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년 약업신문이 처음 발간한 한국약업사(韓國藥業史/홍현오 저)는 한국 근대약학 및 약업의 발자취이자 한국약업 성쇠(盛衰)를 망라한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창업시대, 유년시대, 혼란시대, 재건시대로 시기를 분류하여 약학, 약업계 관련사(事)를 기술하고 있으며, 후미에 화장품업계 소사(小史)와 주요 약업관련 연표를 덧붙이고 있다.
약업신문은 2024년 창간 7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약업사 보정판 출간위원회(위원장 심창구 서울대 약학대학 명예교수)를 구성, 세로쓰기와 한자 중심으로 된 원본 한국약업사의 내용 전부를 현대 한글 맞춤법 표기법에 따라 수정하고, 내용중 일부에 대한 각 주와 연보, 인명색인 등을 재정리 편집하여 한국약업사(보정판)을 출간했다.
함태원 약업신문 대표는 발간사에서 “이 책은 최초 출간 당시 전 약업계의 관심과 이목을 집중시킨바 있으며 이후 많은 연구자들의 참고문헌, 인용자료로 활용되었으며 지난 2017년 편찬된 한국약학사(韓國藥學史)를 비롯한 다수 학술지 논문 집필에 중요한 참고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사료적 가치가 큰 책자이지만 이미 절판되어 관심 있는 이들의 동반자가 되지 못하고, 원문 세로쓰기와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와 한자어들이 많아 이를 보완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 심창구 서울대약대 명예교수, 김진웅 대한약학회 약학사분과학회 회장을 주축으로 ‘한국약업사 재발간위원회'를 발족, 지난 2년간 재발간 관련 제반사업을 진행하여 그 결과물로 [한국약업사 보정판<補整版>]을 내게 되었다”고 그간의 경위를 소개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축사를 통해 "1972년 약업신문이 발간한 한국약업사는 근대약학과 한국 약업 성장의 역사를 망라한 소중한 기록입니다. 구한말부터 1970년대까지 자칫 소멸하거나 유실될 수 있던 약업계 자료를 한데 모으고, 체계적인 분류기준을 수립해 엮어냈다는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한국약업사는 후학들의 연구나 약학 관련 사료 발간에도 가장 중요한 자료로 꾸준히 인용, 활용되어 왔습니다. 한국약업사가 갖는 사료적 의미를 고려할 때 이번 보정판 발간은 참으로 반가운 일입니다."라고 축하의 인사를 전했다.
심창구 출간위원장은 "우리의 시선이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과거사를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을 때 기록으로 남은 역사는 비로소 미래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미래학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보정판 책자 발간의 의미를 정리하고 ‘한국약업사’가 널리 보급되어 모든 약업인들이 근대 한국약업사를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할 수 있게 되기를 진심으로 고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약업사』를 집필한 홍현오 前 약업신문 사장은 1924년 서울에서 출생했으며 일본 호세이대학(法政大學) 상과를 거쳐 해방 직후 언론계에 투신했다. 여성잡지 『여성계(女性界)』 편집장, 대중잡지 『실화(實話)』, 종합잡지 『신태양(新太陽)』 편집장, 서울신문사 기획위원 및 연감(年鑑) 편찬실장 등을 거쳐 약업신문으로 옮겨 편집국장, 주간, 사장 등을 두루 역임했다. 홍현오 前 사장은 약업신문에 30여 년간 재직하면서 우리나라 의약계와 전문지 발전에 큰 공적을 남긴 전문언론인으로 기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