기, 잎, 화경(花莖)을 자르면 뜨물과 같은 흰 유액(乳液)이 나온다.
우리 주위에 있는 민들레는 대부분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이며, 서양민들레는 번식력이 우리의 재래종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보다 2∼3배 강하다.
우리의 재래종인 민들레는 서양민들레와의 전쟁에서 패하여 깊은 산 속으로 자취를 감추었다. 서양민들레는 총포엽(總苞葉)이 뒤로 젖혀지지만 재래종의 우리 민들레는 총포엽이 뒤로 젖혀지지 않으므로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중국에서는 민들레에 관해서 많은 異名이 있다.
일반적으로 민들레 및 동속식물의 전초(全草)를 포공영(蒲公英)이라고 하지만 황화지정(黃花地丁), 포공정(蒲公丁), 백고정(白鼓丁) 등의 `丁'이 붙는 이름이 많다.
이것은 민들레의 뿌리가 땅속으로 똑바로 들어가고, 잎은 지표(地表)에 로제트 모양으로 넓혀진 모양이 T자형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민들레의 전초를 `포공영(蒲公英)'이라고 하며, 옛날부터 세계 각지에서 약용·식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중국의학에서는 全草를 주로 해독(解毒), 소종(消腫), 이뇨약(利尿藥)으로 사용하고 있다. 민들레는 唐나라 시대에 편찬된 `新修本草'에 `포공초(蒲公草)'로서 기재되어 있으며, 當時에는 夫人들의 유옹(乳癰), 수종(水腫)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옛날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민간적으로도 위병(胃病), 유즙(乳汁) 분비 촉진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민들레의 동속식물은 식물 분류학적으로 種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群으로 현재에도 種의 분화(分化), 즉 진화(進化) 과정에 있다고 생각되어 진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 생육하고 있는 민들레 類는 4∼6種이 분포되고 있지만 꽃 전체를 싸고 있는 包片(總包片)의 형상 및 잎의 형상 등은 같은 種에도 큰 변이(變異)가 있다.
중국에는 종류가 많기 때문에 산출되는 지방에 따라서 약용으로 사용되는 종류가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중국민들레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럽에 있어서 민들레는 옛날부터 신경통(神經痛), 통풍(痛風), 습진(濕疹), 빈혈(貧血), 소화불량(消化不良)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서양민들레의 학명 Taraxacum officinale는 `약(藥)이 되는 쓴 풀'이란 의미이다.
유럽에 있어서 서양민들레는 약용이외에 식용으로도 중요하게 사용되며, 품종이 개량되어 재배되고 있다.
`포공영(蒲公英)'은 능히 熱을 식히고, 腫을 제거하고, 結을 푸는 효과가 있으므로 內服, 外用 모두 유효하여, 해열(解熱), 소염(消炎), 이뇨(利尿), 최유약(催乳藥)으로 사용된다.
포공영(蒲公英)이 배합되는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蒲公英湯(蒲公英, 當歸, 香附子, 牧丹皮, 山藥)이 있으며 催乳藥으로 사용된다.
민간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종독(腫毒), 식중독(食中毒)에 민들레의 全草를 달여서 마신다.
△위암(胃癌)에 민들레의 全草를 달여서 마신다.
△젖이 아플 때에 민들레와 인동덩굴을 달여서 마신면 탁월한 효과가 있다.
△젖에 단단한 몽우리가 있을 때에 민들레, 인동덩굴, 탱자를 같은 양으로 달여서 찌거기를 젖에 바른다.
△젖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 민들레와 탱자를 달여서 마시면 젖이 잘 나오게 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행정·제도]
우리나라 항생제 소비량, 그리스‧터키 이어 OECD 3위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위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 합니다.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직접입력
naver.com
hanmail.net
gmail.com
nate.com
daum.net
hotmail.com
yahoo.co.kr
lycos.co.kr
자동입력방지
보내기
취소
[행정·제도]
우리나라 항생제 소비량, 그리스‧터키 이어 OECD 3위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스크랩하기
취소
[]
포공영(蒲公英)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위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 합니다.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직접입력
naver.com
chol.com
dreamwiz.com
gmail.com
hanmail.net
hanmir.com
hotmail.com
korea.com
lycos.co.kr
nate.com
yahoo.com
보내기
취소
[]
포공영(蒲公英)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스크랩하기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