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머크, 신경섬유종 치료제 EU서 조건부 승인
신경섬유종증 1형 동반 총상 신경섬유종 치료 ‘에즈메클리’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7-22 09:59   

독일 머크社는 신경섬유종증 1형(NF1)을 동반한 2세 이상의 소아‧성인 증후성, 수술 불가성 총상(叢狀: 촘촘한 모양) 신경섬유종(PN) 환자 치료제 ‘에즈메클리’(Ezmekly: 미르다메티닙 정제)가 EU 집행위원회로부터 조건부 승인을 취득했다고 18일 공표했다.

소아‧성인 신경섬유종증 1형 동반 신경섬유종 환자 치료제가 EU에서 허가를 취득한 것은 ‘에즈메클리’가 최초이자 유일하다.

‘에즈메클리’는 독일 머크가 지난 4월 미국 코네티컷州 샘퍼드에 소재한 중증 희귀질환 치료제‧항암제 개발‧발매 전문 제약기업 스프링웍스 테라퓨틱스社(SpringWorks Therapeutics)를 인수키로 합의하면서 확보했던 기대주이다.

앞서 FDA는 ‘고메클리’(Gomekli)라는 브랜드-네임으로 ‘에즈메클리’의 발매를 승인한 바 있다.

머크社 헬스케어 사업부문의 얀 키르스텐 희귀종양 부문 대표는 “세계 각국의 희귀종양 환자들에게 혁신의 산물을 선보이는 일이야말로 우리가 크게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에 대응하고 환자와 환자가족들을 위해 치료결과를 바꿔놓는 데 사세를 집중하고 있다는 점을 방증하는 성과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뒤이어 “EU 집행위가 ‘에즈메클리’를 승인함에 따라 소아‧성인 신경섬유종증 1형 동반 신경섬유종 환자들을 위한 최초의 치료제가 발매에 들어갈 수 있게 된 것”이라며 “소외되어 왔던(underserved) 커뮤니티를 위해 치료의 질을 개선하는 데 괄목할 만한 진전이 이루어지게 됐다”고 의의를 강조했다.

유럽 각국에서 ‘에즈메클리’의 사용이 적합한 신경섬유종증 1형 동반 신경섬유종 환자들에게 빠른 시일 내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신경섬유종증 1형(NF1)은 EU 각국에서 10,000명당 3명 정도, 약 13만5,000여명의 환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유전성 장애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들 가운데 50~50% 정도가 총상 신경섬유종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신경섬유종증 1형 및 총상 신경섬유종은 말초 신경초(神經鞘) 부위에서 침윤성 패턴을 나타내면서 성장해 심한 외모손상과, 통증, 기능적 장애 등을 수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총상 신경섬유종은 공격적인 데다 치명적일 수 있는 악성 말초 신경초 종양으로 진행될 수 있는 데다 외과적 절제수술마저 도전적인 과제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총상 신경섬유종이 신경과 함께 침윤성 패턴을 띄면서 성장하기 때문.

전체 총상 신경섬유종 환자들 가운데 최대 85% 정도가 완전절제가 부적합한 것으로 사료되고 있을 정도다.

EU 집행위는 다기관, 개방표지, 단일그룹 시험으로 현재 진행 중인 임상 2b상 ‘ReNeu 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근거로 ‘에즈메클리’의 발매를 승인한 것이다.

이 시험에는 2세 이상의 신경섬유종증 1형 동반 신경섬유종 환자 총 114명이 피험자로 참여했다.

시험에서 맹검사외중앙평가(BICR)를 진행한 결과 객관적 반응률(ORR)과 관련한 일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된 것으로 분석됐다.

객관적 반응률이 58명의 성인환자들에게서 41%, 56명의 소아환자들에게서 52%로 각각 집계되었던 것이다.

이와 함께 표적 총상 신경섬유종 용적의 평균 최적 백분율 변화도를 보면 성인환자 그룹에서 41%, 소아환자 그룹에서 4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반응이 나타난 것으로 확인된 성인환자들의 88%와 소아환자들의 90%에서 그 같은 반응이 최소한 12개월 지속적으로 나타났고, 성인환자들의 50%와 소아환자들의 48%에서 반응이 최소한 24개월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소아‧성인환자들은 각종 환자 보고도구를 사용해 평가했을 때 착수시점부터 조기에 통증과 삶의 질이 지속적으로 괄목할 만한 개선이 나타났다.

한편 ‘에즈메클리’는 관리할 만한 안전성 및 내약성 프로필을 내보인 것으로 입증됐다.

‘에즈메클리’를 복용한 성인환자들 가운데 가장 빈도높게 수반된 부작용을 보면 여드름양 피부염, 설사, 구역, 혈중 크레아틴 인산화효소 수치의 증가, 근골격계 통증, 구토 및 피로 등이 보고됐다.

소아환자들에게 가장 빈도높게 수반된 부작용들로는 혈중 크레아틴 인산화효소 수치의 증가, 설사, 여드름양 피부염, 근골격계 통증, 복통, 구토 및 두통 등이 관찰됐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