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기에 한방요법 실시 동통발작 제거
설인신경통(舌咽神經痛)에 立效散 효과
신경통(神經痛) [삼차(三叉), 설인(舌咽),
늑간(肋間), 좌골신경(座骨神經)]
Neuralgia (Trigeminal, Glossopharyngeal,
Intercostal and Sciatic Neural gia)
신경통이라는 용어는 임상에서 모호하게 사용하기 쉬우나 엄밀히 따지자면 하나의 신경지배영역이 방산하여 그 중에서 발증한 국한된 동통을 말하고 있다. 동통은 수분간의 발작이 주체로 증상이 없는 간헐기가 있으며, 발작을 유발하는 trigger point가 있다. 위에 기술한 이외의 신경증상이 없는 것으로 되어 있는 병태이다.
1. 삼차신경통
특발성삼차신경통은 상소뇌동맥이나 상추체정맥이 삼차신경근의 root entry zone을 압박한 결과 탈수(脫髓)로 인해 `short circle'이 형성되어 동통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증후성에서는 후두개와종양, 혈관기형, 다발성동맥경화증에 동반되는 수가 있다. 발증은 40~60세가 많으며, 발증 남녀의 비는 2:3 정도로 약간 여성 쪽이 많다. 발증부위는 상악지(제2지), 하악지(제3지)영역에 많고, 그리고 오른 쪽에 다소 많다. 유발은 일반적으로 구강점막, 입술, 뺨 부위 등의 trigger point의 기계적 자극에 의하며 환자는 세수, 대화 이빨 닦기, 음식을 씹어 먹기가 곤란해진다.
a. 약물요법
Carbamazepine을 주로 사용한다. 이 약의 부작용으로는 피부반응, 간장기능장애, 백혈구감소 등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약효가 감소되거나 부작용이 있는 경우에는 타제와 병용하도록 한다.
b. 외과적 치료법
외과적 치료로는 소위 Jannetta의 수술이라고 하는 것으로 신경혈관압박설에 바탕을 둔 치료법이다. 가장 치료효과가 높으므로 전신마취가 가능하면 나이가 많은 사람이라 해도 처음부터 선택하는 치료법이다. 수술은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귓바퀴의 뒤쪽 부위를 약 4cm 정도 피절(皮切) 및 지름 2cm로 천두(穿頭)하여 압박혈관을 신경으로부터 제압(除壓)한다. 이 치료법으로 80~90%는 증상이 감소되나, 6~38% 정도가 재발한다고 한다.
c. 신경 block 요법:동통신경목표점에 알코올을 주입한다. 이 요법에서는 감각저하를 동반하기 때문에 말초지(末梢枝)부터 실시하여 최후에 반월신경절을 block한다. 유효기간은 약 1년, 그리고 동일한 시술방법으로 고주파열응고(thermorizotomy)를 실시한다.
2. 舌咽神經痛
삼차신경통 중에서 약 1%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발증의 남녀 차이는 없다. 통증은 설인-미주신경지배영역부위에 일어나 귀·편도·인두·혀의 순으로 번져간다. 또한 통증은 음식물을 씹거나 섭취, 넘겨 삼킴 때 유발되며, 정신을 잃고, 맥박이 늘여지고, 저혈압 등을 수반한다. 원인으로서는 혈관의 압박이 主이며, 기타로는 혈관기형, 종양 등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는 삼차신경통과 같이 carbamazepine을 사용하며, 다음으로는 외과적 치료(신경혈관감압술)를 실시한다.
3. 늑간신경통
이는 가슴의 신경 혹은 늑간신경 유래의 신경통을 말한다. 통증의 원인으로서는 특발성인 것은 적고, 신경초종, 수막종(드물다) 등 증후성인 것이 많다. 그리고 늑간신경에 연해있는 외상, 수술이나 염증, 척수손상 등이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에 있어서는 협심증·심근경색·herpes·흉막염·척추골절·척수수내종양 등에 의해서 발생한 신경통에는 당연히 원인치료를 우선한다. 만성적인 동통에는 non-steroid계 진통제를 사용한다. Minor tranquilizer나 삼환계 항우울제도 효과가 있다. 수술 후의 통증이나 암전 등에 의한 통증에는 늑간신경 block이나 경막외 block을 실시한다.
4. 좌골신경통
이는 좌골신경을 따라 하지에서 요배부에 걸쳐 동통을 일으킨 것으로 80%는 요추추간판 hernia가 원인이라고 한다. 기타의 원인으로서 척추, 척수종양·염증성신경염 등인 수도 있으므로 원인의 검색이 필요하다. 이 통증은 다른 신경통과는 달리 통상 지속적인 동통인 수가 많고, 신경학적으로는 L5 혹은 S1 dermatome에 감각저하, 근력저하가 있으며, 앞의 것은 모지배굴마비, 뒤의 것은 Achilles 건반사의 소실이 있는 수가 많다.
a. 약물요법:요추추간판 hernia인 경우에는 먼저 안정을 취하고 누워있도록 하고 약물로는 근이완제를 치료의 제일 선택으로 한다. 진통제의 투여는 통증을 견디어 내기가 어려울 때에 한해서 처방한다. 다음으로는 골반견인이나 온열요법이 바람직하다. Steroid의 경막외 주사도 효과가 있으나 다용으로 인한 유착에 대해 엄중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b. 수술요법:증상이 강하고 약물로 조절이 안될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해 본다.
주로 사용되는 처방
이 질환에는 오령산, 입효산, 계지복령환, 桂枝加朮附湯, 加味逍遙散 등이 쓰여지고 있다. 이 病症에서 한방치료는 그 효과가 충분치가 않다.
치료의 실제에 있어서는 carbamazepine의 복용, 혹은 신경 block과 한방요법을 병용하는 수가 많다. 급성기에 한방요법은 효과를 얻는 수가 적으나, 만성기에 계속적으로 한방요법을 실시하면 동통발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설인신경통에는 입효산이 효과를 나타내는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