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度, 국제적 BT 중심지 각광
저렴한 R&D 비용 위탁연구 기지로 어필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02-01-10 06:40   
"현재 25억달러 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인도의 생명공학시장은 오는 2010년에 이르면 45억달러 규모로 확대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미국의 비즈니스 정보 서비스업체 에른스트&영社(E&Y)는 최근 공개한 '인도시장의 미래가능성'(Bridging the Indian Opportunity) 보고서에서 이 같이 전망했다.

R&D와 제품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이 워낙 낮은 수준인 데다 IT 분야의 기술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확보하고 있는 등 이 나라 특유의 장점들에 힘입어 인도가 줄기세포(stem cell) 연구와 바이오-정보과학 분야의 세계적 중심지로 각광받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R&D 투자비용이 갈수록 급격한 상승곡선을 긋고 있는 현실에서 인도가 국제적 기업들의 위탁연구 기지로 어필하고 있다고 E&Y은 강조했다.

그러나 인도의 생명공학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들도 한 두가지가 아니라는 점에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E&Y는 덧붙였다.

벤처 캐피탈 자금조성이 미흡한 현실, 연구와 상업화의 연계성 취약, 인도産 제품들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 문제, 중국 등 다른 개발도상국가들과의 경쟁심화, 열악한 정책적 지원, 반 생명공학 여론조성 가능성 등이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것.

E&Y는 "이에 따라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앞으로 인도의 제약산업과 농화학산업, IT산업 등이 통합을 도모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E&Y의 인도지사를 총괄하고 있는 우트카시 팔니트카는 "IT 분야의 진보가 생명공학자들의 연구에 컴퓨터 활용도를 극대화시킴에 따라 엄청난 양의 정보를 축적하고 운용할 수 있게 됐으며, 이를 신약개발 연구에 접목할 수도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 인도의 바이오-정보과학은 아직까지 초기단계에 불과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형편이다. 현재 전체 시장규모라야 고작 5,000만달러 정도로 추정되고 있을 정도.

한편 E&Y는 생명공학 육성에 나서고 있는 인도의 안드라 프라데시州와 마하라슈트라州 정부에 전략적 파트너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이 중 안드라 프라데시州는 히데라바드 지역에 소재한 '게놈 밸리' 내에 인도 최초의 공·사 합동 바이오테크 파크를 조성했다.

현재 인도 정부는 6개州에 바이오테크 파크를 조성한다는 목표를 투자비용 조성에 힘쓰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