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거품 위기' 국산 코로나19 백신, 성공 사례로 만들어야"
SK바이오사이언스 스카이코비원 사용률↓ 폐기 위기로 후발 기업 위축 우려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11-30 06:00   수정 2022.11.30 06:40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백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선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됐다. 최근 엔데믹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감소하면서 백신 개발 기업들의 연구개발과 투자가 위축됐는데, 국산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성공 사례로 만들어야 기업들이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하고 이를 통해 넥스트 팬데믹에서 백신 주권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최근 '백신 주권을 위한 길'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백신과 같이 보건안보와 직결되는 분야는 '성공불융자 제도' 및 '우선 자원·구매 지원 제도'와 같은 정부 차원의 혁신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막대한 자본을 투자해 백신을 개발 중인 기업들이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이를 중단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취지다.

협회는 “백신과 신약 개발과 같이 실패 위험이 크고,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분야에는 정부 차원에서 리스크를 분산해야 한다”며 “개발 성공 시에는 정부 지원금 일부를 회수하고, 실패 시에는 회수하지 않도록 하는 성공불융자 제도를 통해, 기업이 지속해서 개발과 생산 의지를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녹십자는 지난 2009년 신종플루 팬데믹이 발생했을 때, 신속한 백신 생산과 공급으로 국가적 보건 위험을 막았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라남도가 2005년부터 백신 생산기반사업을 통해 녹십자를 지속해서 지원했기 때문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협회는 “미국의 바이오쉴드 프로젝트와 같은 한국형 바이오쉴드 프로젝트가 필요하다”며 “미국은 국가 안보에 필요한 의약품을 민간 기업이 연구, 임상, 제조, 조달할 수 있도록 해, 기업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바이오실드 프로젝트는 지난 2004년 7월 21일 발효돼 현재까지 약 30개 프로젝트를 지원했다. 이를 통해 22개 의약품은 FDA에 승인됐고, 18개 의약품은 전략적 국가 비축 물량에 포함됐다.

프로젝트 예산은 지난 2004년부터 2013년까지 56억 달러(7조4000억 원)가 집행됐고, 지난 2019년부터 오는 2029년까지는 71억 달러(9조4000억 원) 규모가 집행될 예정이다.

협회는 “한국은 이번 코로나19 백신을 통해 백신 주권 확보와 개발 성공 사례를 만들어야 한다”며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생산 중단이 국내 바이오산업과 후발 기업들을 위축시키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