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라이 릴리社가 자사의 경구용 항암제 ‘레테브모’(Retevmo: 셀퍼카티닙)의 임상 3상 ‘LIBRETTO-431 시험’에서 도출된 주요한 결과를 4일 공개했다.
형질주입 중 재배열(RET) 유전자 융합 양성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위한 1차 약제로 ‘레테브모’ 복용그룹 및 백금착제 기반 항암화학요법제(시스플라틴 또는 카보플라틴)와 ‘알림타’(페메트렉시드)를 병용하면서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를 병용 또는 병용하지 않은 대조그룹과 비교평가한 시험결과가 그것이다.
이날 일라이 릴리 측에 따르면 임상 3상 시험에서 ‘레테브모’를 복용한 환자그룹은 무진행 생존기간(PFS)이 대조그룹에 비해 통계적으로 괄목할 만한 데다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입증되면서 일차적인 시험목표가 충족됐다.
시험결과는 사전에 정한 중간 효능분석 계획에 따라 사외 자료모니터링위원회(IDMC)에 의해 진행되어 도출된 것이다.
‘레테브모’의 부작용은 앞서 ‘레테브모’의 개발 프로그램에서 보고되었던 내용들과 일반적으로 대동소이하게 나타났다.
현재 ‘레테브모’의 상표 표기내용에는 간독성, 간질성(間質性) 폐질환/폐렴, 고혈압, QT 간격 연장, 출혈성 제 증상, 과민성, 종양용해 증후군, 창상치유력 손상 위험성, 갑상선 기능저하증 및 배아-태아 독성 위험성 등에 유의토록 하는 경고‧주의사항이 삽입되고 있다.
‘LIBRETTO-431 시험’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역형성 림프종 인산화효소(ALK) 음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각각 ‘레테브모’를 복용토록 하거나, 백금착제 기반 항암화학요법제와 ‘알림타’를 병용하면서 ‘키트루다’를 병용 또는 병용하지 않은 대조그룹과 비교평가한 임상 3상, 피험자 무작위 분류, 개방표지 시험례이다.
백금착제 기반 항암화학요법제와 ‘알림타’를 병용하면서 ‘키트루다’를 병용 또는 병용하지 않는 요법은 EGFR/ALK 음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현행 1차 약제 표준요법이다.
‘LIBRETTO-431 시험’은 생체지표인자를 기준삼아 선택된 환자그룹을 대상으로 표적요법제와 프로그램 세포사멸 단백질-1(PD-1) 저해제 및 항암화학요법제 병용요법의 효능과 안전성을 비교평가한 첫 번째 피험자 무작위 분류 시험례이다.
일라이 릴리社의 계열사로 코네티컷州 스탬퍼드에 소재한 항암제 전문 제약기업 록소 온콜로지社(Loxo Oncology)의 데이비드 하이먼 최고 의학책임자는 “임상 3상 ‘LIBRETTO-431 시험’이 진행성 RET 유전자 융합 양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위한 1차 약제 선택과 관련해서 중요한 물음에 해답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던 시험례”라면서 “이번 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보면 ‘레테브모’가 1차 약제 표준요법제가 될 수 있을 것임이 유력하게 시사된 것”이라고 의의를 풀이했다.
그는 뒤이어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된 효과가 관찰된 것은 전체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위한 1차 약제를 결정할 때 시의적절하고 포괄적인 유전자 검사의 중요성을 뒷받침한다”며 “이번 시험에서 확보된 결과는 1차 약제를 사용한 치료를 개시하기 전에 EGFR, ALK 및 기타 폐암 발암 촉진인자 등의 RET를 확인하는 일의 중요성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피력했다.
이에 따라 임상 3상 시험에서 확보된 상세한 자료를 종양학 커뮤니티와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 같은 결과는 ‘LIBRETTO-001 시험’에서 확보된 자료를 근거로 이루어진 시험에서 도출된 것이다.
‘LIBRETTO-001 시험’은 16개국 85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RET에 의해 촉발된 암 환자들을 RET 저해제를 사용해 치료하면서 이루어진 최대 규모의 임상시험례이다.
용량 증량단계(임상 1상)와 임상 확장단계(임상 2상) 시험들로 구성되어 있다.
시험에서 ‘레테브모’는 RET에 의해 촉발된 암 환자들에게서 다양한 종양 유형에 걸쳐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데다 지속적인 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입증됐다.
RET 유전자 융합은 전체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 가운데 1~2% 정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LIBRETTO-431 시험’에서 확보된 전체적인 결과는 임박한 의학 학술회의에 제출되고, 동료 전문가 그룹 평가 의학 학술지에도 게재될 예정이다.
또한 각국의 보건당국들에 제출되어 심사가 뒤따르게 될 것으로 보인다.
01 | 종근당,'텔미누보정' 본태성 고혈압 개량신... |
02 | '랩오토메이션 강자' 큐리오시스, 증권신고... |
03 | 대한약사회, 유니온약품 불법 리베이트 사건... |
04 | 삼천당제약, 상반기 매출 성장에도 영업손실... |
05 | "비임상시험, 단순 자료 아닌 전략적 자산…... |
06 | "심평원, 성인 신경섬유종 환자 외면…소아 ... |
07 |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센터장, 성비위 ... |
08 | JW중외제약,상반기 매출 6.7%-영업익 24%↑..... |
09 | 동아ST,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와 신약... |
10 | 미국,EU산 의약품 관세 상한선 15% 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