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제네릭 난립…비아그라 39개 · 씨알리스 55개
김광수 의원 "복제약 제조 경쟁으로 리베이트, 저가 원료 우려"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0-15 09:00   수정 2018.10.15 09:07
비아그라 복제약 39개, 씨알리스 복제약 55개 등을 비롯해 기존 원제품 대비 복제약 상위 50개 평균이 86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리베이트·저가원료 사용 등 우려가 지적됐다.

15일 민주평화당 김광수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주요약의 복제약 현황자료'에 따르면 복제약 제품수 기준 상위 50개 복제약 수는 평균 86.2개로 나타났다.

복제약 개수가 가장 많은 제품은 항생물질제재인 시클러캡슐으로 복제약이 무려 121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디푸루칸캡슐 120개, 플라빅스정 115개, 아마릴정 115개, 에어탈정 115개 순으로 나타났다. 발기부전치료제로 알려진 비아그라 복제약도 39개, 씨알리스 복제약도 55개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광수 의원은 "일정부분의 제네릭은 건강보험 재정 절감에 도움이 되기도 하는 긍정적 기능도 있지만, 무분별한 제네릭의 난립은 복제약 제조 경쟁으로 인한 음성적 리베이트 성행과 원가경쟁력을 위해 저가 원료를 사용할 개연성도 있어 국민에게 피해를 끼칠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지난 발사르탄 고혈압사태에서도 식약처의 대응이 늦어진 이유도 이와 같은 무분별한 제네릭의 난립이 그 원인 중 한 가지로 지적되기도 했다"며 "효능과 안전성, 경제성에 대한 찬반입장은 차치하도라도 비정상적으로 제네릭이 늘어나고 있는 것에 대한 보건당국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제네릭 의약품은 오리지널 약품의 특허가 만료됐거나 특허가 만료되기 전이라도 물질특허를 개량하거나 제형을 바꾸는 등 모방하여 만든 의약품을 말하며 성분이 같고 제조법·효능효과도 동등한데 약품이름과 제조회사명만 다른 제품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