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책 방향성 설정
약업신문 new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수정 2019-06-13 14:31

제약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한 정책토론회가 지난주 국회에서 열려 관심을 모았다. 정부가 바이오헬스산업을 차세대주력산업으로 선정하고 육성의지를 거듭 밝힌 가운데 복지부 과기부 산자부 등 관련부처와 제약바이오산업 업계 관계자들이 한데 모여 발전방안을 모색하자는 취지로 보여 진다. 제약바이오산업의 현재와 미래에 관한 주제발표와 백가쟁명식 토론이 이어졌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담아내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제도와 정책을 주무부서에서 만들고 법적토대를 국회가 뒷받침하는 공감대를 형성한 것이 큰 의미가 있다.

신약개발·바이오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범부처 연계가 필요하다. 이곳 저곳에 흩어져 있는 정부부처의 각각의 지원정책을 한곳에 모아 통합적으로 운영 할 필요가 있다. 생명공학육성법의 개정도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귀담아 들어야 한다. 국가 신약개발 우수 파이프라인을 선별해 우선 견인하고, 신약개발 고도화를 앞당기기 위해 신약개발기술을 관련법과 제도 아래 신속히 수용할 수 있는 신규입법 개정과 보험약가상환제도 합리적 개편도 필요하다는 업계의 주장도 조속히 수용해야 한다.

4차 산업 혁명의 핵심인 바이오산업에 체계적인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며 바이오산업 주체인 바이오벤처의 적극 창업 지원을 위한 스타트업펀드와 의료빅데이터 활용과 모바일 헬스케어 신산업 육성을 위한 환경 조성도 시급하다. 대통령도 언급했듯이 5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국가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은 데이터를 활용한 AI와 신약개발이 제약바이오산업의 성공 키가 될 것이다 이미 다른 국가에서도 국가전략을 갖고 지원하고 있지만 우리도 늦지 않았으며 부처별 산업별로 제각각 분산돼 있는 정책을 통합적이고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지휘체계로 전략이 운영돼야 한다.

바이오생태계 구축에 대한 진단도 중요하다. 미래기간산업으로 제약·바이오산업이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혁신적 신약기술 창출에 집중하는 학계와 연구기관의 노력을 극대화하고 개방형 혁신을 리드할 수 있는 기업에 대한 집중적 투자와 틈새를 채울 정부 지원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강력한 핵심특허와 플랫폼으로 독점적 시장 지위를 확보하고 신약개발 단계별 전문인력 공급을 확대하고 신약개발 산업 분업체계를 적극 활용할 경우 기업 중심 컨소시엄 구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이상과 같은 전략적 구도를 확립해 국내 신약개발 연구수준과 체계를 한 단계 높여 나간다면 업계가 염원해 마지 않는 글로벌 시장의 교두보가 확보 될 수 있을 것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