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PD 환자에게서 빈발하는 심장합병증에는 폐성고혈압이 있습니다. 폐성 고혈압은 폐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이상이 생겨 폐동맥 혈압이 상승하는 질환입니다. 평균 폐 동맥압이 25mmHg 이상인 경우 폐성 고혈압으로 정의합니다. 이 질환의 발생 빈도는 인구 100만 명당 2명 정도로 희귀합니다. 국내에는 약 1,500여 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20~40대 사이 환자가 많으며, 남성보다 여성 환자가 1.7배 정도 많습니다.
원발성 폐성 고혈압은 대부분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일부 환자를 통해서 식욕 억제제의 복용, 에스트로겐 및 피임약 복용 등이 추측되고 있습니다. 한편 일부 환자의 가족 내에 폐성 고혈압 환자가 있는 것을 통해 유전적 요인도 일부 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원발성 폐성 고혈압에서 혈압이 상승하는 원인은 폐혈관이 좁아지는 것입니다. 혈관이 수축되거나, 혈관 내 혈액이 응고되어 혈관을 막거나,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들이 자라나 혈관벽이 두꺼워지면 혈관이 좁아집니다. 이러한 변화는 굵은 혈관보다는 지름 1mm 이하의 작은 혈관에서 발생하며, 폐 전체에 걸쳐 발생합니다. 굵은 혈관의 일부가 좁아진 것이라면 수술로 좁아진 부분을 넓힐 수 있으나, 원발성 폐성 고혈압에서는 폐 전체의 작은 혈관들이 좁아지기 때문에 혈관의 일부를 수술하기보다는 폐 전체를 이식하는 수술을 통해 치료합니다. 최근에는 혈관 확장제를 이용해 혈관의 수축을 이완시키고, 혈액 응고 억제제로 혈관 내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며, 프로스타시클린, 엔도쎌린 길항제 등 좁아진 혈관을 확장시키는 약물을 이용해 증상 및 예후를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한편 이차성 폐동맥 고혈압이 발생하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는 심장의 기능이나 판막의 이상으로 좌심실의 이완기말 압력이나 좌심방의 압력이 상승하면 폐정맥의 압력이 상승합니다. 그러면 결국 폐동맥의 압력도 상승하는데, 이로 인해 폐동맥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폐 질환의 경우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저산소성 폐동맥 수축 현상이 발생하여 폐동맥 고혈압이 발생합니다. 혈전(피떡)이 폐동맥을 막아서 발생하는 혈전증이나 색전증에 의하여 폐동맥 고혈압이 급격하게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외에 폐 질환으로 인해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저산소성 폐동맥 수축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폐 손상으로 폐실질 용적이 감소되어 있는 경우, 폐동맥에 혈전증이 발생하여 폐색이 발생한 경우도 궁극적으로 폐동맥의 변화를 초래하여 폐동맥 고혈압을 발생시킵니다.
폐혈관이 막히면 우측 심장은 좁은 혈관을 통해 혈액을 뿜어내야 하므로 많은 일을 하게 됩니다. 초기에는 이러한 변화를 잘 견디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우측 심장은 지치면서 기능이 떨어져 충분한 혈액을 뿜어낼 수 없게 됩니다. 이렇게 심박출량이 감소하는데, 이로 인해 운동 시에 느끼는 호흡 곤란, 피로감, 전신 무력감, 현기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한 경우 실신하거나 심장 마비로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이외에 객혈, 협심증과 비슷한 가슴 통증, 목쉰 소리 및 다리가 붓는 등의 증상도 나타납니다.
고혈압은 근본적으로 내과치료와 함께 과식에 의한 칼로리 과다섭취를 주의해야 합니다. 칼로리가 높은 지방류와 입에 맞는 당분은 과잉 섭취하기 쉬우므로 비만인 사람은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지방류 중에선 포화지방산이 많은 동물성 지방은 피하고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된 식물성 유지를 섭취하도록 합니다. 동물성 지방 중에서도 어패류의 지방은 불포화지방산이 많지만 과식하면 안 됩니다.
단백질도 동물성보다는 식물성을 많이 섭취하는 게 좋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콩 등의 두류와 그 제품인 두부를 먹으면 됩니다.
특히 소금의 하루 섭취량은 7g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선 소금 과잉 섭취가 고혈압 증가의 주요 원인입니다.
신선한 채소, 특히 녹황색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단맛이 많은 과일은 칼로리가 많은 식품이므로 과잉 섭취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아울러 다시마, 미역, 녹미채 등 해조류는 소량씩이라도 매일 먹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다시마는 소금 성분이 많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01 | "CPHI KOREA 10주년" 한국, 글로벌 제약·바... |
02 | 한국비엔씨,주사용 가교 히알루로산나트륨 ... |
03 |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CPHI Korea 2025 bio... |
04 | 셀론텍, 총 550억원 투입 금곡 신공장 착공.... |
05 | 현대바이오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 '제... |
06 | 이동기 대표 "올릭스, 빅파마 일라이릴리 설... |
07 | 파미셀, PEG 기반 합성 인공혈액 ‘Hempharmi... |
08 | 인트론바이오, IMPATM 플랫폼 유전자 편집 ... |
09 | 우정바이오, TIPS 추천 합격률 100%..바이오... |
10 | 코오롱생명, TG-C ‘연골세포-TGF-β 사용 연... |